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Watch]'2기 체제' 쎄트렉아이, 맨파워+자본금 '날개' 달았다1090억 수혈, 박성동 의장·김이을 대표 필두 독자 경영 유지
임경섭 기자공개 2021-01-18 07:50:11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4일 15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인공위성시스템 전문업체 쎄트렉아이가 설립 20년만에 '2기 경영체제'로 접어든다. 벤처기업으로 시작해 대기업 '한화' 소속으로 간판을 바꿔 달면서 1090억원의 대규모 자금을 수혈받는다. 동시에 독자 경영체제를 유지하고 국내 우주산업계의 핵심 인물들로 구성된 ‘맨파워’도 지킬 수 있게 됐다.쎄트렉아이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새로운 대주주로 맞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589억원을 투입, 보통주 181만7120주(20%)를 확보했다. 이어 1회차 전환사채(CB) 500억원을 인수한다. 전환가액은 1주당 3만8219원이며 이자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분 20%를 확보한 데 더해 CB를 인수하면서 보통주 130만8249주를 추가 취득할 권리를 얻었다. 2022년 1월 16일부터 전환청구권 행사가 가능하다. 전량 주식으로 전환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지분율은 30%까지 상승한다.
쎄트렉아이는 새로운 2기 경영체제에 돌입한다. 위성 벤처기업으로 시작한 지 20여년 간 국내는 물론 세계 중소형 위성시장에서 뚜렷한 경쟁력을 가진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최근 국내외 우주산업의 무게추가 정부에서 민간 주도로 이양되는 가운데 쎄트렉아이는 한화그룹 계열사로 편입돼 새로운 막을 열었다.
국내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1호의 발사 당사자인 박성동 의장과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 핵심 인력들이 한데 뭉쳐 2000년 설립했다. 인공위성 기술로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영국 서리대학교(University of Surrey)에서 위성기술을 교육받고 우리별 발사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노하우가 기반이 됐다.
2기 체제에서도 쎄트렉아이는 핵심 인력이 잔류하며 ‘맨파워’를 유지한다. 한화그룹은 쎄트렉아이의 현 경영시스템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박 의장과 김이을 대표 등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 출신 인력들은 향후에도 구심점으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쎄트렉아이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지분 인수 이후 현 경영진이 회사를 독자적으로 경영하고 회사의 조직문화를 유지하는 것을 지원하기로 했다"면서 "그간 축적한 기술력, 조직 역량, 국내외 네트워크를 계속 활용하고 여기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역량과 지원이 더해지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대주주는 바뀌지만 현 경영진 역시 지분을 유지하고 있다. 새로운 최대주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이어 박 의장이 13.96%를 보유하고 있다. 김 대표가 1.6%를, 또 이성대 부사장과 신동석·박원규·이훈구 부문장 등 임원진이 지분을 조금씩 가지고 있다.
글로벌 중소형 위성 시장에서 쌓아 올린 경쟁력의 원천은 '맨파워'로 평가된다. 국내 인공위성 연구개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 출신 인물들이 쎄트렉아이의 중심을 잡고 있다.
20여년 간 김병진 전 대표, 선종호 경희대 교수 등이 회사를 떠나는 등 세대교체도 발생했다. 그런데도 2000년 창업 당시부터 초석을 다져온 인물들이 여전히 임원진 대다수를 구성하고 있다. 박 의장과 김이을 대표, 신동석·박원규·이훈구 부문장은 2000년부터 몸담으면서 130명에 달하는 연구 인력을 이끌고 있다.
쎄트렉아이는 산하에 4개의 연구소를 두고 있다. 본사 소속의 우주기술연구소, 방산기술연구소와 함께 자회사 SIIS와 SIA 두 곳에서도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체 직원 280여명의 절반 가량이 연구 인력일 만큼 연구개발(R&D) 비중이 매우 크다.
쎄트렉아이는 카메라 등 핵심 부품이 탑재되는 위성본체부터 지상체까지 위성 대부분을 자체 제작하고 있다. 2019년 선보인 ‘SpaceEye-X’를 비롯해 중소형 지구관측위성이 주요 제품이다. △위성사업 △위성영상판매업 △인공지능(AI) 기반 위성·항공영상 데이터분석사업을 영위하면서 해외에서 90%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