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차기 리더는]이원덕 수석부사장, 트렌드 걸맞는 전략 사례들 '눈길'우리원뱅킹 브랜드 도입, RPA 활성화…직관력 상당, 금융변화 대응력 '인정'
김현정 기자공개 2022-02-08 07:37:30
이 기사는 2022년 02월 07일 18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원덕 우리금융지주 수석부사장(사진)이 자회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들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이유는 ‘뛰어난 직관력’에 있다. 오랫동안 날카로운 직관을 바탕으로 한 시의적절한 전략을 내놓으며 우리금융의 굵직한 이슈를 도맡아 처리해왔다.우리원(WON)뱅킹 브랜드 도입과 RPA 활성화, 전자문서 확산 등 은행에서 트렌드를 앞선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추후 급변하는 금융환경에서 유연한 방향을 제시할 인물로 평가받는다.
7일 우리금융 이사회 사무국 관계자는 “이 수석부사장은 직관력을 보유해 전략이나 비전 세팅에 상당한 강점이 있는 인물로 자추위에서 평가됐다”며 “추후 은행에 변화가 많을 시점인 만큼 이 수석부사장의 해당 역량이 빛을 발할 것이란 얘기가 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수석부사장은 2016년 민영화 작업, 2018년 지주사 설립, 2019년 푸본생명 블록딜, 2021년 예금보험공사 잔여지분 매각 등 큰 이슈들을 주도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런 굵직한 이슈들 뿐 아니라 은행 전략기획 임원 시절의 숨은 공적도 많다. 내부 임직원들은 그를 급변하는 금융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해 트렌디한 전략을 내놓은 장본인이라고 입을 모은다.
이 수석부사장은 우리금융 지주사 전환 전 오랫동안 은행에서 경영기획을 담당했다. 2013년 전략기획부 부장, 2015년 전략사업부 본부장, 2016년 미래전략부 본부장, 2017년 미래전략단 상무, 2017년 경영기획그룹장 상무, 2018년 경영기획그룹장 부행장 등이 모두 그의 지난 행적들이다.
‘우리WON뱅킹’ 브랜드 도입이 그의 대표적 공적이다. 우리WON뱅킹은 우리은행(W)이 모바일 금융시장의 새시대를 연다(ON)”는 뜻을 담은 우리은행의 대표 모바일뱅킹이다. 현재 가입자 1900만명을 넘어서며 우리은행 디지털 전환의 핵심 채널로 자리하고 있다. 이 수석부사장이 해당 스토리를 만든 장본인으로 전해진다.
업무프로세스자동화(RPA)을 행내 활성화시켜 본부 BPR(업무프로세스재설계)센터 업무의 자동화를 추진한 것도 그가 주도했던 일이다. 이 밖에 전자문서를 전행으로 확산시켜 대고객 접수서류를 축소하기도 했다. 해당 사례들은 행내 효율적인 문화를 확산시키고 업무 경비를 절감하는 데 적잖은 역할을 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 수석부사장이 과거 그룹의 굵직한 이슈들을 처리한 것이 회자되고 있지만 디지털에 걸맞는 은행 문화를 만드는 데도 큰 역할을 한 바 있다”며 “그가 디지털 전략에도 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는 이유”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김현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로 간 기업인]사외이사 영입의 법칙, ‘조력자를 찾아라’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이사회 지원 조직, 정보 비대칭에 기여…보완점도 많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의사결정시 오너·대표 영향력 여전히 막강
- [thebell interview]“10년을 내다보는 전략, NEXT SK 이사회의 과제”
- [thebell interview]SK식 삼권분립…이사회가 힘을 갖다
- [이사회로 간 기업인]기업 돈줄 '금융업'·밸류체인 잘 아는 '제조업' 출신 인기
- [이사회로 간 기업인]100명 중 20명…귀한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