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진제약, '성장·오픈이노베이션' 함께 잡을 키맨은 '40년 삼진맨' 최용주 대표 중심...해외 사업 확대, 혁신신약 R&D는 이수민 센터장 중추
최은수 기자공개 2023-01-17 13:05:01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6일 07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진제약이 해외 사업 성장과 오픈이노베이션에 방점을 찍고 올해 사업 전략을 풀어나간다. 설립 후 첫 단독 대표이자 '40년 삼진맨' 최용주 대표가 작년에 이어 다시금 회사의 키를 잡고 해외 사업 확장을 함께 노린다.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R&D와 오픈이노베이션은 SK케미칼 출신 이수민 마곡연구센터장을 주축으로 풀어나갈 예정이다.
◇최용주 대표, R&D 센터 신축·오송공장 증설 마무리→해외 사업다각화 등 첫 발
올해 삼진제약사의 사업 다각화는 최용주 대표(사진)가 지휘한다. 최 대표는 청주대학교 졸업 후 1982년부터 삼진제약에서만 근무한 인물이다. 회사는 2021년에 최 대표와 장홍순 사장을 위시해 창립(1968년) 이래 처음으로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했다. 이어 작년부터 최 대표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한 상태다.

사업 다각화를 이끌 신규 품목은 당뇨 및 내분비계를 중심으로 꾸릴 예정이다. 기존 삼진제약의 주력 품목은 해열진통제 게보린과 안정액으로 대표되는 일반의약품, 심혈관치료제 플레리스 등이다. 해당 의약품들은 2500억원 안팎인 회사 매출의 3분의 1을 차지해 왔다.
이와 함께 국내 매출액이 전체의 98% 이상을 차지하는 수익 구조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2021년 최 대표 체제 이후 삼진제약은 해외 사업 확장을 목적으로 수출과 시장개척에 나섰다. 올해도 이 기조를 이어갈 방침이다.
삼진제약 관계자는 "오송공장 GMP 확보로 또한 품질관련 대내외적 인증을 마무리해 품질경쟁력을 제고에 나설 계획"이라며 "특히 해외매출 비중 확대가 현재 전사적으로 추진 중인 사업다각화의 한 축이 되도록 역량을 모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진제약 마곡연구센터 총괄 이수민 센터장, 항암·CNS 등 미래 동력 발굴

삼진제약의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은 이수민 마곡센터장(사진)이 맡는다. 이 센터장은 신약개발, 인공지능(AI) 플랫폼 개발, 공동 연구, 투자 등의 업무를 수행한 인물이다.
이 센터장은 작년 3월 삼진제약에 합류했다. 삼진제약의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은 이 센터장 합류 전후로 확연히 갈린다. 올해도 이 센터장을 위시해 외부 협력을 통한 R&D 경쟁력 강화 기조를 이어갈 예정이다. 올해 이 센터장이 주도한 첫 협업은 국내 바이오벤처 노벨티노빌리티와의 ADC 링커-페이로드 결합체 공동 연구개발 협약이다.
삼진제약이 이 센터장 영입 후 오픈이노베이션을 주도할 수 있는 배경으론 마곡연구센터를 준공한 것과 무관치 않다. 기존 회사의 중앙연구소 인프라로는 의학적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높은 혁신 신약 R&D를 수행하기 어려웠다. 작년 센터 준공을 마치면서 고난도 R&D를 위한 초석을 쌓았다.
특히 삼진제약은 마곡 센터 구축을 통해 고도의 연구 능력과 인프라가 함께 필요한 중추신경계질환(CNS) R&D도 확대한다. CNS는 뇌-혈관 장벽(Brain Blood Barrier)을 넘어 원숭이 등 고등동물과 인간의 뇌에 대한 약물의 작용 기전을 밝히는 것이 핵심이다.
삼진제약 관계자는 "마곡 연구센터의 경우 내부에 연구기획·개발실, 제제연구실, 분석연구실, 의약합성연구실, 약리독성연구실, 동물실험실, 연구지원실 등을 갖췄다"며 "국내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활용하면 신약 후보물질 발굴과 초기연구, 개발로 이어지는 전 작업을 모두 센터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삼진제약의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은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SJP-1604), 점안제(SJP-1804)가 있다. 이 가운데 점안제 임상(2상)은 작년 중단을 선언하고 마곡연구센터 준공을 즈음해 대대적인 R&D 재정비를 선언했다. 앞서 SJP-1604는 이제 본임상(1상)에 진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위메이드, 매출 줄었지만 현금은 늘어났다
- [Company Watch]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4.8조' 물량 메모리 팔았다
- [i-point]'재무구조 개선' 오르비텍, 1분기 최대 실적 달성
- 올릭스, 주가상승 양날의 검 'CB 주식' 전환에 순손실 확대
- 보로노이, 상장유지 전략 'VRN11 자체개발과 신약 3종'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CGT 전방위 협업, 넥스트는 확장성·안정성 강점 'zCAR-T'
- [마이크로바이옴 각양각색 전략]'치료제 한계' 갑론을박, 생존 위한 '신약 원툴' 탈피 총력
- [삼익제약 IPO]제약사 스팩상장 5년만, 몸값 낮춰도 불확실성 제거 방점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인벤티지랩, 시장 의혹 빠른 대응 "DDS 기술 검증의 시간"
- 2등 부자의 밸류업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저평가 시그널: PBR 0.3]제약바이오 고평가 추세 밖에 선 일성IS·바이오노트
- [저평가 시그널: PBR 0.3]제도·규제 변화' 만난 보험주, 밸류트랩 오명 벗을까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코웨이, '2100억 CP'로 융통한 밸류업 자금
- [저평가 시그널: PBR 0.3]코오롱그룹, 신사업 전초기지 중심 저밸류 탈피
- [Financial Index/시중은행]하나은행, '비용 효율' 최고, 우리은행은 '개선세' 으뜸
- [저평가 시그널: PBR 0.3]미래에셋그룹, '밸류업'이 가른 계열사 PBR 성적
- [Financial Index/시중은행]하나은행, 외화 LCR 200% 돌파…'강달러'도 문제없다
- [Financial Index/시중은행]우리·하나 10%대 ROE, 씨티·iM·KB 이자마진 톱3
- [Financial Index/시중은행]우리은행, 리스크 관리 역량 빛났다 'NPL·충당금' 1위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디스플레이 22조 차입 '만기 연장' 택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