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오젠 창업주의 3000억 블록딜, 엑시트 본격화 공동설립자 정혜신 보유지분 3% 해외기관투자자에 매도
정새임 기자공개 2024-03-27 15:55:48
이 기사는 2024년 03월 27일 14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알테오젠 공동 창업자이자 박순재 대표의 아내인 정혜신 전 사장(CSO)이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로 지분을 대량 처분했다. 2020년 9월 한 차례 지분매각 후 두 번째 대량매도다.정 전 사장은 지난해 퇴사해 업계선 지분 매도 가능성을 높이 점쳤다. 알테오젠이 MSD와의 계약변경으로 주가가 치솟은데 따라 엑시트를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
◇퇴사 후 6개월 뒤 지분 처분…처분단가 19만7770원
27일 오전 시장에서는 알테오젠 창업주인 정 전 사장의 블록딜 얘기가 파다했다. 이 때문에 주가가 8% 넘는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알테오젠 측은 이에 대한 질문에 "잘 모르겠다"며 "확인되면 공시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리고 알테오젠은 오후 1시께 입장문과 공시를 통해 정 전 사장이 160만주를 시간외매매로 처분했다고 밝혔다. 정 전 사장은 박 대표와 알테오젠을 세운 공동 창업자다. 사실상 지배주주로 분류된다. 처분단가는 주당 19만7770원으로 전 거래일 종가에서 9.9% 할인된 가격이다.
정 전 사장은 이번 블록딜로 알테오젠 지분 대부분을 처분했다. 지분율이 기존 3.85%(201만6000주)에서 0.78%(41만6000주)로 낮아졌다. 지분 매도로 정 전 사장이 받는 금액은 총 3164억원에 달한다.

알테오젠은 "정혜신 전 사장은 나이가 들어 더 늦기 전에 사회 유익한 활동을 위해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며 "지분은 해외 기관투자자들에게 매각됐다"고 밝혔다.
정 전 사장의 지분 매도 가능성은 지난해 퇴사로 예견됐다. 정 전 사장은 지난해 9월 30일 자로 모든 직함을 내려놓고 회사를 정리했다. 회사 설립 2008년 이후 15년 만의 퇴장이다.
핵심 멤버였던 정 전 사장은 2021년 등기임원에서 사임하며 알테오젠 경영에서 한 발 물러났다. 이후 최고전략책임자(CSO) 역할만 유지했다. 지난해 9월을 기점으로 알테오젠에서 완전히 발을 뺐다.
퇴임 후 당장의 지분 매도는 없었다. MSD와 계약 변경 이야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주가가 막 오를 시기였기 때문이다. 적정한 매도 타이밍을 기다린 것으로 보여진다.
MSD와 계약 변경 후 주가는 쭉 상승세였고 장중 22만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정 전 사장이 퇴임하던 6개월 전만 해도 6만원대였던 주가가 급등했다.
지분을 매도하기 적절한 시점이라고 본 정 전 사장은 대량매도를 결정했다. 정 전 사장이 체결한 주당 가격은 2020년 9월 지분 매도 당시 체결한 단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당시 정 사장은 역시 블록딜 방식으로 외국계 투자회사에 5만주를 주당 20만3490원에 매도했다.
◇은퇴 선언 후 엑시트 수순…연말까지 대주주 지분 락업
알테오젠 창업주의 본격적인 엑시트가 이뤄지는 모습이다. 그의 남편이자 공동 창업자인 박 대표 역시 지난해 초 은퇴를 공식화했다. 박 대표와 정 전 사장은 각각 1954년, 1957년생으로 은퇴 시기에 접어들었다.
최대주주 은퇴 이슈 등 경영 불안정성에 대한 우려와는 별개로 MSD와의 계약 변경 등 긍정적인 이슈가 뒤따랐다. 물론 오리온 등 매각시도는 불발됐다.
알테오젠은 올해 2월 MSD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 'ALT-B4'에 대한 라이선스 변경계약을 체결했다. 비독점 계약을 독점 계약으로 변경하는 대가로 267억원(2000만달러)을 추가로 받고 마일스톤 대금도 커졌다. 전체적인 계약 규모가 최대 5750억원(4억3200만달러) 커졌다. 기존에 없었던 로열티 조항도 추가됐다.
정 전 박사는 이번 블록딜을 체결하며 올해 말까지 본인 지분과 박 대표 등 가족 지분에 대해 락업을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갑자기 물량이 대거 쏟아지는 오버행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알테오젠 관계자는 "블록딜과 관계없이 회사가 진행 중인 각 플랫폼과 바이오베터, 시밀러 등 근본 사업들은 변함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인투셀 IPO]든든한 자산 '사옥'에 100억 차입, 창업주 지분 사수 기반
- 유한양행 '렉라자 병용'이 쓴 생존기간 "치료기준 바꿨다"
-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암신약 로드맵]R&D 전략 재수립, 후발주자에서 '퍼스트 무버' 입지로
- 루닛, 흑자전환 시점 연기…볼파라 효과 가시화는 '고무적'
- 60주년 맞은 휴온스, 윤성태 회장 복귀 "해외 사업 챙긴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삼양 바이오 새 수장 김경진 사장 "CDMO 글로벌 확장"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루닛의 새 조력자 이준표 SBVA 대표, '카이스트' 인연
- [이뮨온시아 IPO]자사주 활용한 신주모집 효과, 유한양행 '통 큰 결정'
- 조영제 신약 '인벤테라' 기술성평가 신청, IPO 첫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