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CB 프리즘]'연안식당' 디딤, 30억 차입에 직영 부동산 펀드 담보6회차 투자자 '넥스아이디랩'에 '베스타스32·36호' 우선수익권 부여, 작년 부채비율 1471.6%
신상윤 기자공개 2021-05-11 09:46:51
[편집자주]
전환사채(CB)는 야누스와 같다. 주식과 채권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지배구조와 재무구조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B 발행 기업들이 시장에서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이유다. 주가가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더 큰 경영 변수가 된다. 롤러코스터 장세 속에서 변화에 직면한 기업들을 살펴보고, 그 파급 효과와 후폭풍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1년 05월 07일 14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연안식당 등 프랜차이즈 전문기업 '디딤'이 운영자금 30억원 조달을 위해 전환사채(CB)를 발행했다. 디딤은 자금 조달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와 인천시 연수구 등 직영점 부동산에 출자한 펀드 수익증권을 담보로 제공했다. 지난해 부채비율이 1000%를 넘는 등 과도한 재무 부담을 진 디딤이 경영권 손바뀜 직후 자금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코스닥 상장사 디딤은 7일 6회차 CB를 발행한다. 운영자금 30억원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이다.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각각 1%, 2%다. 만기일은 3년이며, 전환가액은 1853원으로 산출됐다.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과 50% 매도청구권(콜옵션)도 붙은 조건이다.
6회차 CB를 인수한 투자자는 '넥스아이디랩'이다. 코스닥 상장사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가 지난 4월 100억원을 출자한 100% 자회사다. 이와 관련 디딤은 CB를 발행하면서 투자자에게 담보를 제공했다.
디딤이 보유한 '베스타스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2호(베스타스사모32호)'와 '베스타스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36호(베스타스사모36호)' 수익증권을 각각 담보로 제공했다. 사채 원리금과 조기상환 수수료, 지연이자, 비용 등 일체 채무 지급 담보가 목적이다.
베스타스사모32호는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디딤 직영점 부동산을 짓는 데 투자한 펀드다. 베스타스사모36호는 경기도 고양시 디딤타운 일산점에 투자했다. 디딤은 2개 부동산 펀드 수익증권의 제1순위 우선수익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담보를 제공했다.

디딤이 사채로 30억원을 조달하면서 담보까지 얹었던 이유는 열악한 성적표에서 일부 찾을 수 있다. 디딤은 지난해 매출액 810억원, 영업손실 13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액은 35.39% 줄었고 수익성은 적자 전환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집객 영업 제한으로 임차료와 같은 고정비 부담과 프랜차이즈 매장 로열티 인하 등 영향을 받았다.
여기에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이 1471.6%를 기록하면서 과중한 재무 부담까지 졌다. 1년 내 갚아야 할 차입금 등 금융부채도 426억원을 넘는다.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흐름도 부(-)의 수치를 기록하는 등 현금 창출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창업주 이범택 전 대표가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을 매각한 것도 이 같은 배경이다. 디딤의 새 운전대를 잡은 이정민 대표는 배달전문 기업 '정담유통'을 앞세워 디딤의 경영권 지분을 인수했다. 그러나 설립 4년 차인 정담유통도 자본력이 부족한 탓에 디딤에 쏟을 재원이 충분하진 않다.
특히 정담유통은 이 전 대표를 포함한 대주주(삼진글로벌넷, 삼진앤컴퍼니, WEST POINT INVESTMENT LLC.) 지분도 3년에 걸쳐 원리금을 납입해야만 온전히 인수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디딤에 필요한 자금은 외부에 손을 뻗어 충당하고 있다.
디딤은 지난 3월에도 '이브이오리서치'와 '엠케이케어랩'에 자사주를 교환대상으로 한 교환사채(EB)를 발행해 각각 20억원, 9억원을 조달했다. 채무상환과 운영자금에 쓰였다. 이와 관련 디딤은 연내 자금 조달에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19로 여전히 외식업 환경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금융부채 등 상환해야 할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디딤 관계자는 "자금 수요가 있어 CB 발행에 나선 것"이라며 "담보를 제공한 것은 경영진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역량 '재입증'
- [RWA가 쏘아올린 VC 펀딩난]종투사 모험자본 투자 의무화, 출자 숨통 틔울까
- 세라젬, '셀트론 순환 체어' 신규 출시
- '융복합 테마파크' 모노리스, 대성파인텍 품에 안긴다
- [VC 투자기업]아이벡스메디칼, 140억 시리즈C 유치…IPO '시동'
- [VC 투자기업]앱테크 '마이비' 운영 원셀프월드, 프리A 오버클로징
- '정성재호' BNK벤처, 지역투자 선봉장 면모 '눈길'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약국 생태계 확장' 바로팜, 올해 1000억 매출 조준
- [VC 투자기업]'유전자 치료기술' 글루진테라퓨틱스, 50억 유치 순항
- [VC 투자기업]캐스팅엔, IPO 주관사에 미래에셋…2027년 상장 목표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E&A, '본드콜' 발생 태국 플랜트 계약 끊어냈다
- 삼성물산 건설부문, 성장세 가파른 '인도' 공략 본격화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오너 2세' 황규영 건화 대표, 상장 전 수익성 회복 과제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건화, IPO 재추진…도화엔지 색 지운다
- [건설리포트]SK에코플랜트, '용인 반도체' 날개 달았다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도화엔지, 미완에 그친 지배구조 안착 '안갯속'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곽준상 도화엔지 부회장, '신재생·EPC'로 새 지평 열까
- '반도체 소재' 더하는 SK에코플랜트, 효과는 내년으로
- [대광그룹은 지금]'오너 2세' 조영훈 회장, 대광건영으로 지배구조 재구축
- [대광그룹은 지금]풍부한 유동성, 사업 확장 위한 M&A 베팅 밑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