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방송국' 와이낫미디어, 시리즈C 라운드 유치 추진 마케팅 진행 중, 기존 VC 참여 전망…쇼트폼 콘텐츠 확대 포석
이명관 기자공개 2021-02-17 13:33:48
이 기사는 2021년 02월 15일 16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모바일 방송국' 와이낫미디어가 시리즈C 라운드 투자유치를 추진 중이다. 시리즈C 라운드 규모는 미정으로 2년 전 시리즈B 라운드를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당시 조달액은 105억원 수준이다.15일 VC업계에 따르면 와이낫미디어는 시리즈C 라운드 펀딩을 위해 투자자와 미팅을 진행 중이다. 앞서 시리즈B 라운드에 참여했던 투자자를 비롯해 다수의 VC를 대상으로 마케팅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VC업계 관계자는 "기존 VC들 대부분이 투자에 나설 것으로 점쳐진다"며 "한창 마케팅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펀딩 규모는 아직 열려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2016년 1월 문을 연 와이낫미디어는 모바일 드라마를 시리즈로 제작해 페이스북과 유튜브 등 온라인 채널에 유통하는 모바일 방송국이다. 설립자는 방송 PD(Product Director) 출신인 이민석 대표다.
이 대표는 국내 드라마의 트렌드가 방송사들이 제작하는 기성 드라마에서 웹 드라마(모바일 드라마)로 바뀔 것으로 보고 와이낫미디어를 창업했다. 그는 기존 드라마에 익숙한 40~50대와 달리 20대가 열광하는 웹 드라마가 향후 시장의 주축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이 대표는 기존 방송국의 콘텐츠 제작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기성 방송국은 '레디메이드콘텐츠(RMC)', 즉 완성본 형태로 먼저 영상 콘텐츠를 기획한 후 실제 제작에 들어가는 방식을 취한다.
하지만 와이낫미디어는 시청자의 반응을 살피며 콘텐츠의 시리즈를 발전시킨다는 전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우선' 콬tv'에서 드라마 몇 편을 공개한 후 댓글과 시청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콘텐츠를 전략적으로 진화시켜 나간다.
이 대표의 이 같은 구상은 유저들이 콘텐츠를 손쉽게 소비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져 있던 점도 한몫했다. 설립 이전인 2015녀부터 국내 통신사들의 무제한 데이터 요급제가 활성화했고, 접근이 어려웠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공급과 수요가 급증하기 시작했다.
실제 이 같은 성장성을 앞세워 투자 유치를 순조롭게 마쳤다. 설립 1년도 채 안된 시점에 네오플럭스로부터 10억원을 조달했다. 이후 2년여가 지난 2019년 105억원 규모의 시리즈B 라운드 투자를 받았다. 시리즈B 라운드에는 KB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KTB네트워크, SL인베스트먼트 화이인베스트먼트-ID벤처스가 참여했다.
와이낫미디어는 추가로 조달한 자금을 활용해 쇼트폼(Short-Form) 콘텐츠 확장에 나설 것으로 점쳐진다. 쇼트폼 콘텐츠는 보통 1~15분 길이의 짧은 영상을 뜻한다.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 올라오는 15초~1분 길이의 보다 짧은 영상까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추세다. 이렇게 쇼트폼 콘텐츠 열풍에 이 시장에 대한 경쟁도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와이낫미디어의 대표 작품은 웹드라마 최초로 1억뷰를 넘긴 전지적 짝사랑 시점을 비롯해 사당보다 먼 의정부보다 가까운, 오피스워치, #좋맛탱, 리얼 하이 로맨스 등이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