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 환리스크 관리, 대한항공 '성과'·아시아나 '진땀' 차입금 등 달러화 부채 줄이기 '총력'
박기수 기자공개 2022-09-13 07:35:27
이 기사는 2022년 09월 07일 15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한항공이 반년 만에 외화부채 총량을 크게 줄이면서 환율 상승에 대한 리스크를 크게 덜어낸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이 13년 5개월만에 1380원을 돌파하면서 불안정한 시장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뤄낸 성과다. 아시아나항공은 달러 부채가 늘어난 만큼 달러 자산을 확보하면서 작년 말 대비 순외화부채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시장은 달러 값이 비싸지면 가장 피해를 입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항공업계를 꼽는다. 업의 특성 상 외화부채가 많고 외화자산이 적기 때문이다.
이에 위험 관리의 단순한 원리로 달러 부채를 줄이는 것이 거론된다. 달러화 차입금 비중을 줄이고 통화 스와프을 통해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책임자는 보통 CFO다. 일선에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인물들은 CFO 산하 자금전략 임원들이다.
◇반년 만에 순외화부채 2조원 줄인 대한항공
대한항공은 작년 말 연결 기준 외화자산과 외화부채가 각각 2조8431억원, 9조4497억원으로 6조6066억원의 순외화부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중 달러화 순부채는 4조8534억원으로 약 73%를 차지했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대한항공의 연결 순외화부채는 35억달러다. 상반기 말 달러 환율(1302.06원)으로 계산하면 약 4조5572억원이 나온다. 반년 만에 순외화부채가 약 2조원가량 줄어든 셈이다.
이중 달러화 순부채의 규모는 알 수 없다. 대한항공은 분기·반기에는 대략적인 순외화부채 규모만 밝힐 뿐 외화별 순자산·부채 규모는 밝히지 않는다.
다만 순부채 중 대부분이 달러화라는 점과 반기 만에 2조원이 넘는 외화순부채가 감소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달러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리스크가 줄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환율 10원 변동 시 작년 말 기준 대한항공은 약 450억원의 평가손실이 발생되는 구조였지만 올해 상반기 말에는 이 금액이 350억원으로 줄었다. 경영 불확실성을 줄여야 하는 CFO 와 재무·자금 라인 입장에서는 불안정한 시장 상황 속 일련의 성과다.
대한항공의 환율 관련 리스크는 자금기획팀 내 4명의 리스크 관리 담당이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자금기획팀은 하은용 CFO가 총괄하는 재무본부 내 '자금전략실' 산하 조직이다. 대한항공의 자금전략실장은 김준환 상무다. 환 헤지 전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선봉장 역할을 맡은 인물이 김 상무인 셈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선도·스와프·옵션 등 파생상품을 이용해 통화 등 외부적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 위험관리위원회 중심 환 관리 '총력'
아시아나항공은 화폐성 외화부채가 늘어난 만큼 자산을 최대한 확보하는 식으로 환 리스크를 최대한 헤지했다.
아시아나항공의 올해 상반기 말 달러 부채는 4조4531억원으로 1분기 말(4조1984억원)보다 2594억원 늘어났다. 다만 달러 자산도 1분기 말 8625억원에서 상반기 말 1조795억원으로 늘어나며 결과적으로 달러 순부채 총량은 1분기 말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달러를 포함한 순외화부채는 상반기 말 3조5858억원으로 1분기 말 3조5941억원과 비슷하다.
달러 확보로 최대한 환 손실을 피하려고 했지만 순부채의 총량이 비슷하기 때문에 환율 상승으로 인한 리스크를 줄였다고 보기는 힘들다. 현 외화부채 구조에서 아시아나항공은 달러 환율이 10% 상승하면 3586억원의 세전순손실을 기록한다.
아시아나항공의 환율 관련 리스크는 진종섭 전략기획본부장(전무)이 이끄는 위험관리위원회다.
진 전무가 이끄는 위원회에는 민경제 재무담당 임원대행, 임수성 전략기획담당 상무, 태기팔 구매담당 임원대행, 선완성 여객전략담당 상무, 홍지훈 화물영업담당 상무를 비롯해 자금·경영계획·회계·구매·Pricing·화물영업팀장들이 모두 참여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
- [보험사 CSM 점검]교보생명, 신계약 비슷한데 잔액은 증가…보수적 가정 빛났다
- [thebell note]관 출신 사외이사를 향한 시선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NH농협은행, 리스크 관리 체계 '완비'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인터넷은행 도입 10년…지방은행 위협하는 순익 성장
- 내부통제위원회 구성 마친 4대 금융, 구성 살펴보니
- [윤석열 대통령 탄핵]'관세' 충격이 집어삼킨 한국물…그나마 불안 덜었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채권시장 잠잠…홈플러스 여파 비우량채 '예의주시'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우티 매각, B2C 대신 데이터 기반 B2B '승부수'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소액주주 늘어난 두나무, RSU 규정 보완 '숙제'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방산·태양광 희비 '극명'…솔루션 ROE 악화 심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