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인캐피탈, '밤샘협상 불사' 클래시스 M&A 막전막후 작년 가을부터 수의계약 추진, 27일 오전 2시 SPA 체결
김경태 기자공개 2022-01-28 08:03:33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7일 09:4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베인캐피탈이 국내 미용산업 기업에 다시 한번 베팅했다. 베인캐피탈은 지난해 가을 정도부터 클래시스 오너일가를 접촉하기 시작했다. 주식매매계약(SPA) 타결을 앞두고 막판 협의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거래 성사를 이끌어냈다.27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은 클래시스 최대주주인 정성재 대표와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주식 중 약 3941만주(60.84%)를 인수하는 SPA를 맺었다. 거래금액은 6699억원이다. 계약금은 없고 거래종결(딜클로징)시 잔금 100%를 지급하는 일정으로 진행된다.
베인캐피탈은 글로벌에서 헬스케어, 미용산업 투자에 강점이 있다. 국내에서도 관련 산업에 속한 기업에 투자해 잇달아 대박을 터뜨렸다.
먼저 2016년 8월에 골드만삭스ASSG(Asian Special Situations Group)와 컨소시엄을 이뤄 이상록 전 회장과 재무적투자자(FI)가 보유한 카버코리아 지분 60.39%를 4300억원에 인수했다. 그 후 1년 만에 글로벌 화장품 기업 유니레버에 3조500억원을 받고 매각했다.
2017년에는 보톨리눔 톡신업체 휴젤을 9274억원에 인수했다. 지난해 8월 휴젤을 GS그룹과 IMM인베스트먼트, 중동 국부펀드 무바달라인베스트먼트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승인 절차 등 막바지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투자업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은 지난해 휴젤 매각 작업을 추진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매물을 지속적으로 탐색했다. 그러다 작년 가을경부터 클래시스를 접촉했다. 클래시스가 매각주관사를 선정하거나 옥션 딜을 추진하지는 않았지만 자문사 등을 통해 오너 일가와 본격적인 협의에 나섰다.
베인캐피탈에서는 김동욱 전무가 주도적으로 딜을 추진했고 휴젤 투자를 성공으로 이끌었던 김현승 상무도 참여했다. 김 전무는 정 대표를 직접 접촉하며 협의를 이어갔다.
이날 SPA가 체결되기까지 험난한 과정을 거치기도 했다. 이번 딜에 밝은 관계자에 따르면 애초 이달 25일 SPA 체결을 목표로 협의가 진행됐다. 하지만 문구 조율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일정이 뒤로 밀렸다.
그럼에도 베인캐피탈과 클래시스 오너 측 모두 거래 성사에 대한 의지가 컸던 탓에 릴레이 협상이 이어졌다. SPA가 최종적으로 체결된 시간은 이날 오전 2시였다는 전언이다. 양측이 밤샘 협상을 불사할만큼 막판까지 치열한 협의가 지속된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인바이츠바이오코아, 지놈프로젝트 전담 자회사 설립
- 에이프릴바이오, IPO 앞두고 이사회 힘 싣기
- '비마약성 진통제 2상 신청' 코미팜의 R&D 전략은
- '루게릭병' PRG에스앤텍 350억 시리즈 C 추진
- 'AI양자역학' 인세리브로, 경동제약과 신약개발 협업
- 시리즈A 마친 SML바이오팜, mRNA 신약 개발 도전
- 금융공기관 수장, 검피아·모피아 대신 정치권 인사 '무게'
- 토스뱅크엔 은행원이 없다
- [토스뱅크를 움직이는 사람들]홍민택 대표, 혁신과 포용의 챌린저뱅크 전도사
- [2022 VC Forum]벤처투자 냉각 위기, '중간 회수시장' 활성화 정책 필요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남양유업 M&A 법정다툼]'홍원식·한상원' 독대의 시간 관통한 부동산 이슈
- '최적 타이밍' 롯데몰 광명점 딜클로징, 교공·과기공 '방긋'
- 베어링PEA, PI첨단소재 인수금융 조달 '불확실성' 뚫을까
- [남양유업 M&A 법정다툼]갑자기 등장한 '재매각시 우선협상권', 2주만에 소멸
- [로펌 빅7 M&A 전략]김진오 김앤장 변호사 "글로벌 톱티어 책임감, 차별화된 자문 강화"
- [로펌 빅7 M&A 전략]법률시장 개방 맞선 김앤장, ‘단 하나의’ 월드클래스
- 한앤코, SKC PET필름사업 인수자금 조달 구조 '고심'
- IFC 파는 브룩필드, 초유의 ‘3차 입찰’ 패착되나
- '북미 부동산 타격' 미래에셋운용, IFC 딜클로징 변수되나
- '해외 투자 경고음' 미래에셋운용, '4600억' 워싱턴DC 빌딩도 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