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제강, 미국 LNG 프로젝트 수혜 기대감 강관 수요 증가 및 수익성 확대에 영업이익 280%↑… STS강관 증설로 LNG프로젝트 공략
강용규 기자공개 2022-05-19 07:43:51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7일 15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세아제강의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에너지용 강관 수요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결과다. 앞으로 미국에서 LNG 개발 프로젝트가 다수 대기하고 있는 만큼 세아제강도 STS(스테인리스)강관의 프로젝트 단위 수주를 준비하고 있다. 이미 공급물량 확대를 위한 투자도 진행 중이다.세아제강은 2022년 1분기 개별기준 매출 4488억원, 영업이익 599억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39.5% 늘고 영업이익은 280.4% 급증했다.
세아제강 관계자는 “열연코일 등 원재료의 가격 상승에 맞춰 제품 판매단가를 인상하는 판매전략을 추진했다”며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에너지용 강관의 수요 증가 및 수익성 확대가 실적 개선의 원동력이었다”고 말했다.
최대 수출시장인 북미 지역에서의 판매성과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세아제강은 모회사 세아제강지주의 다른 자회사 세아스틸아메리카를 통해 북미 지역에 강관을 수출하는데 1분기 세아제강 매출 가운데 39.5%에 해당하는 1772억원이 세아스틸아메리카와의 거래에서 나왔다. 지난해 1분기 세아스틸아메리카와의 거래 금액은 706억원, 매출 비중은 21.9%였다.

유럽의 러시아산 에너지 대체 계획은 특히 LNG에 집중돼 있다. 앞서 3월 유럽연합이 내놓은 리파워EU 정책 입법안은 당장 올해 말까지 러시아산 LNG 수입량을 기존 150bcm에서 3분의 2인 100bcm으로 줄인 뒤 2030년까지 수입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도 연내 15bcm의 LNG를 유럽에 추가로 수출하는 등 리파워EU 정책을 지원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시장 조사기관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현재 설비투자가 진행 중인 글로벌 LNG 개발 프로젝트 24건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가 가장 많은 5건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기초설계(FEED) 단계에 있는 프로젝트를 포함하면 미국이 가장 많은 39건을 준비하고 있으며 2위 러시아는 7건에 그친다. 철강업계에서는 리파워EU 정책으로 미국에서 기초설계 단계인 LNG 프로젝트들의 진행이 촉진될 것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미국에서 LNG 개발 투자가 확대되는 것은 세아제강에게 수출물량 증가뿐만 아니라 수익성 개선의 기회이기도 하다. 영하 162도의 LNG를 수송하는 데는 일반 탄소강관이 아닌 STS강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STS강관은 영하 196도에서도 외부 충격에 버틸 수 있는 ‘저온충격인성’이 특징인 고부가 제품이다.
세아제강은 이미 이 시장의 공략을 강화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STS강관 생산량을 기존 연 8만톤에서 9만톤으로 늘리기 위해 전남 순천공장의 생산라인 증설에 올해 말까지 200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세아제강 관계자는 “STS강관 증설투자가 완료되면 LNG 프로젝트 시장에서의 강관 납품 경쟁력이 더욱 강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미국은 세아제강이 2014년 이후 추진된 셰일가스 관련 LNG 프로젝트에 모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시장으로 레퍼런스를 적극 활용해 수주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2025 서울모빌리티쇼]송호성 사장 "HMGMA 첫 생산, 내년 중반 하이브리드"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보험사 CSM 점검]삼성생명, 효율성 악화 만회한 '양적 영업성과'
- 신한라이프, 사외이사진 확대로 내부통제 역량 강화
- [보험사 CSM 점검]IFRS17 도입 2년, 계속되는 지표 '현실화' 조치
- 롯데손보, 예외모형으로 흑자 유지…기본자본 확충 필요성
- 캐롯손보, 가팔라진 적자 축소세…자본관리는 과제
- 한화손보, 사외이사진 세대교체...선임사외이사도 새로 추대
- 한화생명 GA 3사, 실적 든든한 축으로 섰다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농협손보, 3개월새 잇따른 조달…적정성 방어엔 '역부족'
- [주주총회 프리뷰]SGI서울보증 상장 후 첫 총회…관전 포인트 '배당·이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