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차기 리더는]회추위 시작부터 '윤종규 3연임'? 6년 성과 살펴보니'KB사태' 딛고 조직 안정화, 지배구조 개선…M&A 통한 외형확대 성공
고설봉 기자공개 2020-08-14 14:04:29
이 기사는 2020년 08월 13일 17:0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금융그룹의 차기 회장을 뽑는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가 시작된 동시에 윤종규 회장의 '3연임 우세' 관측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 두 번의 임기 동안 윤 회장이 보여준 안정적인 리더십이 KB금융을 순항하게 만든 원동력이란 평가에 따른 일로 풀이된다.특히 윤 회장의 최대 업적으로 꼽히는 KB금융의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이같은 관측에 불을 지핀 모양새다.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은행 일변도였던 KB금융 사업 영토를 증권, 손해보험, 생명보험 등으로 넓힌 장본인이다. 그의 임기 동안 KB금융은 역대급 성장을 이뤘다.
윤 회장은 KB금융 경영진 간 갈등으로 촉발된 ‘KB사태’ 직후인 2014년 KB금융 회장 겸 국민은행장에 올랐다. 이후 안정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며 조직을 추스르는데 전력을 다 했다. 이를 계기로 역대 KB금융 회장 중 유일하게 2017년 연임에 성공하며 두번째 임기를 맞이했다.
두번째 임기를 시작한 윤 회장이 가장 먼저 한 일은 KB금융지주 회장과 KB국민은행장을 분리한 일이었다. ‘윤종규 1기 체제’를 통해 조직 내 갈등을 봉합하고 지배구조를 안정화한 만큼 새로운 틀을 짤 필요성이 있었다. 윤 회장이 그리는 ‘2기 체제’의 비전도 개선된 지배구조 덕분에 순항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조직 안정화가 윤 회장의 리더십을 보여준 사례라면 외연확장 및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그의 경영자로서의 탁월함을 입증하는 업적으로 꼽힌다. 윤 회장은 KB사태로 안팎의 갈등과 잡음 등 후폭풍이 거센 상황에서 오히려 적극적인 M&A에 나서며 KB금융의 사업 영토를 확장했다.
옛 LIG손해보험(현 KB손해보험)과 옛 현대증권(현 KB증권) 인수 등 굵직한 M&A에 성공하며 KB금융의 비은행부문을 강화하고 리딩 금융그룹으로서 입지를 다졌다. 올해 인수에 성공한 푸르덴셜생명의 정식 편입작업이 마무리되면 KB금융의 포트폴리오는 한층 더 견고해진다.
우선 KB금융은 2015년 손해보험업계 4위사였던 옛 LIG손보(현 KB손보) 인수에 성공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KB국민은행과 KB국민카드를 제외하면 이렇다할 순이익을 거두는 계열사가 전무했다. 계열사 수는 총 11개였지만 KB국민은행(69.8%)과 KB국민카드(22.6%)의 순이익 기여도가 92.4%에 이를 정도로 높았다.
KB손보를 자회사로 편입한 첫 해부터 포트폴리오가 크게 바뀌었다. 2015년 KB국민은행의 순이익 기여도는 60.9%로 감소했고, KB국민카드의 순이익 기여도도 19.5%로 낮아졌다. 빈 자리를 메운 것은 KB손보로 순이익 기여도 9%를 기록했다.
이어 윤 회장은 2016년 업계 4위였던 옛 현대증권(현 KB증권)을 인수했다. 인수 첫해인 2016년에는 당장 수익을 내지 못했지만 이듬해인 2017년부터 KB증권은 KB금융의 주요 계열사로 부상했다. 2017년 KB증권은 순이익 기여도 8.2%를 기록했다.
두번의 인수합병을 통해 KB금융은 KB국민은행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일부 조정하는데 성공했다. 각 계열사간 협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의 근간도 만들었다. KB증권, KB손보, KB국민카드 등 비은행부문 계열사들의 볼륨이 커지면서 KB국민은행과의 균형도 맞춰졌다.
올해 인수한 푸르덴셜생명의 편입 작업이 완료되면 KB금융의 사업포트폴리오는 더 안정화할 전망이다. 지난해 푸르덴셜생명의 순이익은 1408억원이다. 이를 KB금융 전체 순이익에 대입해 각 계열사별 순이익 기여도를 다시 산출하면 비은행부문 순이익 기여도는 33.4%로 높아진다.
이처럼 윤 회장이 거둔 성과가 객관적인 '숫자'로 입증되고 있어 금융권에서도 윤 회장의 3연임을 유력하게 보고 있는 셈이다.
KB금융 관계자는 “윤회장의 조직 안정화와 KB금융 회장과 KB국민은행장 분리 등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공을 인정하는 분위기”라며 “M&A로 KB금융의 포트폴리오를 다변화 하고 취약했던 보험업과 증권업 등에 진출해 시장에 안착한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식지않은 금호리조트 인수 열기…숏리스트 전원 응찰
- [CFO 워치]포스코 경영혁신실, 구조조정 저승사자→이노베이터 '미션'
- [3기 두산 출발]'주 무기' 될 친환경 에너지 사업, 어디까지 왔나
- [건설 신사업 지도]DL그룹, 새로운 먹거리 '스페셜티' 화학서 찾는다
- [건설 신사업 지도]동부건설, 환경관리에 방산·상선까지 '공격행보'
- [건설 신사업 지도]현대건설, '신재생·친환경' 트렌드 전환 겨냥
- 쌍용차, 이동걸 회장 ‘강경 발언' 속 조건부 지원 기대
- '자산 재평가' 나선 한국종합기술, 재무개선 청신호
- 김종현 LGES 사장, 글로벌기업 DNA 심는다
- 코오롱인더, 친환경 모빌리티 확장에 선제 투자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감원 인사 동향에 은행권 라임 제재심 긴장감 확대
- 금감원 '핀셋' 임원인사 단행할까
- [2021 금융권 新경영지도]하나은행, 영업조직 효율화…그룹간 통합·세분화
- 신한은행, 희망퇴직 시작…'아너스' 비율도 줄일까
- 진옥동 신한은행장의 ‘디지털 기신환’
- '원칙→설득' 이동걸 산은 회장의 달라진 대화법
- [금감원 독립론 재점화]"왜 하필 지금인가" 내부선 원장 떠난 뒤 후폭풍 걱정
- [2021 금융권 新경영지도]하나금융지주, 큰 변화보단 디지털·글로벌 '디테일'
- [금감원 독립론 재점화]'과도한 권력 집중→내부통제 약화' 부작용 우려도
- 신한은행, 순이익 목표 10%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