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이사회 평가]현대제철, 아쉬운 경영성과…이사회 구성도 부족[Weakness]③경영성과 평점 1.6 최하점, 이사회 내 사내이사 분리 미흡
윤종학 기자공개 2024-10-18 08:00:27
[편집자주]
기업 지배구조의 핵심인 이사회. 회사의 주인인 주주들의 대행자 역할을 맡은 등기이사들의 모임이자 기업의 주요 의사를 결정하는 합의기구다. 이곳은 경영실적 향상과 기업 및 주주가치를 제고하고 준법과 윤리를 준수하는 의무를 가졌다. 따라서 그들이 제대로 된 구성을 갖췄는지, 이사를 투명하게 뽑는지, 운영은 제대로 하는지 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이사회 활동을 제3자 등에게 평가 받고 공개하며 투명성을 제고하는 기업문화가 아직 정착되지 않았다. 이에 THE CFO는 대형 법무법인과 지배구조 전문가들의 고견을 받아 독자적인 평가 툴을 만들고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해 봤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14일 07시54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제철은 이사회 평가 대부분 항목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았지만 '경영성과'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배당수익률과 부채비율 등 일부 항목에서 선방하긴 했지만 철강업황 부진으로 매출성장률, 영업이익률 등 대부분 경영성과 지표가 1점대에 머물렀다.이사회의 '구성'에서도 다소 부족한 면모를 보였다.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 사내이사가 포함되는 등 독립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사회 내 소위원회와 지원조직이 미흡한 점도 개선 과제로 꼽혔다.
◇경영성과 최하점, 투자·성과·재무지표 대부분 1점대
THE CFO는 평가 툴을 제작해 '2024 이사회 평가'를 실시했다. 지난 5월 발표된 기업지배구조보고서와 2023년 사업보고서, 2024년 반기보고서 등이 기준이다. △구성 △참여도 △견제기능 △정보접근성 △평가 개선 프로세스 △경영성과 등 6개 공통지표로 이사회 구성과 활동을 평가한 결과 현대제철은 255점 만점에 145점을 받았다.

현대제철 이사회는 '경영성과' 항목에서 최하점을 기록했다. 경영성과는 이사회 구조 및 운영방식이 기업의 실적·가치에 긍정적 영향이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항목이다. 투자지표 4개, 경영성과 4개, 재무건전성 3개 등 11개 지표에 각각 5점씩 배정했다.
평가 기준은 KRX300 소속 비금융사(277개) 가운데 변수 최소화를 위해 지표값 상·하위 10% 기업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산정한 평균치다. 기준 수치 대비 20% 이상 아웃퍼폼(outperform)한 경우 만점(5점)으로 채점했다.
현대제철은 경영성과 항목에서 평점 5점 만점에 1.6점을 받았다. 매출성장률과 영업이익성장률, 자기자본이익률(ROE), 총자산이익률(ROA) 등 경영성과 지표가 가장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매출성장률 -5.22%, 영업이익성장률 -50.6%를 기록해 평균치(4.7%, -2.42%)를 하회했다. ROE와 ROA도 평균치인 6.82%, 3.76%보다 낮은 2.29%, 1.23%를 기록해 최하점인 1점으로 평가됐다.
현대제철의 경영성과 지표가 부진한 원인으로는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철강업 불황이 꼽힌다. 국내 건설경기가 좋지 않은 데다 주요 철강 수요처인 중국의 부동산 경기도 회복되지 않으며 철강 수요가 부진했다. 또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겹치며 수익성도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 밖에 투자 지표에서도 주가순자산비율(0.25배)과 주가수익률(19.87%), 총주주수익률(23.2%) 등이 평균치를 하회하며 1점을 기록했다. 재무건전성 지표 중 순차입금/EBITDA와 이자보상배율도 각각 3.43, 1.93배로 평균치에 못미쳐 최하점을 받았다.
다만 경영성과 항목 중 배당수익률과 부채비율은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수익률은 2.74%로 평균치(1.42%)를 20% 이상 웃돌며 만점인 5점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80.65%로 집계돼 평균치(91.96%)를 10% 이상 아웃퍼폼하며 4점을 받았다.
◇'이사회의장=대표이사', 이사회 독립성 아쉬움
현대제철은 경영성과 외에 '구성' 항목에서 평점 2.9점을 기록해 일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은 가장 기초적인 부분인 이사회 구성과 멤버들의 성향, 구조여부를 보기 위한 항목이다. 현대제철 이사회는 4명의 사내이사 및 5명의 사외이사 등 총 9명으로 구성돼 규모면에서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다만 독립성을 판단하는 지표들이 다소 아쉬운 평가를 받았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사외이사로만 구성돼 있는지 묻는 항목에서 사내이사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나 최하점을 기록했다. 박지순, 홍경태 사외이사와 함께 서강현 대표이사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 포함됐다.
서강현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는 점도 구성 항목 평점을 낮춘 지점이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12월 이사회를 통해 서 대표를 이사회 의장을 선임했다. 회사측은 서 대표가 사장으로서 안정적으로 이사회를 운영하기 위해 이사회 의장에 선임됐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이사회 내 소위원회 수가 적은 편으로 평가됐다. 현대제철은 이사회 내에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보수위원회 등 총 4개의 소위원회를 두고 있다. 이 중 감사위원회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상법상 의무설치 대상이다. 이를 제외하면 2개 소위원회만 추가로 설치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지방 주택 개발사업 '제자리걸음'
- [이사회 분석]롯데리츠, 'IB·회계사' 2인 감독이사 선임 '이례적'
- [i-point]씨플랫폼-엑스게이트, 총판 계약 체결
- [i-point]김연수 한컴 대표, 2025년 AI 사업 성과 '사활'
- 아이엠지티, 췌장암 국내임상 중간분석 결과 발표
- 라이프운용, 해외 패밀리오피스서 300억 펀딩
- 케이클라비스 NPL펀드 조성 지체…지방은행 유치 지연
- DS운용, 판매고 감소 속 'KB증권' 약진
윤종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해외 포트폴리오 다변화…미얀마·파키스탄 부각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 더본코리아, 생산시설 초과 가동…수요확대 대응 과제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외형성장 견인차 PCPPI, 체질 개선 과제
- 애경산업, 대표 간담회 통해 매각 검토 공식화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4조 매출' 시대 연 롯데칠성, 해외에서 길을 찾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소통 방점' 롯데지주, 이동우 대표 '수익성 개선 집중'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