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아스바이오, 엑소좀 기술 플랫폼화 목표 작년 9월 2000억 밸류로 시리즈 B 성사…"연내 해외 임상 IND 신청할 것"
최은수 기자공개 2021-03-23 08:05:12
이 기사는 2021년 03월 22일 16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일리아스바이오는 신개념으로 분류되는 세포 밖 소포체(엑소좀)를 기반으로 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벤처다. 엑소좀은 체내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이를 분석해 각종 난치성 질환 치료가 가능하다. 해외에선 관련 기술에 대한 조 단위 라이선스 아웃(L/O)이 속속 성사되기도 했다.일리아스바이오는 엑소좀을 활용해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원천기술(플랫폼)을 보유중이다. 작년 시리즈 B 조달에서는 2000억 프리밸류를 인정받았다. 다음은 공동대표 최철희 일리아스바이오 의장과 함태진 대표와의 일문일답.
- 사명의 배경과 귀사의 비즈니스 모델 또는 사업 성격을 설명한다면
▲최철희 의장(이하 최의장): 일리아스(ILIAS)는 호메로스가 쓴 그리스의 서사시, 일리아스의 라틴어 및 영문 표기이다. 서사시 일리아스는 트로이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데 당초 몇 달이면 끝날 줄 알았던 트로이는 함락까지 10년이 걸렸다. 우리 회사 또한 신약개발이라는 고되고 긴 여정을 인내해 성과를 이루겠다는 포부를 담아 이름 붙였다.
▲함태진 대표(이하 함대표): 일리아스는 확장 가능한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혁신 신약을 만들어가는 기업이다.
- 귀사의 주요 재무적투자자(FI)를 및 주요 지분율 구성은 어떻게 되는지
▲함대표: 2018년의 시리즈A 180억원, 2020년 시리즈B를 통해 240억원을 조달했다. 지분율 순으로 상위 투자사는 인터베스트, HB인베스트먼트, 타임폴리오자산운용, SV인베스트먼트, 대덕벤처파트너스다. 그 외 에셋원자산운용, ㈜쎄니트, 데브시스터즈벤처스, 키움증권, 대신증권, 한양증권-열림파트너스, 지니자산운용 등이 참여했다.
-C레벨 임원들을 간단히 소개한다면(학력과 이력 등)
▲최의장: 국내외 제약업계에서 경험이 많은 베테랑들이 회사에 포진해 있다. 박준태 부사장(CTO)은 미국 FDA에서 제품품질(CMC) 심사관으로 재직하면서 신약 임상허가 및 품목허가 심사를 담당했다. 생물의약품 제조 공정 및 품질평가 연구도 진행했고 헬릭스미스 부사장을 역임한 후 회사로 합류했다.
박철형 상무(연구소장)는 서울대학교 의학 박사로 20여년 간 제일약품 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 SK바이오팜 신약개발사업부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한 신약개발 전문가다.
사업개발을 총괄하는 송순호 상무(Chief Business Officer)는 동아제약, 일라이 릴리 코리아, 아스트라제네카 코리아 마케팅본부장을 역임했으며 페링 파마슈티컬스(Ferring Pharmaceuticals)에서 마케팅 및 사업개발이사로 지냈다.
-엑소좀은 최근 활발히 연구가 이뤄지는 분야인데 특징과 관련 성과를 소개하면
▲최의장: 엑소좀엔 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단백질, 지질, 핵산 등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가 들어 있다. 일리아스는 이를 다양한 희귀질환이나 난치성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 가장 최근 펀딩내역(시점과 규모, 밸류에이션 등)과 올해 상반기 안으로 추가 자금 조달 계획(증자나 메자닌 등)이 있는지
▲함대표: 2020년 코로나19와 각종 부실펀드 등으로 자본시장이 경색돼 투자유치에 어려움이 예상됐다. 그럼에도 프리 밸류 2000억원으로 시리즈 B 펀딩을 성사했다. 조달 자금은 연구 및 임상개발비, 설비투자, 운영자금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플랫폼 기술 L/O 준비를 위한 데이터 확보용 연구비용, 내년 글로벌 임상1상 진입을 위한 전임상비용, 생산 최적화를 위한 공정개발 연구비용, 운영자금 등으로 배정했다.
2021년 3분기 이후 시리즈C 라운드를 계획하고 있다. 올해 말 미국 또는 호주 FDA IND 승인 후 2022년부터 임상을 개시한다. 양산형 엑소좀 생산 공정개발 (scale-up) 연구비용, 플랫폼 기술개발, 신규적응증 개발, 등 연구개발 진척을 가속화하기 위해 조달 자금을 사용할 예정이다.
