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제강, 해상풍력 드라이브 영국 거점 마련 신설 현지법인 세아윈드 수장에 세아제강지주 김태현 대표…500억 출자 단행
이우찬 기자공개 2021-07-09 08:25:57
이 기사는 2021년 07월 07일 11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7일 재계에 따르면 세아제강지주는 출자를 통해 세아윈드(Seah Wind) 주식 639만9800주를 501억원에 취득했다. 세아윈드는 세아제강지주가 지분 100%를 보유한 해외 자회사로 해상풍력을 위한 하부구조물 일종인 모노파일을 생산 판매하는 법인으로 올해 신규 설립된 곳이다.
회사 측은 해상풍력 기초구조물 제조사업 추진을 위한 해외계열사 출자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영국 법인인 세아윈드 대표는 김태현(사진) 세아제강지주 대표이사 상무가 겸임한다. 김 대표는 세아제강 포항공장 생산담당 이사, 특수관 사업본부장 등을 지내 현장을 잘 이해하는 인물로 꼽힌다.
김 대표는 그룹의 해상풍력사업을 총괄하는 세아제강지주 OF(Offshore Foundation) 추진실 실장도 맡고 있다. 올 3월 정기주주총회를 거쳐 세아제강지주 이사회 대표이사(사내이사)로 선임됐다.
이번 출자는 영국 현지 해상풍력 사업을 위한 중간 단계로 풀이된다. 세아제강지주는 앞서 지난해 8월 영국정부와 모노파일 공급 MOU를 체결했다. 영국 험버강 남쪽에 있는 '에이블 해양 에너지 파크(AMEP)' 내 부지를 선점해 오는 2022년까지 모노파일 공장을 짓는다는 내용이다. 이르면 올해 공장 준공이 시작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이 영국 현지시장에서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을 하는 것은 세아그룹이 처음이다.
세아제강지주는 오는 2023년 영국 현지에서 모노파일을 연간 16만톤(100기) 생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국의 연간 모노파일 수요가 1조원 규모임을 고려하면 한 해 수요량 절반에 해당하는 연 100기의 모노파일은 약 5000억원 규모다. 주력 자회사인 세아제강의 2020년 매출 1조1505억원의 절반에 해당한다.
영국은 해상풍력 시장 강국으로 손꼽힌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해상풍력 누적 설치량은 35GW를 돌파했다. 영국이 29.00%로 점유율 1위 국가다. 이어 중국(28.12%), 독일(21.96%)이 뒤따른다.
업계에 따르면 모노파일은 유럽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시장의 70%를 차지한다. 영국은 유럽 모노파일 수요의 45%를 차지하나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영국은 지난해 ‘그린 산업혁명을 통한 경제 부흥’을 제창하며 해상풍력을 중점 육성사업으로 지정했다.
글로벌풍력에너지위원회(GWEC)에 따르면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은 2013년 이후 연평균 24%씩 성장하고 있으며, 해상풍력 발전용량은 2019년 29.1GW에서 2030년 234GW로 약 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아제강지주는 영국 시장에서 쌓게 될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유럽시장 공략을 확대할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장치산업의 특성상 레퍼런스가 중요한데 해상풍력 강국인 영국시장 진출을 발판으로 향후 유럽 등으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2025 서울모빌리티쇼]송호성 사장 "HMGMA 첫 생산, 내년 중반 하이브리드"
이우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oard Change]'삼성 품'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전 출신 CFO 이사회 입성
- [피플 & 보드]1400억 투자받은 실리콘투, 보드진 확대 재편
- [피플 & 보드]이마트 사외이사진, 관료 색채 덜고 전문성 '역점'
- [피플 & 보드]롯데쇼핑, 기업 출신 사외이사진 구성 의미는
- [이슈 & 보드]'자산 2조 턱밑' 한신공영, 이사회 정비 언제쯤
- [그룹 & 보드]우오현 SM 회장, 이사회 사내이사 겸직 행렬 이어갈까
- [이슈 & 보드]한일시멘트, 여성 사외이사 선임 난항
- [Board Change]삼성중공업, 사외이사 정관계 출신 선호 '눈길'
- [thebell interview]"컴플라이언스 강화 위해 준법지원인 활성화해야"
- [이슈 & 보드]삼양식품 변신 뒤엔 이사회 변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