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07월 26일 07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겨쿨(겨울쿨톤), 갈웜(가을웜톤), 봄웜(봄웜톤).처음 들으면 의미를 알 수 없는 말들이 한창 유행했던 때가 있었다. 개인의 피부톤, 머리카락, 눈동자 색상과 조화를 이루는 색이 따로 있다는 '퍼스널컬러'가 SNS를 타고 인기를 얻으면서다. 자신의 퍼스널컬러를 찾기 위한 컨설팅업체까지 등장했다. 이걸 바탕으로 옷과 화장품을 사면 실패 확률을 줄이고 '찰떡'인 아이템을 찾을 수 있다나.
자신만의 색깔이 중요한 건 화장품이나 옷을 살 때뿐만은 아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들이 경쟁을 벌이는 기관투자자(LP) 콘테스트에서도 마찬가지다.
국내 PEF시장은 지난 20년동안 무럭무럭 성장해왔다. 그 결과 지난해 말 기준 누적 투자약정액은 136조원, 투자 이행액은 99조원에 이르는 거대한 시장으로 성장했다. 2004년 단 2곳에 불과했던 GP는 이제 400여개가 넘는다.
플레이어가 늘면서 해마다 LP 콘테스트 난이도는 높아지고 있다. PEF시장은 세컨더리 거래, 공동 GP 등을 통해 '윈-윈(Win-win)'이 가능한 구조지만 콘테스트만큼은 승자와 패자가 극명하다.
점점 더 치열해지는 경쟁에서 승기를 잡을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투자시장에 오래 몸담은 한 하우스의 대표는 더 이상 트랙레코드만으로는 변별력이 없다고 말한다. 남들에게는 없는 자신만의 확고한 투자 철학을 보여줘야 LP들을 설득시킬 수 있다고 했다.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프랙시스캐피탈이 떠올랐다. 프랙시스의 투자 철학은 분명하다. 미드캡 운용사로서 고속 성장하는 게임체인저 기업에 투자한다는 원칙이다. 리디, 두산로보틱스, 비즈니스온, 비욘드뮤직 등 프랙시스를 대표하는 포트폴리오에도 이같은 철학이 묻어난다. 컨설팅 출신의 운용역들이 주축이 된 하우스인 만큼 포트폴리오 기업의 밸류업에도 진심이다.
프랙시스의 올 상반기 콘테스트 성적표를 보면 이같은 투자철학은 LP들에게 유효했다. 프랙시스는 상반기 콘테스트에서 3승을 거뒀다. 특히 '별들의 전쟁'이라 불리는 국민연금 출자사업에서도 쟁쟁한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승기를 잡았다. 국민연금 출자사업 GP로 선정되면서 펀드 목표금액의 절반 이상을 채웠다.
노력이 '상수'인 PEF시장에서 훌륭한 트랙레코드 또한 이제 '상수'가 됐다. 프랙시스는 자신만의 투자철학을 앞세운 고유한 퍼스널컬러로 출자사업의 '변수'를 만들어내고 있다. 하반기에도 자신만의 퍼스널컬러를 앞세운 프랙시스의 콘테스트 연전연승을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출자사업 3승' 프랙시스캐피탈, 펀딩 목표 조기 달성 '기대'
- 국민연금 출자사업에 MBK·프리미어·프랙시스·JKL 선정
- '게임 체인저' 프랙시스, 밸류업 전략 또 통할까
- 프랙시스캐피탈 두산로보틱스 엑시트 완료 '원금 6.5배 회수 잭팟'
- 프랙시스캐피탈, 비욘드뮤직·두산로보틱스로 존재감 각인
- 프랙시스캐피탈, PEF협의회 7대 회장사 맡는다
- 프랙시스가 내놓은 비즈니스온, 글로벌 PE ‘3파전’ 구도
- '두산로보틱스 베팅' 프랙시스캐피탈, 엑시트 6배 성과
- bnw인베·프랙시스, 2차전지 기업 '네패스야하드' 550억 투자
- 프랙시스캐피탈, 비욘드뮤직 2000억 추가 투자 완료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지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외이사 BSM 점검]카카오그룹, 업종별로 갈린 사외이사 전문성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공시, 상장 공기업 반쪽 참여…재무 부담에 발목
- [사외이사 BSM 점검]더 커진 한진그룹, '법률·규제' 전문가 사외이사 과반
- [사외이사 BSM 점검]CJ그룹, 사외이사 법률·규제 전문가 80% 육박 ‘왜’
- [사외이사 BSM 점검]KT그룹, '다양성' 중심 KT와 '효율성' 높인 계열사 사외이사
- [사외이사 BSM 점검]신세계그룹, 법률·규제 사외이사 압도적, ‘전직 관료’ 선호
- [Board Change]포스코퓨처엠, 이사회 규모 감소한 이유는
- [사외이사 BSM 점검]GS그룹, 금융·기업경영 전문가 중심...다양성 부족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대주주 견제' 핵심, 오너 영향력 최대 걸림돌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이사회 최적 규모는 5~8명… 금융·재무 전문가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