- 1년에 소진하는 자금 중에서 연구개발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
▲최의장: 19년 기준 47%, 20년 기준 68%다.
- 국내외 피어그룹을 소개한다면
▲최의장: 일리아스는 엑소좀에 탑재할 약물을 바꿔 여러 질병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확장성 큰 플랫폼 기술(EXPLOR)을 보유중이다. 이를 필두로 글로벌 제약 기업들과 전략적 협업과 L/O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엑소좀기반 혁신신약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같은 사업 구조를 토대로 미국의 코디악바이오사이언스(Codiak Biosciences)와 유럽의 에복스테라퓨틱스(Evox Therapeutics)를 피어그룹으로 꼽을 수 있다. 코디악은 작년 미국 나스닥에 상장됐고 2건의 초기 임상을 영국과 미국에서 진행 중이다. 에복스는 최근 시리즈 C 펀딩을 통해 약 9540만 달러(한화 약 1050억원)를 확보하며 임상진입 및 플랫폼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을 마련했다.
두 기업 모두 글로벌 제약사와 2건 이상의 엑소좀 의약품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계약을 체결했다. 규모는 건당 약 10억 달러(한화 약 1조1000억원) 수준이다. 글로벌 제약회사의 엑소좀에 대한 기대감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다.
- 현재 보유중인 파이프라인의 사업개발 현황 등을 업데이트한다면. 그리고 연내 R&D 목표로 세운 것은 무엇인지.
▲함대표: 첫째는 플랫폼기술을 활용해 신약물질 발굴(Discovery) 단계부터 함께 연구하는 계약(Research & Option)을 체결하는 것이다. 초기단계의 딜 또한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형태의 협력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둘째, 보유중인 파이프라인의 기술이전이다. 항염증 엑소좀인 ILB-202가 유력 후보다. ILB-202는 염증 반응의 기저 메커니즘을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올해 달성하고자 하는 가장 큰 R&D 목표는 비임상시험 완료 및 FDA IND 신청이다. ILB-202는 현재 GLP 비임상시험을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올해 말 임상 시험 승인 신청을 할 예정이다. IND를 완료하면 일리아스의 성장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이다.
- 기술성평가, 예심 청구 등 IPO 계획을 간단히 소개한다면
▲최의장: 일리아스는 키움증권, 대신증권과 주관 계약을 체결했다. 2022년 1분기 예비심사청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올해 중으로 다국적제약사와의 L/O 성사가 목표다. 연말에 미국 또는 호주 글로벌 임상 1상 IND가 제출이 완료되면 기술성평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 CEO 소개
▲일리아스바이오는 현재 공동대표 체제다. 창업자인 최 의장은 연세대 의대 세브란스 병원 신경과 전문의이자 카이스트(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교수로 재직중이다. 2015년 일리아스바이오를 설립했다.
함대표는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 말레이시아·싱가포르·브루나이 총괄대표이사, 셀젠(Celgene) 코리아 및 타이완 대표를 역임한 전문 경영인이다. 일리아스바이오의 엑소좀 원천기술 기술력에 주목하며 2019년 회사에 합류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역할 많아진 최원준, '노태문 부담 최소화' 초점
- 헥토, 스포츠토토 온라인 결제대행사 선정 '초읽기'
- 삼성, 평택 4공장 구축 속도조절 '5공장 잠정중단'
- [이사회 모니터/SOOP]‘비욘드 코리아’ 달성 목표, 글로벌 인사 전진배치
- [Company Watch]네패스, 출범 4년 만에 'FO-PLP' 사업 철수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체크멀, 영업이익률 60% 유지 관건 '비용통제'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oard Change]'전무 승진' 김성완 애경케미칼 CFO, 사내이사 연임
- 롯데의 '억울함'을 풀어줄 바이오로직스
- [ROE 분석]하나금융, 창사 최대 수익 성과...향후 계획은
- [ROE 분석]우리금융, '팬데믹 후 유일한 두자릿수'…2024년도 '톱'
- [ROE 분석]KB금융, 4대 지주 유일 '3년 연속 상승세'
- [인벤토리 모니터]셀트리온, 통합 후 마지막 잔재 '3조 재고자산'
- [SK의 CFO]SK케미칼, 묘수 찾아낼 '재무·전략통' 강석호 본부장
- [SK의 CFO]SK스퀘어, '그룹 상장사 유일 CFO 겸직' 한명진 대표
- [Board Change]삼성화재, 구영민 부사장 사내이사로 'CFO 출신만 2명'
- [SK의 CFO]SK텔레콤, 'AI 확장' 재무 기반 다지는 김양섭 C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