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이구영 대표 재선임, 美 태양광 공략 가속도 큐셀부문 흑자전환 주역...2010년 태양광 진출 이후 최대 실적
정명섭 기자공개 2023-02-20 07:28:27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6일 17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태양광 전문가 이구영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대표(사진)가 2년 더 회사를 이끈다. 큐셀부문은 이 대표 부임 이후 적자에 벗어난데다 효자 사업으로 거듭났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미국 태양광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시장 공략 속도가 더 빨라질 전망이다.
이 대표는 태양광 분야 전문가다. 김동관 부회장과 한화그룹 태양광 사업 진출 초기부터 해외 영토 확장을 이끌어왔다. 그는 한화그룹이 태양광 사업 확장을 인수한 솔라펀, 큐셀 등의 최고영업책임자(CCO)를 맡았고, 2015년에는 한화큐셀의 미국 법인장을 지내면서 한화그룹의 태양광 사업 확장에 기여했다.
이 대표의 연임은 당초부터 유력했다. 큐셀부문을 이끈 지 1년 만인 작년 2분기에 흑자전환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큐셀부문은 2020년 4분기 적자전환 이후 6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이었다.
큐셀부문은 작년 3분기, 4분기에도 영업이익이 각각 1972억원, 2319억원을 기록해 한화솔루션의 하반기 성장을 주도했다. 큐셀부문의 작년 연간 영업이익은 3501억원이다. 이는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사업에 진출한 이후 역대 최대치다.
국에서 태양광 모듈 판매가 늘었고, 태양광과 풍력 등 해외 발전 자산 매각으로 매출과 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결과다.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3분기까지 미국 주택용과 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각각 17분기, 12분기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작년 4분기도 1위 자리를 지켰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대표의 연임으로 미국 태양광 사업 확장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한화솔루션은 올해 글로벌 경기 위축에도 불구하고 미국 투자를 지속해 성장동력 강화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한화솔루션은 2024년까지 3조2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현지에 태양광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구성된 태양광 밸류체인 5단계 중 폴리실리콘을 제외한 4개 제품을 한 곳에서 생산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위해 연 3.3GW 규모의 잉곳, 웨이퍼, 셀, 모듈을 생산하는 공장을 신설하고, 연 생산 능력이 1.7GW인 모듈은 생산라인을 총 8.4GW까지 늘릴 계획이다. 한화솔루션은 우선 올해 하반기까지 미국 조지아주 달튼에 태양광 모듈 공장 증설을 마칠 예정이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태양광 시장 확대를 발판으로 올해 영업이익 1조원 이상을 달성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이미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3조6539억원, 영업이익 966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3%, 30.9% 증가한 수치다. 매출과 영업 모두 역대 최대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에스넷시스템-에스알, 여수산단 '안전관리 시스템' 도입 추진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동아ST, 100억 가치 방광염 중단…SK바팜 덕 절반 만회
- [인투셀 IPO]58% 불안한 '오버행', 우려 덜어준 '리가켐·광혁건설'
- [i-point]티사이언티픽, 옵스나우와 MOU "보안설루션 경쟁력 강화"
- [Company Watch]'TGV본부 신설' 제이앤티씨, 신사업 '내부 정비'
- [thebell interview]김두영 코스모화학 대표이사 "기술력 충분, 실적 턴어라운드 최우선 과제"
- '500억 베팅' 스틱·에이치에너지, 모햇 태양광 발전소 인수 추진
- [셀트리온 신약 로드맵]숫기 없어도 '논리·전문성' 있다, 서진석이 그리는 전략은
- [thebell interview]엠비디 "기술수출 기반 해외 활로 확장, IPO 계획 이상무"
- 퓨쳐켐 'ORR 60%' 숨은 의미, 규제기관·경쟁사와 다른 기준
정명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동성케미컬 "친환경소재 시대, 생산체계 선제 구축"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오너 3세 이우일 체제 안착…'지분승계'만 남아
- [트럼프발 관세전쟁 대응전략]SK온, 미 공장 '가동률 극대화' 플랜 가동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가성칼륨 강자 유니드, 1년만에 '수익성' 회복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첨단소재 전문가' 김양택 SK머티 대표, 한앤코 간다
- 박상규 SK이노 사장 "주가하락 원인, 캐즘-미 정권교체"
- 롯데케미칼, 레조낙 지분 매각…1.7조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