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동서, 3년간 친환경사업 투자액 4000억 육박 2017년 소규모 지분확보로 첫발… 인선이엔티·코엔텍 투자규모 각각 1500억
고진영 기자공개 2020-09-16 13:59:52
이 기사는 2020년 09월 15일 16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폐기물처리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떠오른 IS동서가 처음 친환경사업에 발을 담근 시기는 3년 반 전이다. 당시 사모펀드 운영사인 E&F프라이빗에쿼티(이엔에프PE)가 건설 폐기물업체 인선이엔티에 투자를 진행했는데 이때 아이에스동서가 일정 부분 자금을 댔다.이를 시작으로 IS동서는 환경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규모를 빠르게 키우고 있다. M&A만 5건을 추진하면서 그간 투자한 금액이 4000억원에 이른다. 인선이엔티 1500억원, 코오롱환경에너지 200억원, 코엔텍 1500억원, 영흥산업환경 및 파주비앤알 700억원 등이다.
다만 인선이엔티의 경우 수차례에 걸쳐서 지분을 샀기 때문에 실질 매입 금액을 따지기 다소 복잡한 측면이 있다. 구체적으로 2017년 2월 이앤에프PE는 프로젝트펀드를 조성해 인선이엔티 지분 511만8750주(14.9%)를 420억원에 매입했고 이 펀드에 IS동서가 35%에 해당하는 150억원을 LP(유한책임출자자)로 참여했다. 주식수로 환산하면 182만8125주(5.27%)에 해당하는 규모였다.
펀드에 출자자로 참여한 것 외에도 IS동서는 인선이엔티 지분 170만6250주(4.64%)를 140억원에 사들였다. 총 353만4375만주를 1주당 8205원에 매입한 셈이다. 이후 2018년 3월 전환사채권 158만1430주(2019년 5월 전환)를 주당 8000원, 127억원가량에 또 사들였다.
그러다 지난해 5월에는 사업다각화 차원에서 인선이엔티의 경영권 인수를 결정하고 친환경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에 따라 인선이엔티 지분 877만1669주(23.83%)를 1000억원에 매입해 보유 지분이 1047만7918주(28.46%)로 확대됐고 81만1065주를 추가로 68억원에 취득하면서 다시 33.52%까지 늘었다. 3년 동안 인선이엔티에 총합 1500억원가량이 들어간 셈이다.
이후 IS동서는 인선이엔티를 매각한 이엔에프PE와 꾸준히 파트너십을 유지하면서 친환경기업 M&A를 잇따라 추진하고 있다. 올 초에는 양 측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코오롱환경에너지 우선협상자로 선정됐으며 500억원에 인수작업을 마무리했다. 코오롱환경에너지는 수처리 플랜트의 EPC(설계·구매·시공)를 주업으로 하는 업체다. 인수는 SPC(특수목적법인)인 카이트홀딩스를 통해 이뤄졌는데 IS동서가 200억원(40%)가량을 출자했다.
IS동서-이엔에프PE 컨소시엄은 올해 4월 코엔텍·새한환경 인수전에도 뛰어들었다. 예비입찰 막이 오르자마자 MBK파트너스와 한앤컴퍼니, 스틱인베스트먼트 등 대형 펀드, 세계 1위 수처리업체 베올리아와 에너지 전문기업 삼천리, 종합환경기업 TSK코퍼레이션, 그동안 한국 시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글로벌 PEF 운용사 스톤픽인프라스트럭쳐파트너스 등 굵직한 이름들이 줄줄이 응찰해 만만찮은 국면을 보였다. 하지만 각축전 끝에 IS동서-이엔에프PE가 승리를 따냈고 인수가는 약 5000억원에 형성됐다.
인수구조를 자세히 살피면 IS동서-이엔에프PE 컨소시엄이 인수를 위한 SPC ‘이앤아이홀딩스’를 설립했고 여기에 IS동서가 1000억원을 출자했다. 나머지 4000억원의 경우 코엔텍이 2000억원을 담당하고 이앤아이홀딩스가 인수금융을 2000억원 일으켰다. 인수금융 담보인정비율(LTV)이 40% 수준인 셈이다.
이중 이엔에프PE가 책임지는 2000억원의 경우 프로젝트 펀드 ‘이앤에프사파이어사모투자 합자회사’를 세워 조달했는데 이 펀드에도 IS동서가 따로 500억원을 펀딩했다. 이를 감안하면 IS동서는 코엔텍을 품는 데 1500억원을 지출했다.
코엔텍 인수가 마무리되자마자 IS동서는 쉴틈없이 M&A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종속회사 인선이엔티를 통해 파주비앤알, 영흥산업환경 인수를 추진하면서 인선이엔티 유상증자에 참여해 700억원을 출자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인선이엔티에 대한 IS동서의 지배력도 확대된다. 지분율이 기존 33.52%에서 45.07%로 높아질 전망이다.
IS동서가 애초 공격적인 인수합병 전략으로 성장해온 회사인 만큼 앞으로 추가적 M&A 를 펼칠 가능성도 높게 평가된다. 마련해둔 실탄도 넉넉하다. 연결기준 현금성 자산이 4년 동안 2000억원대 초반 수준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3090억원로 뛰었고 올해 상반기는 3464억원을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고진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업 성과 평가]81위 랭크된 LG화학, 빚 부담 버겁다
- 카카오, 점프는 끝났다
- [밸류업 성과 평가]PBR 저평가 롯데쇼핑, 장기 성장 노린 자산 재평가
- [밸류업 성과 평가]잘나가는 현대차, PBR로 보면 여전히 중위권
- [밸류업 성과 평가]조선업 활황에…HD현대그룹 상위권 '독식'
- [the 강한기업/현대그린푸드]분할 2년, 외형 대신 얻은 순현금
- [the 강한기업/현대그린푸드]범현대가 급식소…'해외 성장 활로' 열렸다
- [이자비용 분석]LG디스플레이 '조단위' 이자 탈출…재무개선 신호탄
- [이자비용 분석]이마트 삼킨 이자비용, 5000억이 전부일까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IPO자금 들어온 엠앤씨솔루션…보유현금 왜 줄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