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경영분석]웰컴저축, 충당금 영향 '제한적'…영업력 약화 '고민'지난해 순이익 302억, 충당금 2% 증가…부동산 대출채권 연체율 8.6%
김서영 기자공개 2024-04-02 13:04:14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1일 13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웰컴저축은행의 순이익이 전년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악화됐다. 다른 저축은행은 대손충당금 적립률 강화로 수익성 악화에 직격탄을 맞았다. 이와 달리 웰컴저축은행은 전년보다 대손충당금이 100억원도 늘지 않아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다만 약회된 영업력이 가장 큰 고민으로 떠올랐다. 이자수익은 전년과 비슷한데 이자비용이 크게 오르며 충당금적립전 이익이 눈에 띄게 줄었다. 수익성 지표도 나빠졌다. 웰컴저축은행은 적극적인 연체율 관리,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재무 안정성과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순이익 302억, '68%' 감소…충당금 적립액 소폭 증가
1일 웰컴저축은행은 '2023년 경영 실적 결산'을 공시했다. 웰컴저축은행은 지난해 30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936억원)과 비교해 67.73% 감소한 수치다. 저축은행업계는 전체 5000억원이 넘는 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순이익 감소 폭은 SBI저축은행이 72.87%, OK저축은행 48.7% 정도로 나타났다.
순이익이 크게 감소한 데는 영업이익 축소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충당금적립전 이익을 뜻하는 업무이익은 작년 말 2201억원으로 전년(3046억원)에 비해 27.74% 감소했다. 이는 이자수익은 6112억원으로 51억원 줄어든 데 반해 이자비용이 2388억원으로 963억원 증가하면서 이자이익이 전년보다 1014억원 감소한 3724억원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대손충당금 적립률 강화는 저축은행업계 전체에 적용되는 정책 변수였으나 웰컴저축은행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지난해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는 1809억원으로 전년(1771억원)에 비해 2.15% 소폭 증가에 그쳤다.

다만 부동산 대출채권과 관련해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 작년 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채권 연체액은 291억원으로 연체율이 4.94%를 기록했다. 2022년 말에는 0.01%에 불과했던 연체율이 5% 가까이 오른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건설업과 부동산업 연체율은 각각 10.56%, 10.97%를 기록하며 모두 10%를 넘었다. 전년까지만 해도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채권 연체율은 2%도 채 되지 않았다. 전체 부동산업 관련 대출채권 규모는 1조5467억원이고 연체액은 1334억, 연체율 8.62%로 나타났다.
웰컴저축은행은 "부동산 경기 위축, 경기회복 둔화 등 시장 환경의 어려움이 있으나 리스크 관리와 건전성 개선에 지속적으로 힘쓴 결과 손실흡수 능력은 충분하다"며 "적극적인 연체 관리,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재무 안정성 및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총자산 1년 새 1.2조 감소…10년 만에 ROA 1% 아래로
올해 웰컴저축은행의 또 다른 경영 고민은 수익성 개선이 될 전망이다.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보수적인 기준으로 대출을 취급하고 있고, 신규 영업도 예년에 비해 위축된 모습이다. 이는 곧 수익성 약화로 이어졌다.
실제 작년 말 기준 총자산 규모가 5조8953억원으로 전년 말(7조1261억원)과 비교해 1조2308억원 줄어들었다. 총자산 가운데 대출채권에서만 9001억원이 줄어들어 작년 말 4조455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감소했다. 작년 말 기업대출은 2조3811억원, 가계대출은 1조9168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각각 16.7%와 18.6% 줄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규모가 줄어들면서 구성비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기업대출 비중은 49.82%, 가계대출 비중은 40.11%로 나타났다.
특히 눈여겨볼 점은 수익성 악화다.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이익률(ROA)이 1% 아래로 떨어지면서 영업력 위축이 수치로 드러났다. 작년 말 기준 ROA는 0.46
%로 1년 새 0.91%p 하락했다. 웰컴저축은행의 ROA가 1%에 미치지 못한 건 2013년 이후 10년 만이다. 2013년 ROA는 -1.97%를 기록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
- [건설사 인사 풍향계]이종원 회장의 '선택', 임기영 HS화성 신임 대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GS건설, 브릿지론 '2조' 돌파…연내 본PF 전환할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조성한 부사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할 '토목 전문가'
- 허윤홍 GS건설 대표 "선별 수주로 리스크 관리 강화"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동욱 부사장, 플랜트사업 '외형 성장' 드라이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남경호 부사장, 건축·주택사업 '혁신' 꾀할 적임자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코오롱글로벌, 대전 선화3차 본PF 전환에 '안도'
- [이사회 분석]금강공업, '사추위' 통해 신임 사외이사 선임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이태승 부사장, 중대재해 예방하는 현장총괄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