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유동성 진단]SBI저축, 유동성비율 상승세…만기구조 '정상화'①작년 106%→133%…BIS비율도 15%, 건전성도 높였다
김서영 기자공개 2024-04-05 08:06:27
[편집자주]
최근 저축은행업계는 2022년 레고랜드 사태, 2023년 태영건설 워크아웃 등 여러 변수를 맞닥뜨리고 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사의 유동성비율이 저점과 고점을 오가며 출렁이는 모습을 보였다. 작년 말부턴 부동산PF 부실 발생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하향 안정세를 보이던 유동성비율을 다시 끌어올리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및 주요 대형사의 유동성 지표와 대출 현황 등을 바탕으로 부실 위험성과 대응 능력을 진단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4일 14시41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BI저축은행는 지난해 유동성 지표 관리에 매진했다. 유동성비율은 저축은행업계에서 하위권에 속하지만, 대출채권과 예수부채 만기구조 불일치 정도를 줄이며 안정성을 높였다. 또 보통예금의 비중을 늘리며 수익성 개선을 꾀했다.유동성뿐만 아니라 건전성 개선에도 신경 썼다. SBI저축은행은 BIS비율을 13~14% 수준에서 유지해왔으나 작년 말 15%까지 끌어올렸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비중이 낮아 2금융권 위기와는 거리가 있다지만 높아진 연체율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유동성비율 단숨에 27%p '껑충'…보통예금 확대 '지속'
SBI저축은행은 작년 말 유동성비율 132.96%를 기록했다. 이는 79개 저축은행 중 9번째로 낮은 수치다. 유동성비율은 2022년 한 해 동안 120~140% 수준이었다. 작년 3월 말 119.67%로 떨어지더니 6월 말 164.48%까지 뛰며 큰 변동성을 보였다.
유동성비율은 또 한 번 급락을 겪었다. 작년 9월 말 105.91%를 기록하며 1분기 만에 무려 58.57%p 떨어졌다. 법정기준 100%와 불과 6%p 차이도 나지 않는 수치였다. 작년 말 다시 유동성비율이 132.96%로 상승하며 안정을 되찾았다.

SBI저축은행은 수익성 방어에 집중했다. 보통예금 비중을 키워 금리 민감도가 낮은 예금 구조를 구축한 것이다. 작년 말 기준 예수금 잔액은 13조6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중 정기예금이 71.42%(9조32876억원), 보통예금이 26.89%(3조5119억원)의 비중을 차지했다. 1년 새 정기예금 비중은 12.98%p 감소한 반면 보통예금은 12.52%p 증가했다.
SBI저축은행은 '핵심예금'으로 분류되는 보통예금 비중을 늘려 수익성을 높이는 전략을 꾀했다. 보통예금은 월급통장, 생활자금 등으로 활용되는 예금으로 이자가 높지 않아 자금 이탈 가능성이 낮다. 예금기관의 수익성 측면에서 유리한 부채로 평가된다.
여기에 더해 SBI저축은행은 예수부채와 대출채권의 만기구조 불일치를 해소하며 정상화에 나섰다. 지난해 예수부채 만기구조는 예년처럼 단기화됐고, 대출채권 만기도 전년 대비 덩달아 짧아졌기 때문이다.
작년 SBI저축은행의 예수부채 중 1년 이내 만기가 돌아오는 비중이 67%(8조7541억원)로 집계됐다. 전년 말(9조569억원)보다 2.87%p 증가한 수치다. 6개월 이내 예수부채 비중도 38.1%에서 44.4%(5조8022억원)로 증가했다.
만기가 1년 이내인 대출채권 비중은 13.66%(1조6706억원)로 나타났다. 2022년 말 1년 만기 대출채권 비중이 12.65%(1조755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소폭 증가했다. 만기가 2년 넘게 남은 대출채권 비중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작년 말 만기가 2년을 초과한 대출채권은 8조8992억원으로 전년(10조8210억원) 대비 17.76% 줄었다. 비중 역시 77.95%에서 72.76%로 5.19%p 감소했다.

◇부동산PF 연체율 '0.27%', BIS비율 15% 돌파
SBI저축은행 유동성비율은 업계 전체로 보면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부동산PF 비중이 낮다는 점에서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평가다. 부동산PF 대출 규모가 크지 않아 타 경쟁사와 비교해 효율적인 유동성 관리를 이어올 수 있던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말 기준 부동산PF 대출채권 잔액은 1147억원으로 집계됐다. 한도금액 2조4461억원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전체 부동산업종 관련 대출채권의 6.1%에 불과하다. 연체액도 미미해 연체율이 0.27%를 기록했다. 과거 SBI그룹에 안기기 전 현대스위스저축은행 시절 부동산PF 대출 부실 사태를 겪었던 만큼 부동산PF 영업에 보수적으로 접근해왔던 덕분이다.
다만 연체율이 높아진 건 주의가 필요하다. 작년 말 SBI저축은행의 고정이하분류여신(NPL) 규모는 7239억원으로 총여신(12조2307억원)의 5.92%를 차지했다. 전년(3676억원) 대비 두 배가량 증가했다. NPL비율은 1년 새 2.65%에서 3.27%p 증가한 셈이다.
SBI저축은행은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건전성 지표 개선에도 신경 썼다. 작년 말 기준 BIS비율은 15%로 전년(13.38%)과 비교해 6.66%p 상승했다. 지난해 분기별 BIS비율은 상반기까지 13%대를 유지하다 3분기 말 14.54%로 0.75%p 높아졌고, 4분기 말 추가로 0.46%p 상승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
- [건설사 인사 풍향계]이종원 회장의 '선택', 임기영 HS화성 신임 대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GS건설, 브릿지론 '2조' 돌파…연내 본PF 전환할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조성한 부사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할 '토목 전문가'
- 허윤홍 GS건설 대표 "선별 수주로 리스크 관리 강화"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동욱 부사장, 플랜트사업 '외형 성장' 드라이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남경호 부사장, 건축·주택사업 '혁신' 꾀할 적임자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코오롱글로벌, 대전 선화3차 본PF 전환에 '안도'
- [이사회 분석]금강공업, '사추위' 통해 신임 사외이사 선임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이태승 부사장, 중대재해 예방하는 현장총괄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