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강화' 한화갤러리아, '비노갤러리아' 지원사격 30억 유상증자 참여, 희소성·프리미엄 와인으로 '비노494' 매장 강화
홍다원 기자공개 2024-09-09 07:49:26
이 기사는 2024년 09월 04일 14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갤러리아가 와인 수입 자회사 비노갤러리아에 실탄을 지원하면서 와인 사업 확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식음료 사업이 한화갤러리아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백화점을 기반으로 와인을 수입·유통하는 만큼 향후 경쟁력 확대와 여러 계열사와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4일 한화갤러리아에 따르면 지난 8월 2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자회사 비노갤러리아가 추진하는 유상증자에 참여해 30억원을 출자할 계획이다. 비노갤러리아가 설립후 자금을 조달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부사장은 한화갤러리아 분할 이전부터 한화솔루션 갤러리아부문 신사업전략실장으로 선임돼 갤러리아의 신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는 역할을 이어왔다. 지금은 미래비전총괄로 햄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와 푸드테크 등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비노갤러리아는 한화갤러리아 프리미엄 식품관인 '고메이494' 내에 자리잡은 와인 매장 '비노494'에 와인을 공급한다. '비노494'는 갤러리아 백화점 전 매장에 입점해 있다. 주류수입면허를 취득해 유럽과 미국 와이너리와 계약을 맺거나 도매상을 통해 매입하고 있다.
갤러리아에서는 매장을 운영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와인 수입은 비노갤러리아가 담당한다. 그간 와인수입사 등과 거래해왔지만 비노갤러리아가 직접 와인을 수입하면서 유통 비용을 줄이고 다양한 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됐다. 특히 프랑스 등 고급 와인 직매입에 집중하고 있다.
설립 초기 자본금 5억원 규모로 시작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 사업 확장을 위해 30억원을 투자에 나섰다. 갤러리아 백화점의 와인 경쟁력 등을 끌어올리기 위해 고품종 와인과 국내에 미수입된 희소성 있는 와인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투자로 한화갤러리아의 와인 매장 확대 가능성도 점쳐진다. 와인 사업을 키워나가기 위해 와인 전문 매장 '비노494'를 별도로 출점하거나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하는 방식이다. 추후 호텔, 레스토랑, 백화점 등 여러 분야로 유통 채널을 넓힐 것으로 보인다.
한화갤러리아가 보유한 다양한 매장과 VIP 고객 등 역량을 활용해 와인 수입 경쟁사와 파트너십 관계에 있는 브랜드 독점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설명이다.
이외에도 김동선 부사장이 한화갤러리아·한화호탤앤드리조트·한화로보틱스를 이끌고 있어 식음료와 로봇 사업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실제 한화로보틱스는 한화로텔앤드리조트의 '더 플라자 호텔'에서 근무하는 김슬기 소믈리에의 와인 디켄팅 기술을 적용한 '소믈리에 비노봇'을 선보였다.
다만 아직은 한화갤러리아 전체 매출 비중에서 식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다. 올해 상반기 백화점 사업부문은 2482억원, 식음료 사업부문은 215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 비중으로 보면 백화점이 92%, 식음료 부문은 8%를 차지한다.
게다가 식음료 사업 부문에 에프지코리아가 운영하는 '파이브가이즈'가 포함돼 와인 사업 자체의 매출 비중은 더욱 적을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프리미엄 와인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집중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화갤러리아 관계자는 "이번 비노갤러리아 유상증자 참여 목적은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라며 "구체적인 계획이 드러난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고품종 와인을 발굴하고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전운 감돈 코웨이 주총, 얼라인 '집중투표제' 카드 부결
- [반전 준비하는 SK온]'가뭄에 단비', 통합법인 첫 배당 인식
- [토종 AI 반도체 생태계 분석]망고부스트, '미완의 대기' DPU 상용화 이뤄낼까
- [이사회 모니터/하나카드]성영수호, '새 CEO+기존 사외이사' 조합 택했다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명확해진 M&A 원칙, 힘실릴 계열사는 어디
- 웰컴저축, 순이익 목표치 초과 달성…배당도 '두둑'
- [은행권 신지형도]김기홍 체제 3기, 전북·광주은행의 전국구 공략법은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KB캐피탈, 부동산PF 관리 집중…입출구 전략은
- KB금융, 자회사 기타비상무이사 선임 관행 깼다
- 롯데카드, 홈플러스 특혜 제공 어려운 이유는
홍다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동원의 CFO]동원F&B 조영부 CFO, 조화로운 '차입·상환' 전략
- [동원의 CFO]동원산업 백관영 CFO, '지주사 밸류업' 위한 키맨
- [두산의 CFO]'IR 베테랑' 오리콤 정승우 CFO, 재무관리 '총력'
- [두산의 CFO]'성장 가도' 두산퓨얼셀 윤재동 CFO, 투자 발판 닦는다
- [두산의 CFO]김윤건 두산테스나 CFO, '공격→보수' 투자전략 선회
- [두산의 CFO]두산로보틱스 조길성 CFO, 조달역량 강화 '과제'
- [두산의 CFO]상장부터 성장까지 이끈 두산밥캣 조덕제 CFO
- [두산의 CFO]'소방수' 두산에너빌 박상현 대표, 자금 조달 '포문'
- [두산의 CFO]'대표 CFO' 김민철 두산 사장, 위기극복 해결사
- [HD현대의 CFO]'조달 강화' HD한국조선해양, 키맨은 이종윤 전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