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파구 찾는 화학사]'강소' 동성그룹, 동성화인텍 위기서 얻은 교훈은포트폴리오 다변화 성공에도 주요 계열사 원가 이슈로 '휘청'
박기수 기자공개 2020-03-30 11:09:55
[편집자주]
달콤한 초호황기를 뒤로 하고 국내 화학사들은 너나 할것 없이 수익성 정체기를 맞이하고 있다. 일관적인 수익성 창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사업으로의 진출 욕구가 그 어느 때보다 커졌지만 화학사들은 선뜻 답안지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시황을 한 번에 뒤흔드는 중국 업체들의 등장도 위협이다. 더벨은 가지각색의 고민거리를 가지고 있는 국내 화학사들의 현주소와 그들이 직면한 과제 등을 다각도로 분석해봤다.
이 기사는 2020년 03월 27일 15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화학업계 중견기업집단으로 꼽히는 동성그룹은 업계에서 '작지만 강한 기업집단'으로 꼽힌다. 그들이 갖춘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때문이다. 동성그룹은 중간 지주사격 회사인 '동성코퍼레이션'을 필두로 동성화인텍, 동성화학, 동성티씨에스, GDJ 등 국내·외 자회사들을 통해 화학 관련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국내 석유화학 업체들의 고민은 '널뛰는 수익성'이다. 석유화학 사업 등 한 가지 사업 영영의 비중이 너무 높아 업황 변화에 취약한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측면에서 동성그룹은 '작은 롤모델'로 평가받을만 했다. 실제 동성코퍼레이션은 2010년대 꾸준히 5~6%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왔다.
그런 동성그룹도 위기감을 가질 수 있는 사건이 있었다. 바로 2017~2018년에 있었던 주요 자회사 '동성화인텍'의 급격한 부진이다. 동성화인텍은 동성그룹에서 가장 자산규모가 큰(2019년 말 2631억원) 자회사다. 안정적인 수익성을 기록해오던 동성그룹은 주요 계열사가 휘청거리자 그간 겪어보지 못했던 수익성 0% 시대를 맞기도 했다. 언제든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교훈을 얻은 셈이다.

동성화인텍은 LNG선 화물창의 보냉재 사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회사다. 동성그룹의 중간지주사격 회사인 '동성코퍼레이션'의 자회사들 중에서 가장 자산규모가 큰 곳이다. 현재는 초저온보냉재 사업을 영위하는 'PU단열재사업' 부문과 냉매·방제 시스템 사업을 영위하는 '가스 사업 부문'이 대표 사업 부문이다. 매출 비중은 PU단열재사업이 압도적으로 높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1644억원의 매출 중 88%인 1453억원이 PU단열재사업에서 발생했다.
문제는 이 PU단열재사업의 원가율이 2017년부터 2년 동안 폭등했다는 점이었다. 1kg 당 1000원대 후반이었던 초저온보냉재 가격이 2017~2018년 1kg당 2500원대로 폭등하면서 매출원가율이 폭등했다. 2018년 연결 기준 매출원가율은 93%에 달한다. 심지어 2017년에는 매출보다 매출원가가 더 높아 비율이 101%를 기록했다.
이렇다보니 동성화인텍은 2017년부터 2년 간 그룹 수익성을 갉아먹는 신세로 전락하기도 했다. 2017년과 2018년 동성화인텍이 기록한 영업이익률은 -10.9%, -4.5%다. 같은 기간 동성코퍼레이션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은 0.4%, 1%에 그쳤다. 동성화인텍의 부진이 시작되기 전인 2016년 동성코퍼레이션의 영업이익률은 7.6%였다.

그러다 지난해 초저온보냉재의 가격이 다시 안정화하면서 동성화인텍의 수익성도 회복됐다. 동성화인텍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초저온보냉재의 평균 가격은 1kg 당 1780원(3분기 누적 기준)이었다. 이에 지난해 영업이익 269억원을 기록하며 다시금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영업이익률은 10.6%로 훌쩍 뛰었다.
동성화인텍의 반등에 동성코퍼레이션의 수익성도 원래 모습을 되찾았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8498억원, 518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6.1%를 기록했다.
한 화학업계 관계자는 "한 자회사가 부진할 때 다른 자회사가 부진을 메워주는 것이 그룹 시각에서의 이상적인 모습"이라면서 "동성그룹이 그런 모습과 가까웠지만 2010년대 중반 위기를 겪고 난 후 현재 포트폴리오에 안주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이사회 분석/호텔롯데]이사회 전면 재편, 글로벌 공략 방점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호반건설, 우발부채 1조 규모로 늘어난 까닭은
- 대신자산신탁, 안동 차입형 사업지 계정대 '유동화'
- HMG, 여의도 4000억 부지 매입 검토
- [경동나비엔은 지금]변화의 바람, 리더십 교체·사업 다각화 동시다발 개편
- [PF Radar]신영에스앤디, 문봉동 IDC 선매매 약정기간 '연장'
- [산일전기 상장 그후]공모주 한파 뚫었지만…변압기 올인 '양날의 검'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하나투어, 코로나가 불러온 '경영 효율화' 필요성
- '합병 5년차' HDC랩스, 수익성 개선 '과제'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그룹, 방산·조선 빼면 전부 PBR 0.5배 미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방산·태양광 희비 '극명'…솔루션 ROE 악화 심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