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nings & Consensus]'이정헌 체제' 넥슨 첫 경영 성적표 '합격점'[컨센서스 상회]중국 매출 대폭 성장, 최대 실적 경신…4조 매출 기대감
황선중 기자공개 2024-08-09 14:54:02
이 기사는 2024년 08월 08일 17시06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넥슨이 지난 3월 출범한 '이정헌 체제'의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2분기 안정적인 실적 성장으로 '매출 4조원' 목표에 한 발짝 다가갔다.2분기 실적은 이정헌 대표(사진) 첫 경영성과가 드러나는 일종의 경영시험대였다.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 이후로 이 대표가 넥슨 경영을 진두지휘하고 있어서다. 더군다나 지난해 오웬마호니 전 대표가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라는 빛나는 성과를 일궈냈던 만큼 후임자 이 대표가 느끼는 부담감은 적잖았다.

◇실적 성장 효자는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성장을 견인한 효자는 단연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이었다. 지난 5월 중국 출시 이후 기록적인 흥행을 달성했다. 2분기 중국에서만 매출 4158억원(441억엔)을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결과적으로 2분기 넥슨의 중국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09% 증가했다. 직전분기와 비교하면 93% 증가했다.

중국 매출구조도 눈에 띄게 바뀌었다. 지난 1분기 중국 매출(2746억원·291억엔)에서 모바일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8.4%였다. 이때 모바일게임 매출은 <메이플스토리> 중국판에서 나왔다. 하지만 2분기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실적이 얹어지면서 모바일게임 매출 비중은 78.4%로 대폭 커졌다.
중국 다음으로는 일본 매출 성장세가 눈길을 끌었다. <블루 아카이브>와 <히트2>가 일본 시장에서 인기를 끌며 힘을 보탰다. <더파이널스>는 넥슨의 취약점이었던 북미·유럽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냈다. 넥슨의 2분기 지역별 매출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국 209%, 일본 97%, 북미·유럽 29%, 기타 -11%, 한국 -21%로 나타났다.
◇3분기도 성장세 전망…4조 매출 기대감
3분기도 성장 기대감은 상당하다. 우선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은 지난 5월 21일 중국 출시 이후 현재까지 계속해서 현지 모바일게임 앱마켓 매출 최상위권을 사수하고 있다. 2분기 실적에는 출시 이후 한 달여간의 매출 성과만 담겼다면 3분기에는 3개월간의 매출 성과가 담긴다.
여기에 지난달 출시한 신작 <퍼스트 디센던트>도 글로벌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지난달 기준 전세계 PC게임이 유통되는 플랫폼 '스팀'에서 최고 동시접속자 26만명을 기록했다. 글로벌 대작
넥슨은 올해 무난하게 매출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넥슨은 지난해 매출 3조9284억원을 달성하며 국내 게임업계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올해는 전년보다 실적 분위기가 더 좋은 만큼 4조원이 아닌 5조원 돌파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내 게임업계는 넥슨 홀로 독주하는 양상이다.

이정헌 대표는 "중국에 출시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새로운 지식재산권(IP)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했던 <퍼스트 디센던트> 모두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라며 "넥슨은 기존 IP의 확장과 함께 신규 IP 발굴을 통한 성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1979년생으로 넥슨 평사원에서 시작해 대표까지 오른 입지전적 인물이다. 2003년 넥슨에 합류한 뒤 한국법인인 넥슨코리아에서 퍼블리싱QM팀 팀장, 피파실 실장, 사업본부 본부장, 대표이사까지 역임했다. 지난 3월부터는 일본에 소재한 넥슨 대표로 선임돼 경영을 책임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황선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게임사 인건비 리포트]'효율 치중' 더블유게임즈, 미래 성장 '안갯속'
- 스마일게이트, 순이익 반토막에도 '실속은 2배'
- 넥슨 '카잔' 흥행 비결은 '보스전·최적화·소통'
- [게임사 인건비 리포트]넥슨게임즈, 대형 게임사 '그릇' 갖췄다
- '운영자금 확보' NEW, 케이큐브에서 투자 유치
- 탑코미디어 "K-컬처 세제혜택 정책 수혜 기대"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 카카오엔터 매각 배경에 '진퇴양난' 수익성
- 미래 불안한 JYP엔터, '군살빼기' 속도
- [게임사 인건비 리포트]'많이 말고 제대로' 소수정예로 승부하는 시프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