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강한기업]휴켐스, 코로나19에도 이어지는 '황금기'1분기 영업이익률 '17.3%', 수출·탄소배출권 판매 호조
박기수 기자공개 2020-05-14 07:42:52
이 기사는 2020년 05월 13일 16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로나19라는 팬데믹(Pandemic)과 이례적인 유가 급락이라는 악재 속에서 고전하고 있는 화학업계에서도 빛을 발하는 기업이 있다. 태광실업그룹의 정밀화학 기업 휴켐스다. 질산, 초안 등 주요 제품의 수급 상황이 개선되며 2016년 이후 황금기를 구가했던 휴켐스는 올해도 높은 수익성을 유지해가고 있다. 영업 외적으로도 탄소 배출 등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수익성 개선에 일조하기도 했다.휴켐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회사의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797억원, 311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무려 17.3%이다. 국내 범용 화학업체들은 물론이고 시황에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스페셜티 화학사들마저 수익성이 줄어들고 있는 와중에 휴켐스는 변함없이 견조한 영업이익률을 달성하고 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어났다. 작년 1분기 휴켐스는 매출 1675억원, 영업이익 28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7.3%, 영업이익은 8% 늘어났다.

휴켐스의 영업이익률 추이를 보면 그야말로 '황금기'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2015년까지 7%대에 머무르던 영업이익률은 2016년부터 두 자릿수로 껑충 뛰어올랐다. 절정은 2017년(21.3%)이었다. 당시 한해 기록한 영업이익만 1526억원으로, 이전 3년간 벌어들인 영업이익(1733억원)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이후 수익성이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여전히 10%대 중후반의 견조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휴켐스는 2006년 태광실업이 남해화학으로부터 인수한 회사다. 현재 태광실업이 지분 34.16%를 보유하고 있다. 생산하는 제품으로는 질산, DNT, MNB, 초안 등이 있다. 특히 생산 품목 중 '희질산'의 경우 아시아 최대 규모의 생산 능력을 자랑한다. 작년 말에는 2023년 상반기에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연간 40만 톤의 질산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신설하는 안건을 의결하기도 했다. 수익성과 외형이 동반 성장하는 이상적인 상황을 맞이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휴켐스의 호실적에 일조한 요소가 하나 더 있다. 바로 탄소배출권이다. 탄소배출권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로, 환경부 승인을 거쳐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다. 올해 들어 이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톤당 4만원을 넘어서며 기업들에 골칫거리가 되고 있지만 휴켐스에는 예외다.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 저감 시설을 설치해 배출하는 탄소 자체를 줄여 탄소배출권을 팔아도 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휴켐스 관계자는 "질산, 초안 등 수출 증가 및 고수익 지역 판매 비중이 확대했고, 탄소배출권 이익 기여도 증가가 전방 산업 부진 속 든든한 방어막이 됐다"고 설명했다. 휴켐스의 작년 탄소배출권 판매량은 205만 톤으로 2018년 85만 톤보다 두 배가량 늘어났다고 전해진다.
한편 휴켐스는 높은 현금창출력을 바탕으로 우량한 재무구조를 유지해가고 있다. 작년 말 휴켐스의 연결 기준 부채비율은 36.1%에 그친다. 총차입금은 1273억원으로 현금성자산 3132억원을 훨씬 하회한다. 이자보상배율은 무려 31.8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
- [밸류업 성과 평가]삼양식품, '불닭'이 만들어준 밸류업 1위 '기염'
- [밸류업 성과 평가]메리츠금융·카뱅만 PBR 1배 이상, 저PBR '고질병' 여전
- [밸류업 성과 평가]7할이 PBR 1배 미만, 갈길 먼 '기업가치 제고'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1년, 어디가 잘했나…지표로 분석하니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엔진, 영업익 8배 증가…수익성 제고 1위는 에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