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리츠투자운용, 세컨티어 마켓 선두 '환골탈태' 정대환 대표 진두지휘, 지난해 영업이익 106억…2분기 블라인드 펀드 임박
신민규 기자공개 2021-01-29 13:26:16
이 기사는 2021년 01월 27일 16:0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케이리츠투자운용이 세컨티어 마켓(2nd Tier Asset Market) 출사표를 던진 이후 빠른 속도로 실적 개선에 성공해 주목받고 있다. 무궁화신탁에 인수된 이후 정대환 대표가 진두지휘한 지 3년여만에 업계 최고 수준의 생산성을 올리고 있다.케이리츠투자운용은 지난해 매출액 258억원, 영업이익 106억원, 세후 당기순이익 89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펀드(REF) 10건을 비롯해 리츠(REITs) 1건,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1건을 통해 운용보수와 수수료수익을 올렸다.
운용사 상근 임직원이 26명인 점을 감안하면 평균 매출액은 10억원에 육박했다. 1인당 평균 영업이익도 4억원을 넘어섰다. 월평균 1건의 딜 클로징을 달성한 셈으로 시장에선 업계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달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높은 성장성은 연초부터 계속되고 있다. 케이리츠투자운용은 1월에만 이미 5개의 물류센터 매입을 완료했다. 천안, 여주, 광주, 진천, 연천 소재 물류센터를 사들였다. 광주 소재 물류센터의 경우 PFV를 설립하여 개발 목적으로 매입한 건이다. 물류센터 개발사업에 진출해 수직통합된 역량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케이리츠투자운용의 최대주주는 무궁화신탁이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한 케이알엔피투자목적유한회사(SPC)다. 정대환 대표가 2017년 4월부터 경영을 총괄하고 있다. 정 대표는 부동산운용전문인력 배출 양대 사관학교로 일컬어지는 코람코자산운용과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구, 다올부동산자산운용)에서 각각 5년간 주요 운용역으로 근무했다.
정 대표는 부동산펀드 도입기 초기 운용역으로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재직 시 미분양아파트 투자펀드, 신탁수익권 투자펀드, CFO(Collateralized Fund Obligations) 상품 등을 개발했다. 업계 첫 배타적 우선판매권을 획득해 운용역 기준 1조원 이상 펀드를 직접 설정 후 운용했다. 업계 부동산펀드 운용역 중에서는 정 대표의 외부강의나 매뉴얼, 투자제안서(IM) 등을 통하여 관련 업무를 익힌 이가 적지 않은 편이다.
케이리츠투자운용 사업부문은 펀드사업부문과 리츠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펀드사업부문은 신영에셋 출신인 홍순만 전무(부문장), 코람코자산운용 출신인 이철민 상무(본부장)가 이끌고 있다. 리츠사업부문은 코람코자산신탁 출신인 김규성 상무(본부장)가 이끌고 있다. 정대환 대표이사가 10여년 이상 관계를 지속해온 업계 에이스로 어렵게 영입한 인력들이다.
케이리츠투자운용은 세컨티어 마켓 1위 부동산 전문운용사를 비전으로 삼고 있다. 올해에는 특정 자산에 대한 전략적인 선택과 집중을 통해 사업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핵심자산(Core Asset)보다는 비핵심자산(Core Plus Asset)에, 핵심권역 자산보다는 비핵심권역 자산에, 경쟁시장보다는 비경쟁시장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한다는 복안을 세우고 있다. 이후 상위 시장에 진출하는 수순이다. 회사는 중소형 오피스빌딩을 비롯해 물류센터, 대토리츠 분야에서 업계 최고 수준으로 통한다.
2분기부터는 기존 운용역량을 집중한 블라인드 펀드(Blind Fund)를 선보일 계획이다. 우수한 성과 축적(Performance Track Record)을 위해 모집금액을 300억원 수준으로 제한한다. 케이리츠투자운용이 설정하는 펀드에 후순위로 투자하는 재간접펀드(Fund of Funds) 형태다.
정대환 케이리츠투자운용 대표는 "회사의 경쟁력은 지극히 단순한 데서 나온다"며 "우수한 역량을 가진 인재들을 불러 모아 즐겁게 일하게 하고 좋은 성과를 내면 충분한 보상을 하지만 아무나 이룰 수 없는 난제임을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에디슨이노, 주전공 '의료기기' 두고 전기차로 눈돌렸다
-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사법 리스크 완전히 털었다
- 한국테크놀로지, 최대주주 20회차 CB 주식 전환
- 코리아센터 "몰테일, 해외 물류센터 간 직접 거래 증가"
- 카나리아바이오, 글로벌 임상 3상 환자 모집 50% 달성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대신증권, 하이엔드 주거·코어오피스 차별화 역점
- 도원동산개발 '디폴트', 동산동 사업지 공매로
- [LH는 달라졌나]투기 사태 혼란에도 '역대 최대 실적'
- [건설사 프롭테크 전략 돋보기]DL이앤씨, 생산성 높인 '스마트 디벨로퍼' 발돋움
- 현대건설, 높여 잡은 수주목표치…역대급 실적의 꿈
신민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대신증권, 하이엔드 주거·코어오피스 차별화 역점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신한금융투자, PI 시딩북 증액…컨버전 프로젝트 선별
- 신한금융그룹 품에 안긴 신한자산신탁, A0 등급 상향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하나금융투자, 지자체 숙원 대형 공모사업 '해결사'
- NH투자증권의 부동산 리스크 관리법
- [건설부동산 풍향계]새마을금고, 미분양담보대출 금지…디벨로퍼 조달 '막막'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한국증권, 4000억대 PI 시딩북 유지 '업계 최고'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NH증권, 목표치 보수적 조정…공모사업 전개
- [건설부동산 줌人]DS네트웍스, '대우맨' 김창환 이어 조인환 영입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KB증권, PF 선순위 셀다운 '안정성' 방점…해외리츠 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