'병렬 구조'로 변신하는 삼광글라스, 자금력 응집 가능해졌다 [삼광글라스그룹 지배구조 개편]캐시카우 군장에너지 수익 지주사로…신사업 진출 원활
박기수 기자공개 2020-03-19 14:17:15
이 기사는 2020년 03월 19일 08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광글라스그룹이 계열사 분할 및 합병으로 '병렬식 구조'를 만들면서 보다 효율적인 투자 작업에 나설 수 있게 됐다. 특히 계열사 배당 측면에서 예전과 달리 사업형 지주사가 자금력을 응집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지며 향후 그룹 외형 성장을 조금 더 원활하게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19일 삼광글라스에 따르면, 삼광글라스는 회사를 투자 부문(존속)과 사업 부문(분할)으로 물적 분할하고, 투자 부문을 통해 군장에너지를 흡수·합병할 계획이다. 또 이테크건설 역시 투자 부문과 사업 부문으로 인적 분할하고, 삼광글라스의 투자 부문이 이테크건설의 투자 부문을 흡수·합병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세 법인이 한 회사가 돼 사실상 지주사가 되고, 지주사가 나머지 계열사들을 지배하는 구조가 된다.
이전 삼광글라스그룹의 지배구조는 '수직적'이었다. 삼광글라스가 지배구조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테크건설의 최대주주(30.7% 보유)로 있고, 이테크건설이 군장에너지를 자회사로 삼고(47.7% 보유), 군장에너지가 SMG에너지를 자회사로 삼는(81.9% 보유) 구조였다. 여기에 삼광글라스가 군장에너지의 지분을 직접 보유(25%)하고, 이테크건설이 SMG에너지의 지분을 직접 보유(18.1%)해 지배구조가 엉켜있는 모습이었다.

이렇게 될 경우 삼광글라스는 사실상 최상위 기업이지만 전체적인 그룹 경영을 하는 데 있어 자금력이 분산될 수밖에 없다. 통상 자회사의 수익을 모회사가 배당받아 그 배당금을 원천으로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다. 다만 기존 구조의 경우 삼광글라스가 군장에너지에서 직접 배당을 받으려면 전체의 25%만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몫은 이테크건설로 흘러 들어가는 구조였다. 그룹 내 군장에너지라는 캐시카우가 현금을 창출해도 그 수혜를 최상위 기업이 잘 누리지 못했던 셈이다.
실제 군장에너지는 올해 지난해 순이익(267억원)을 바탕으로 배당성향 58.42%에 달하는 156억원을 배당했다. 다만 이중 삼광글라스가 직접 취할 수 있는 금액은 39억원에 그친다.
다만 개편 이후 '최상위 법인=군장에너지=지주사' 구조가 만들어지면 이런 고민이 말끔히 해결된다. 군장에너지가 창출하는 수익이 곧 지주사의 수익이 되기 때문에 배당 등을 고민할 필요 자체가 없어진다. 여기에 삼광글라스와 이테크건설, SMG에너지 등 여러 자회사로부터 직접 배당을 통해 자금력을 한 곳으로 응집할 수 있게 된다.
지배구조 상 어느 기업에서 신사업을 추진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지배구조 개편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전 수직적 지배구조에서는 캐시카우인 군장에너지가 자회사를 늘리면 자칫 '옥상옥' 구조가 만들어질 수도 있는 그림이었다. 다만 병렬식 지배구조로 개편되며 군장에너지를 흡수한 지주사가 자연스럽게 신사업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
삼광글라스 관계자는 "지배구조 개편을 통해 자본의 효율적 배분과 함께 회사별로 분산돼있던 인적·재무적 자원들을 통합해 사업 경쟁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게 됐다"라면서 "이번 구조 개편으로 각 사업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IPO 계획 변함없다"
- 다나와 "그래픽카드 거래액 증가…신제품 출시 효과"
- 메리츠증권 PBS 진출 사력…NH증권 키맨 영입 '불발'
- VIP운용 조창현 매니저, '올시즌 2호' 4년만에 내놨다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머스트의 조용한 '구조 개입'…침묵이 아닌 설계
- 한국증권, 채권형 중심 가판대 재정비
- 알토스벤처스, 크림 구주 인수 검토…1조보다 낮은 밸류
- 한화증권, 해외 라인업 강화 스탠스 '고수'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금융사도 일임 경쟁 참전…관건은 은행권 확보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고객만족 최우선시, 시나리오별 절세 노하우 제공"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
- [밸류업 성과 평가]삼양식품, '불닭'이 만들어준 밸류업 1위 '기염'
- [밸류업 성과 평가]메리츠금융·카뱅만 PBR 1배 이상, 저PBR '고질병' 여전
- [밸류업 성과 평가]7할이 PBR 1배 미만, 갈길 먼 '기업가치 제고'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1년, 어디가 잘했나…지표로 분석하니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엔진, 영업익 8배 증가…수익성 제고 1위는 에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