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경영분석]SC제일은행, 충당금 여파에 순이익 '뒷걸음'기업대출·파생상품 손실 리스크, '이자·비이자이익' 성장 불구 수익성 악화
박서빈 기자공개 2023-06-05 07:47:06
이 기사는 2023년 06월 02일 16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C제일은행의 수익성 지표들이 뒷걸음질 쳤다. 기업대출과 파생상품 손실 리스크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은 여파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의 고른 성장에도 충당금 전입액이 증가하면서 당기순이익이 줄어들었다.2일 금융권에 따르면 SC제일은행의 올 1분기 총자산순이익률(ROA), 자기자본순이익률(ROE)는 각각 0.51%, 9.67%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0.19%포인트와 2.87%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4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4% 감소했다.
이는 충당금이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세부적으로 올 1분기 신용손실충당금 순전입액은 187억원으로 1년 사이 173억 가까이 늘었다. 같은 기간 기타충당금 및 충당부채 순전입액은 181억원을 나타냈다. 작년 1분기에는 17억원 규모의 순환입액이 발생했었다.

SC제일은행이 충당금을 많이 쌓은 건 최근 기업대출과 파생상품평가에서 손실 리스크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먼저 기업대출에서 부실이 발생한 여파가 있었다. 1년 전 38억원의 순이자이익을 냈던 기업금융의 외부고객 부문에서 올 1분기 439억원의 순이자손실을 냈다.
위험회피파생상품에서도 순손실을 냈다. 올 1분기 위험회피파생상품 관련 순손실은 32억원 규모다. 지난해 1분기 SC제일은행은 위험회피파생상품에서 150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기업금융 부문에서 손실 리스크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SC제일은행은 사업 부문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고 있다.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여수신 및 신용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매금융, 기업과 기관 고객을 대상으로 여·수신 및 파생상품거래, 외환거래 등을 다루는 기업금융, 자금관리와 자본관리 업무 등을 담당하는 기타부문 등이다.
이 가운데 핵심 사업은 기업금융이다. 전 세계 59개 시장에 걸쳐 있는 SC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해외 투자 및 교육을 모색하는 국내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론 SC제일은행은 당기순이익 감소에도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에서는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올 1분기 이자이익은 34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9% 성장했다. 전반적인 자산 성장과 함께 금리 상승 기조 영향으로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된 효과를 보았다.
같은 기간 NIM은 1.51%로 전년 동기 대비 0.23%포인트 증가했다. 자산 규모도 전년 말보다 5.8% 늘어난 104조4473억원을 기록했다. 비이자이익은 9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했다. 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기업 외환 관리 상품 실적 향상에 힘입었다.
자본건정성 측면에서도 건실한 수준을 유지하며 감독당국 요건을 상회했다. 올 1분기 기준 SC제일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과 기본자본(Tier1)비율은 각각 21.09% 및 17.41%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8%포인트, 3.18%포인트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