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퍼스트 무버 선언]빅3 계열사 '헤드쿼터'의 돋보이는 재무 안정성⑤'2045 탄소중립' 프로젝트 이끌 현대차·기아·모비스, 투자 실탄도 '넉넉'
양도웅 기자공개 2021-09-14 08:21:30
[편집자주]
현대자동차그룹이 내연기관차에 안녕을 고한다. 경쟁사보다 5~10년 이른 전동화·탄소중립 계획을 발표하고 변화를 이끌어가기 시작했다. 전기차·수소차 기술에 대한 자신감이 밑바탕이 됐다. 미래차 시대를 앞장서 여는 현대차그룹의 전략과 재무, 풀어야하는 숙제 등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1년 09월 09일 14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최근 전 세계인을 상대로 공언한 2045년 탄소중립(탄소 순배출량 0)을 실현하기 위해선 대규모의 꾸준한 투자가 필수다. 아직 구체적인 투자 로드맵을 밝히고 있지 않지만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선 그룹 내 핵심 계열사인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우선 세 계열사의 국내 본사가 가진 현금 동원력에 관심이 모아진다. 헤드쿼터(사령부)의 든든한 뒷받침 없이는 그룹의 명운(命運)을 건 프로젝트는 시작조차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보수적으로 측정한 세 계열사가 1년 안에 활용할 수 있는 현금만 17조원에 달한다.
뿐만 아니라 낮은 부채비율과 한 자릿수대의 차입금의존도까지 고려하면 내부서 현금을 조달하는 능력도 매우 준수한 것으로 파악된다. 폭스바겐과 토요타 등 경쟁사보다 5년 일찍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야심 찬 포부를 밝힌 배경엔 이러한 두둑한 실탄과 견고한 재무 안정성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는 순환출자로 얽혀 있다. 현대모비스가 현대차를, 현대차가 기아를, 기아가 다시 현대모비스를 지배하는 구조다. 여기에 더해 현대차가 현대카드와 현대캐피탈 등 금융회사를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고 수백개의 해외법인도 보유한 점을 고려하면 세 계열사의 국내 본사 기준 현금 보유량을 측정하는 건 쉽지 않다.
이는 자동차 업계 안팎에서 세 계열사의 연결재무제표가 아닌 별도재무제표를 통해 재무상태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이유이다. 철강회사로서의 포스코의 재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선 연결이 아닌 별도재무제표를 봐야 한다는 지적과 일맥상통한다.
지난달 17일 세 계열사가 일제히 발표한 올해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현대차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3767억원, 기아는 7826억원, 현대모비스는 6331억원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수십조원에 달하는 이익잉여금의 상당 부분을 주로 만기 1년 이내의 예·적금과 CMA 등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가 단기금융상품에 넣어둔 현금은 각각 6조3856억원, 8조8901억원이다. 4조원 가량을 단기매매 목적의 채권과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현대모비스를 제외해도 세 계열사가 1년 내에 동원할 수 있는 현금은 17조원을 넘어선다.
◇ 한 자릿수대 차입금의존도···대규모 자금 '외부 조달 여력'도 충분
현금 보유량뿐 아니라 재무 안정성도 검토해야 할 부분이다. 초대형·초장기 프로젝트 '2045 탄소중립'을 위해선 그만큼 꾸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 규모가 단기간에 투자할 수 있는 능력치를 보여준다면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 등은 장기간 투자할 수 있는 역량을 나타내는 셈이다.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는 재무 안정성에서도 돋보이는 모습이다. 올해 상반기 말 현대차의 부채비율은 46.9%, 기아는 77.9%, 현대모비스는 31.1%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부채비율을 200% 아래로 관리할 것을 주문받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준수한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이다.

낮은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는 현재 보유한 막대한 규모의 현금을 포함한 자산이 대부분 내부 영업활동을 통해 확보한 자금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는 또한 향후 대규모 자금이 필요할 때 외부에서 이를 조달해도 재무구조에 부담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현대차그룹에 재무적 선택지를 넓혀주는 긍정적 효과를 준다.
재계 관계자는 "현대차를 포함한 주요 계열사들은 OCF(총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경쟁사들보다 몇 년 빨리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할 수 있었던 힘"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전 세계 자동차 시장 점유율 1, 2위를 다투는 폭스바겐과 도요타의 탄소중립 목표는 2050년으로 전해진다. 현대차그룹보다 5년이 늦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