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위탁감리 결과 나왔다 2018년 회계감리 2년 만에 종결…증선위 '주의' 조치
원충희 기자공개 2020-07-22 08:06:50
이 기사는 2020년 07월 21일 15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게임즈가 2018년부터 받던 위탁감리 결과가 2년 만에 종결됐다. 당시 관계회사 지분 고평가 논란으로 지연됐던 게 상장을 앞두고 이제야 결과가 나왔다. 위반사항이 경미해 '주의'조치 정도로 그쳤다.한국공인회계사회(한공회)에 따르면 지난 15일 카카오게임즈와 자회사 카카오VX의 위탁감리 결과 및 조치안이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에 보고됐다. 상장기업 회계감리는 금융감독원이 맡으나 비상장법인 및 상장예정기업의 경우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에 따라 증선위가 한공회에 위탁 실시한다.
상장과정의 최대 쟁점인 회계감리는 재무제표를 상장기준에 맞춰 제대로 작성한 지 여부를 살펴보는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상장 전 감리가 1~2개월 사이에 결과가 도출되는 점을 감안하면 카카오게임즈는 2년이 걸려 종결됐다.
카카오게임즈는 2018년 IPO에 도전할 당시 회계감리 문턱을 넘지 못하고 좌절한 바 있다. 그 해 3월 코스닥 상장을 결정한 뒤 5월 상장예심을 청구하고 6월부터 감리에 들어갔다. 하지만 3개월이 지난 9월까지도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당시 카카오게임즈가 보유하고 있던 매도가능금융자산과 관계회사 지분 평가가 문제였다. 한공회 측은 크래프톤, 네오바자르, 레프트라이트, 손노리, 쓰리포인트, 실버스타게임즈 등 지분가액이 고평가됐다는 시각을 갖고 소명을 요청했다.
소명이 늦어지면서 카카오게임즈 측은 상장 추진력이 약화, 원하는 밸류(기업가치)가 나오지 않자 IPO를 철회했다. 소명이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정밀감리 결정이 났다면 옛 셀트리온헬스케어 때처럼 최소 6개월 이상 상장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
카카오게임즈는 지난 6월 상장예심 청구를 하고 두 번째 코스닥 도전을 시작했다. 2018년 감리결과가 도출, 증선위로 보고됨에 따라 큰 결격사유만 없으면 IPO의 최대 난관을 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장은 예심청구서부터 6개월 내로 완료되는데 카카오게임즈는 패스트트랙(Fast Track) 제도를 통해 IPO 절차를 밟고 있다. 8~9월쯤에는 상장승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주 연령은 50~60대, 남성이 76% 이상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