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밸류업 점검]지속가능한 '포용금융' 계획 담는다…건전성 지표 '양호'⑥2026년까지 5.23조 달성 목표…인뱅3사 중 고정이하여신 비율 가장 낮아
김영은 기자공개 2024-09-09 12:20:10
[편집자주]
K-밸류업 정책이 본격화 하면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윤곽을 드러냈다. 기업들은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는 등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지배구조, 이익창출력, 주주가치 등 여러 방면에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정책에 호응하는 한편 미래지속가능성장을 위한 투자유치 기회로 삼았다. 카카오뱅크가 준비하는 밸류업 전략을 살펴보고 시장의 가치평가 기준이 되는 여러 재무·비재무 요소를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9월 04일 08시34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뱅크는 기존 은행과 달리 포용금융의 과제를 밸류업 계획에 담는다.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목표를 지속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공급 및 건전성 관리 계획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 비중 30%를 순조롭게 이행하고 있다.무수익여신 등 부실이 늘어나고 있는 점은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안정적 여신 성장 및 신용평가모형(CSS) 고도화를 통해 건전성 지표를 관리 가능한 수준에서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지속할 수 있다. 다만 카카오뱅크는 인터넷은행 중 건전성 지표가 가장 양호하다.
◇상반기 중·저신용자 대출 32.4% 달성…올해 4.8조 공급 목표
카카오뱅크는 4분기 공시할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서 중저신용자대출 등 포용금융 달성 계획을 담을 예정이다. 인터넷은행에 요구되는 사회적 역할을 꾸준히 이행하기 위한 고민들이 밸류업 계획에 포함된다.

카카오뱅크는 상반기말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32.4%를 기록했다. 잔액은 약 4조7000억원에 달한다. 올해 목표 비중 및 대출잔액을 달성하는 데에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말까지 30% 비중 및 평균잔액 기준 4조8193억원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에도 인터넷은행 중 유일하게 중저신용 대출 과제를 완수했다. 지난해 카카오뱅크가 2023년 기록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30.4%로 자체 계획 목표였던 30%를 초과 달성했다. 같은 기간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는 각각 29.1% 31.5%를 달성하며 자체 목표 비중(32%, 44%)에 도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올해에는 대출공급 목표 기준이 일부 완화하면서 인터넷은행 3사 모두 과제를 순탄히 이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반기말 케이뱅크와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33.3%, 34.9%로 집계됐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2024~2026년 중·저신용자 대출의 공급 목표를 말잔 기준에서 평잔 기준 30%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없던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및 보증부 서민금융대출의 보증한도를 초과한 대출잔액을 비중 산정에 포함시켰다.
◇늘어나는 무수익여신…건전성 관리 촉각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확대함에 따라 커지는 건전성 우려에 대한 고민은 이어질 전망이다. 카카오뱅크의 상반기말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47%로 전년 동기(0.42%)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부실 상승 폭이 크지는 않지만 무수익여신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무수익여신은 이자수입이 없는 여신으로 3개월 이상 원금 상환이 연체된 여신에 이자미계상여신을 추가 반영한다. 때문에 고정이하여신보다도 더 악성으로 취급된다. 카카오뱅크의 무수익여신은 1986억원으로 그중 1912억원이 가계여신이다.
다만 다른 인터넷은행과 비교하면 건전성 지표는 우수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케이뱅크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85% 무수익여신비율 1.29%를 기록했다. 토스뱅크는 고정이하여신비율 1.23%, 무수익여신비율이 0.92%를 기록했다.
부실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자대출 신규 취급 규모를 조절하고 있다. 2분기 신규 공급액은 6000억원으로 직전분기(6600억원) 대비 9.1% 감소했다.
2026년까지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 잔액을 점차 늘려야 한다. 올해말까지 4조8193억원을 달성한 뒤 2025년 5조347억원, 최종적으로 2026년에는 5조2333억원 공급을 목표로 세웠다.
카카오뱅크는 이를 위해 안정적 담보대출을 함께 늘리면서도 CSS를 통해 상환 능력이 높은 차주를에 대한 변별능력을 강화해나가야 한다. 카카오뱅크는 이를 위해 이커머스셀러 특화 신용평가모형을 3분기부터 여신심사에 적용하고 차량이용정보, 유통소비정보 등 추가 대안정보를 활용해 고도화한 CSS를 여신심사에 적용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토스뱅크 청사진 '글로벌·기업'…이은미 대표 진가 발휘하나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부산은행, 디지털 강화 통한 가계대출 확대...지역 한계 극복
- [금융권 AI 윤리 현주소]후발주자 지방금융 3사, AI 거버넌스 수립 공동 대응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토스뱅크, '선배' 보고 배우며 흑자전환…주담대는 글쎄
- [금통위 POLL]4월 기준금리 동결 우세…'환율·금융안정' 부담 커졌다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케이뱅크, 자본력 여전히 발목…IPO 열쇠는 '기업금융'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카카오뱅크, 지방은행과 다각도 협업 나서는 까닭
- 거대 양당 연이어 은행장 소집…관세 후폭풍 대응 논의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확장성 제한적인 지방은행, 인뱅에서 돌파구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