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제약바이오 R&D 비용 60% 증액 올해 생명과학 부문에 3120억 책정…석유화학·첨단소재 부문 상회
최은수 기자공개 2022-03-10 08:33:17
이 기사는 2022년 03월 08일 08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화학이 차세대 사업 비전을 제약·바이오에서 찾고 있다. 2020년 말 배터리 사업을 LG에너지솔루션으로 분사하고 남아 있는 내부 사업 중 생명과학부문에 가장 많은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입하는 모습이다. 올해도 작년보다 60% 늘어난 R&D 투자를 예고했다.LG화학이 올해 생명과학부문에 투입하고자 책정한 R&D 비용은 3120억원이다. 2000억원을 R&D에 투입했던 2021년 대비 60% 이상 증액한 수치다. 생명과학부문 연매출은 연 7000억원 가량인데 한해 20조원 매출을 내는 석유화학(2280억원), 5조원 안팎의 매출을 기록 중인 첨단소재(1810억원) 부문보다도 많은 비용을 투입할 예정이다.
LG화학이 투입할 전체 R&D 비용 중 생명과학본부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올해 들어 처음으로 30%를 넘어설 전망이다. 전지사업 부문(LG에너지솔루션) 분사 전까진 항상 배터리 R&D에 가장 많은 비용을 쏟아 왔다. 전체 R&D 비용의 30% 이상이 전지 부문에 쏠렸는데 올해 들어선 이 자리를 생명과학본부가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으로 보면 회사 내부서 전망한 올해 생명과학본부 매출예상액은 약 8500억원이다. 생명과학부문 총 매출액의 36.7%를 R&D에 재투자하는 셈이다. 투입규모와 비율을 국내 제약사와 비교해도 수위권이다. 한미약품의 경우 연 매출액의 약 15%에 해당하는 2000억원을 R&D에 쏟고 있다.

회사는 추가 신약 물질 기술 도입(L/I) 계획도 예고한 상태라 앞으로도 R&D 투자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글로벌 임상 3상을 앞두고 있는 통풍 치료제 티굴릭소스타트를 비롯해 40여개의 파이프라인 R&D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데 올해부터 주요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임상 진입이 속속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LG화학 관계자는 "회사 차원에서 상업화를 위한 역량 강화를 목표로 R&D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후기 임상 과제를 추가로 도입할 계획"이라며 "글로벌 신약 상업화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글로벌 혁신 신약 출시 기반을 쌓겠다"고 말했다.
LG화학은 차세대 사업 비전을 바이오에서 찾고자 R&D 투자를 늘리는 과정에서 보유 파이프라인을 직접 상업화까지 끌고가겠다는 전략을 수립했다. 신약을 직접 개발하는 만큼 앞으로도 생명과학 관련 투자는 계속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통풍 치료제 티굴릭소스타트를 L/O 없이 직접 미국에서 개발하겠다고 선언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더불어 통풍 시장은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높은 시장으로 꼽힌다. 시장 내 강자가 없어 LG화학이 상업화에 성공만 하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외 통풍 시장 규모는 2027년엔 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타 제약사나 바이오텍들이 글로벌 빅파마에 파이프라인을 L/O해 상업화를 노리는 전략과는 차별점을 둔 모습"이라며 "개발권을 이전하면 자체 상업화 역량을 제고할 기회는 줄어든다는 평가가 나오는 점과 대기업 가운데 SK가 자체 개발로 FDA 품목허가 성과를 낸 점을 두루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OE 분석]DB손보, '2조 순익·자본소실 최소화'로 20% 이익률
- [ROE 분석]현대해상, 두자릿수 이익률 이면에 자기자본 소실
- [ROE 분석]삼성화재, 자본감소 최소화하며 효익은 최대로
- [밸류업 성과 평가]10대 그룹 참여도 LG·HD현대 으뜸 한화·GS는 불참
- [밸류업 성과 평가]삼성그룹의 저조한 참여, 계열사 중 삼성화재만
- [밸류업 성과 평가]바이오·헬스 부문 밸류업 참여 다수…엘앤씨바이오 톱
- [밸류업 성과 평가]'FDA 넘은 항암제' 유한양행, 코스피 바이오·헬스 으뜸
- [ROE 분석]두자릿수 이익률 낸 손해보험사 'IFRS17·K-ICS가 기회'
- [ROE 분석]생존 기로 선 중소형 생보사, '이익률' 제고 관건
- [밸류업 성과 평가]건설·부동산 업종 현대건설 뿐, '생존'이 급선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