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와이팜 IPO, '언택트' 호재 속 6월 신고서 제출 고사양 통신망 각광, 제품 수요 급증 전망…미중 무역갈등 수혜도 관측
전경진 기자공개 2020-06-12 15:37:52
이 기사는 2020년 06월 11일 17:1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5세대 통신(5G) 핵심부품 제조사 와이팜이 증권신고서 제출 시점을 확정했다. 6월말 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주 세일즈에 들어갈 방침이다.최근 '언택트(Untact·비대면)' 열풍에 고사양 통신망 이용이 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스마트폰에 부착돼 5G를 구현하는 전력증폭장치(PAM)를 제조하기 때문에 납품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성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공모 적기에 IPO를 진행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와이팜은 6월말 증권신고서를 제출한다. 와이팜은 구주와 신주를 50대 50 정도로 섞어서 공모구조를 짰다.
재무적투자자(FI) 비중이 전체 70%에 달하지만 구주매출을 최소화했다. 또 FI 모두 자발적 의무 보유 기간을 자발적으로 설정한 덕분에 상장 후 오버행(대량 주식 매매 대기 물량) 우려도 없다는 평가다. 상장 직후 주식 수급 불균형 속에서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적어진 것이다. 와이팜의 IPO는 NH투자증권이 대표 주관한다.
와이팜의 신고서 제출 시점은 SK바이오팜의 IPO가 끝난 직후가 될 전망이다. NH투자증권은 SK바이오팜의 상장 대표 주관사이기도 하다. 일반 청약(6월23~24일)까지 마친 후 와이팜 IPO에 전력을 실을 것으로 예측된다.
시장에서는 와이팜이 공모 적기에 IPO를 진행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이커머스, 전자 금융 결제 등 비대면 서비스 산업이 각광받으면서 이를 원활히 하는 고사양 네트워크 구현이 화두로 떠오른 덕분이다. 와이팜의 제품 수요가 덩달아 늘어가게 됐다는 평가다.
실제 와이팜은 현재 삼성전자와 같은 기존 주요 고객 외에 중국쪽 매출처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중국쪽에서 5G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나면서 관련 부품을 제조하는 와이팜에 대한 공급 문의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시장 관계자는 "그동안 실적이 급성장한 와이팜이 최근 예상치 못한 사업 호재까지 맞게 됐다"며 "신규로 추진하는 중국 사업 확대 건의 경우에도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고조되면서 미국 부품을 와이팜 제품이 대체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에 이를 기대하고 공모주 청약에 나서는 투자자들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와이팜의 2019년말 기준 매출액은 1254억원으로 전년(646억원) 대비 무려 2배가량 커졌다. 영업이익도 2019년 120억원으로 전년(49억원)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덕산하이메탈, 방산기업 인수 '산자부 승인' 획득
- [이사회 모니터/SK네트웍스]준법지원인의 지속가능경영 '멀티 플레이' 눈길
- [이사회 모니터/SK네트웍스]'서울대·관료·교수' 편중된 사외이사진
- '관리종목 위험' 엔에스엔, 만성적자 대책 내놓나
- '펫푸드' 아크, 65억 규모 시리즈A 클로징
- 엔지스테크널러지, 고정밀 맵 서비스 연내 상용화
- JKL파트너스, 팬오션 지분 블록딜로 전량 처분
- [2021 정책형 뉴딜펀드]아주IB투자, '국민연금 펀드' 매칭 전략 통했다
- SK바이오사이언스, '국민연금' 6개월 확약 걸었다
- '전기차 호황' 세원, 지난해 사상 최대 순이익
전경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0 증권사 IB 전략]기업 사업구조 재편 '정조준'…최고 종합 IB 꿈꾸다
- 엠투아이 IPO, 투자 설명회 돌입…해외 투심 '고무적'
- 위더스제약, 바이오 '훈풍' 잇다…수요예측 '흥행'
- 지평, 캄보디아 IPO 공략 본격화…동남아 영향력 '확대'
- SK·SK바이오팜의 '품위', IPO 흥행에도 공모가 상향 '없다'
- '소부장' 최대어 솔루엠, 거래소 킥오프 미팅…투심 예열
- 지누스, MSCI 지수 편입 효과…코로나 극복 '청신호'
- 바디프랜드, IPO 의지 뚜렷…'업계 1위' 주관사만 선별
- SK바이오팜, 국내 투심 집중…국민연금 참여, 흥행 '키'
- '외인 이탈 없다' 지누스 폭락장 속 공모가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