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라운지]삼성증권 M&A 플리마켓에 고액자산가 '북적'중소기업 인수합병 도와…자문계약 급증
이돈섭 기자공개 2022-02-21 08:04:29
[편집자주]
고액자산가들의 자산관리와 문화 생활에도 트렌드가 있다. 이들은 주식과 채권, 부동산 등 투자 상품 뿐 아니라 문화 생활에도 차별화를 추구한다. PB 비즈니스에 적극적인 금융회사들은 이들만을 위한 채널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 고액자산가들의 관심사, 그리고 투자동향과 문화생활에 대해 더벨이 들여다 본다.
회사 매각 방법을 백방으로 알아봤지만 대형사 위주의 M&A 시장에서 매수자를 찾긴 쉽지 않았다. 그러던 중 이 대표는 'M&A플리마켓(벼룩시장)'을 알게 됐고, 비슷한 규모의 매수자를 찾아 지분 전량을 매각했다. 경영권은 내려놨지만 현재 회사 고문을 담당하고 있다.
삼성증권이 중소기업 M&A 장을 마련하기 위해 2019년 론칭한 'M&A플리마켓'에 고액자산가들이 몰리고 있다. 2019년 M&A 자문계약 건수는 11건이었는데 이듬해 38건으로 3배 이상 확대했다. 지난해의 경우 35건 계약을 체결하면서 전년 수준으로 순항했다.
이중 지금까지 실제 M&A가 완료된 건수는 10건. 현재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기업만 20여 곳으로, 올해 성사건수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다. 플리마켓을 찾는 기업 오너 대부분은 지방 곳곳에서 제조업 기반 소형 기업을 경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 관계자는 이어 "법인 성장 과정에서 자본시장 활용은 필수적"이라며 "삼성증권이 가진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중소기업과 기관투자자, PEF 등을 연결해 중소형 M&A 시장에서 다수의 거래를 성사시키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덧붙였다.
M&A플리마켓을 운영하고 있는 조직은 리테일부문 산하 법인컨설팅팀이다. 법인컨설팅팀은 IB 부문을 비롯한 유관부서, 외부 회계법인 등과 제휴해 자금운용과 자금조달, 자문을 제공하는 등 기업 생애주기별 솔루션을 공급하는 데 주력한다.
온라인 주총장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스타트업 IR 행사를 개최하는 등 활동폭이 넓다는 점도 특징 중 하나다. 기업 임직원들과 관계를 쌓아가면서 잠재적 고객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인데, 초고액자산가 서비스 SNI와 밀접하게 협력하기도 한다.
이런 과정 속에서 스몰·미드캡 기업이 M&A 파트너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에 착안, 2019년 M&A플리마켓을 론칭했다. 초고액 자산가가 기업 오너인 경우가 많아 이들이 느끼는 갈증을 플랫폼 제공으로 동시에 해소할 수 있다는 점도 메리트로 여겼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자산가 형성 통로는 대기업 오너와 2~3세, 전문직 종사자, 창업자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면서 "이들 수요가 제각각인 만큼 비슷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고객들에게 플랫폼을 제공해 운영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M&A플리마켓을 찾는 고객들 면면은 다양하다. 앞선 중소기업 대표 사례와 같이 수도권 밖 지방 곳곳에는 제조업 기반 소형 기업체들이 많이 있는데, 과거 제조업 주력 산업 구조가 IT 기반으로 재편되면서 기업 승계에 어려움을 느끼는 고객들이 많아졌다는 전언이다.
실제 삼성증권뿐만 아니라 금융업계 VIP 채널에서 승계전략 컨설팅은 꾸준한 수요를 기록하고 있다. 금융업권 관계자는 "시기를 막론하고 상속과 증여 문제는 자산가 최우선 관심사"라면서 "승계 역시 증여 차원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퓨처엠에서 '-29%'…김원용 사외이사의 쓴웃음
- [thebell interview]"상법 개정안은 자본시장 리트머스 시험지"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판사 출신 김태희 사외이사, 에스엠 성장에 통큰 베팅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현대차 유진 오 사외이사, 연평균 5% 수익률 기록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연평균 2%…운용업계 대부 정찬형 사외이사 성적표
- [2025 theBoard Forum]"밸류업 핵심은 이사회…대주주-일반주주 이해 맞춰야"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홀딩스 손성규 사외이사 상속 지분 포함 5배 수익
- 상법 개정안 논쟁의 순기능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LG생활건강 저점 판단…이태희 사외이사 베팅 결과는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들썩이는 방산주, 한국항공우주 사외이사 '일거양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