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등급 분석]롯데케미칼, ESG 불균형 리스크 대두대기오염물질 불법 배출 반복 탓 사회(S) 등급 'B'로 조정…환경·지배구조 'A'와 엇박자
이우찬 기자공개 2021-07-16 08:58:14
이 기사는 2021년 07월 14일 13:5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의 환경 리스크가 대두하는 모습이다. 대기오염 불법 배출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환경부문(E)이 강등됐다. 우수한 평가를 받는 사회(S)·지배구조(G)부문과는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롯데케미칼은 최근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의 2021년 3차 ESG 등급조정에서 환경부문이 'B+'에서 'B' 등급으로 하향됐다.
'B' 등급은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갖추기 위한 노력이 다소 필요하며, 비재무적 리스크로 인한 주주가치 훼손의 여지가 있다는 의미다. 롯데케미칼의 통합 등급도 환경부문 등급 강등으로 'A'에서 'B+'로 한 단계 조정됐다.
이번 환경부문 등급 하향 이유는 대기오염물질 불법 배출 등 환경 관련 사건·사고가 반복됐기 때문이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뿐만 아니라 지난 2019년에도 대기오염물질 불법 배출 사실이 적발된 바 있다.
전라남도는 지난달 롯데케미칼 여수공장에서 대기오염물질 불법 배출 사실을 적발해 조업정지 10일 처분을 내렸다. 배출시설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에 공기를 섞어 배출하는 '가지 배출관'을 불법 설치한 사실이 밝혀졌다.
롯데케미칼은 또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자가측정 의무를 기피한 사안에 대해 경고 처분을 받았다. 오염물질 변경 신고 미이행, 위탁폐수에 대한 운영일지를 작성하지 않은 행위에 대해서는 경고 처분과 과태료 160만원을 부과받았다.
KCGS 관계자는 "롯데케미칼은 대기자가측정 거짓 기록, 대산공장 폭발사고 등 환경 관련 사건·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사후조치가 미흡하다고 판단해 등급 하향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이 환경경영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롯데케미칼을 비롯해 롯데그룹 화학BU는 2021년을 ESG경영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힌 바 있다.
2020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2020년 대기·수질 등 오염물질 저감 시설, 감지·모니터링 시설 등 약 850억원의 환경투자를 단행하기도 했다. 이 같은 친환경 투자가 무색하게 현장에서 지속해서 벌어지는 환경 관련 사건·사고로 환경부문이 리스크로 대두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롯데케미칼의 환경부문 등급은 지배구조, 사회부문 평가와 대비를 보인다. 지배구조는 2020~2021년 'A' 등급을 획득할 만큼 우수하다. 사회부문은 최근 5년 'A+', 'A' 등급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다.
롯데케미칼은 올 3월 대표이사, 이사회 의장 분리 가능성을 명문화하는 이사회 규정을 개정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위원장은 기존 대표이사가 맡아왔으나 올해는 이를 사외이사에게 넘겼다. 지배구조 개선 작업이 꾸준히 진행 중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안전·환경 관련해 전체적인 ESG경영의 큰 방향성 아래에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 "일진머티리얼즈, 좋은 회사"
- 우리금융 회장 DLF 행정소송 2심 선고 '22일'로 연기
- TS인베, 4개 본부 체제 조직개편…세대교체 신호탄
- 국보·보그인터내셔날 "카타나골프와 골프 기어 MOU"
- [케이뱅크 IPO]카카오만으로 역부족, 피어그룹 외국계 2곳 포함
- [IPO 모니터]대성하이텍, 탄탄한 해외사업 불구 '확실한' 가격 메리트
- 이차전지 산파 CIS, 사업확대 발판은 '해외수주력'
- 삼성전자, 중요성 평가 'SCM' 키워드 첫 등장
- 리서치 조직 꾸리는 코인 거래소…콘텐츠 경쟁 시작되나
- LG마그나, 해외법인 잇딴 투자…믿는 구석은
이우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영업권 모니터링]KT&G, 인도네시아 담배사업 '손상처리' 전화위복 될까
- [주류3사 리오프닝 점검]하이트진로, 견고한 소주 '테라 리바운스'에 화력 집중
- [주류 3사 리오프닝 점검]오비맥주, 카스+비알콜 투트랙 '유동성' 회복할까
- 대상라이프사이언스, '이사회 정비' 해외 공략 시동
- [캐시플로 모니터]웅진씽크빅, 재고감소 공격투자 '실탄' 줄었다
- [thebell note]여전히 배고픈 구순의 회장님
- [2022 더벨 경영전략 포럼]"인플레 공포 속 한은 빅스텝, 소비제약 심화 우려"
- [이사회 분석]삼양식품 3세 전병우 대표, '77년생 좌우날개' 달았다
- [삼양식품을 움직이는 사람들]'IB 전문가' 장재성 부사장, '자금조달·지주사' 콘트롤 중책
- [삼양식품을 움직이는 사람들]'공직경험 시너지' 문용욱 상임고문, 해외사업 확장·이사회 변신 선봉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