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Watch]줄어든 IPO '의무보유', 가격제한폭 확대 영향받았나상반기 수요예측 기업 평균 확약 8.5%…"당일 매도가 수익률에 유리해"
안준호 기자공개 2024-07-01 13:46:47
이 기사는 2024년 06월 26일 15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상반기 코스닥 기업공개(IPO) 수요예측 평균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전년 대비 35% 이상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값이 감소한 것은 물론 '고점'도 낮아졌다. 확약 비율 50% 이상 기업이 3곳이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 최대치는 31% 가량에 불과했다.상장 후 주가 변동성이 커지며 수요예측 참여자들도 장기 보유보다는 당일 매도 성향이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가격변동폭을 확대한 이후 단기 매도가 유리한 전략으로 부상했다는 평가다.
◇올해 30개 기업 수요예측, 평균 확약 8.5%…전년 대비 급감
26일 증권업계와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올해 연초 이후 이날까지 총 30개 기업이 공모가 확정을 위한 기관 수요예측을 마쳤다. 1월 포스뱅크가 포문을 연 뒤 지난 19일 하스까지 일정을 소화했다. 이노스페이스, 에이치브이엠, 하스 3개사는 청약을 마친 뒤 상장을 대기 중이다.
상반기 공모주 시장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의무보유확약 비중이 예년 대비 크게 감소했다는 것이다. 올해 현재까지 수요예측 결과가 공시된 30개사의 평균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8.53%로 나타났다. 유가증권시장 기업(HD현대마린솔루션, 에이피알) 및 스팩(SPAC) 은 제외한 수치다.
평균 8.53%의 확약은 2023년, 2022년 대비 크게 감소한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경우 34개 기업이 수요예측을 진행했고 확약 비중은 평균 13.22%였다. 2022년에도 12.58%로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단순 비교하자면 올해는 전년 대비 약 35% 가량 확약이 줄었다고 볼 수 있다.
'고점'이 낮아진 것도 눈에 띄는 변화다. 올해 의무보유확약 비중이 가장 컸던 기업은 케이엔알시스템(31.86%), 이닉스(25.31%) 등이다. 이들 이외엔 20% 이상 확약 사례가 없었다. 지난해 상반기 기가비스와 필에너지, 한화리츠 등 50% 이상을 기록한 기업이 여럿 등장한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가격제한폭 확대, 단기 매도 전략 강세로 이어져…"확약 부담스럽다"
의무보유확약이란 수요예측 과정에서 기관 투자자들이 공모주를 더 받는 조건으로 일정 기간 공모주를 보유하는 제도를 말한다. 짧게는 15일에서 최장 6개월까지 확약이 가능하다. 기준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더 긴 기간을 약속할수록 우대를 준다.
통상 국내 기관들은 확약 제도를 고려해 수요예측 전략을 결정한다. 경쟁이 치열한 경우 대부분이 장기 보유를 약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장 관심이 덜한 종목을 세밀하게 분석해 선제적으로 확약을 걸기도 한다. 공모 후 재평가 가능성을 고려해 배정 물량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단 올해 들어 증권업계에서는 이런 전략에 큰 의미가 없다는 분석이 자주 나왔다. 상장일 급등 현상이 빈번해지며 가격은 높이고 확약을 포기하는 포지션이 '대세'가 됐다는 것이다. 확약으로 배정 물량을 늘리더라도 단기 매도 전략보다 수익률이 떨어지고, 위험 부담은 커지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일 가격제한폭이 공모가의 60~400%로 확대된 이후 이런 경향이 심해졌다는 평가다. 변화 이후 단기 급등에 배팅한 기관이 늘며 배정 경쟁이 과열됐다. 특히 400% 까지 오를 수 있는 상장일 매도는 수익률 측면에서도 장기 보유보다 유리한 전략이다.
실제 올해 IPO 기업 중 상장 후 주가수익률 30% 이상을 기록한 기업은 4개사에 불과하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첫날 세 배 오른 뒤 확약 해제 시점에 +30%에 수렴 한다고 가정하면, 당일 매도와 같은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 물량을 7배 더 받아야 한다"며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2025 서울모빌리티쇼]송호성 사장 "HMGMA 첫 생산, 내년 중반 하이브리드"
안준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주류 스마트오더 점검]규제가 낳은 시장, 혼술 열풍과 함께 성장
- 美 진출 올리브영, 실리콘투와 현지 출점 협업 논의
- 첫단추 꿴 'K패션' 상장, 에이유브랜즈 후속 주자는
- '공개매수' 나선 컬리…"주주가치 제고 목적"
- 청담글로벌 자회사 바이오비쥬, '중복상장' 영향은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주주제안 상정' 이마트, 달라진 소통 의지 눈길
- [thebell note]백종원 없는 더본코리아
- [캐시플로 모니터]악재 겹쳤던 모두투어, 현금흐름도 '둔화'
- [와이즈플래닛컴퍼니는 지금]유망 기업 초기 투자, 마케팅 솔루션과 '시너지'
- [와이즈플래닛컴퍼니는 지금]희비 엇갈렸던 커머스 IPO, 공모 전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