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지분 빼는 '최씨 일가' 영풍정밀 재원 가능성 최윤범 회장·최창영 명예회장 영풍 주식 매도, 지분율 1% 아래로
김동현 기자공개 2024-10-16 11:33:39
이 기사는 2024년 10월 15일 14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에 이어 최 회장의 숙부인 최창영 명예회장의 영풍 지분율이 1%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달 장씨 일가(영풍)와 최씨 일가(고려아연)가 고려아연 경영권을 놓고 분쟁이 일어난 뒤 최씨 일가는 동업의 상징이던 영풍 지분을 시장에 매도하고 있다.고려아연 경영권 방어를 위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한 최 회장과 최 명예회장은 영풍 지분 매도로 300억원이 넘는 금액을 손에 쥐었을 것으로 추산된다. 해당 자금은 고려아연 지분 1.85%를 보유한 영풍정밀의 지분 확보 재원으로 활용될 것으로 관측된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씨 일가는 장씨 일가와 경영권 분쟁이 일어난 후인 지난달 23일을 기점으로 영풍 지분을 장내 매도하고 있다. 이미 지난달 4거래일(9월23~26일) 연속 지분을 판 최 회장은 지분율이 0.46%로 떨어졌고 이달 4일에도 추가 매도해 그 규모가 0.35%까지 내려갔다. 매도 전 최 회장의 영풍 지분율은 2.18%였다.
이미 최씨가에선 6명이 영풍 지분을 시장에 매도해 보유 지분을 하나도 남기지 않은 상태다. 현재 영풍 주주 중 1%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최씨 일가는 최정운 서울대 교수(3.42%), 최창근 고려아연 명예회장(3.04%), 최창규 영풍정밀 회장(2.85%) 등이 있다.
최창영 명예회장도 이달까지 영풍 주식을 팔아 보유 지분율이 1% 아래로 떨어졌다. 2014년 고려아연 등기이사로 선임되며 영풍 지분을 매입한 최윤범 회장과 달리 오래전부터 경영에 참여했던 최 명예회장은 영풍 지분율을 줄곧 4% 이상으로 유지했다.
그러다 이번 경영권 갈등이 표출되며 최 회장과 같은 시기 영풍 지분을 시장에 던져 지난달 26일, 지분율이 2.15%까지 떨어졌다. 이달 들어서도 3차례에 걸쳐 지분을 장내 매도하며 지분율이 0.79%가 됐다.

두 사람의 매도 당일 처분단가에 따라 지분을 단순 계산하면 매도 총액 규모는 약 350억원(최창영 명예회장 226억원·최윤범 회장 124억원)에 이른다. 경영권 분쟁이 분출되기 전 30만원을 밑돌던 영풍 주가가 40만원선을 넘나들 정도로 오른 결과다.
시장에선 최씨 일가가 영풍 지분 매도로 확보한 자금을 향후 영풍정밀 지분 인수에 활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최윤범 회장을 필두로 최씨 일가는 영풍정밀 지분 공개매수를 진행 중이다. 공개매수 주체로 나선 SPC 제리코파트너스에는 최윤범 회장, 최창영 명예회장, 최창규 영풍정밀 회장 등 최씨 일가가 주주로 있다.
제리코파트너스는 오는 21일까지 공개매수를 통해 발행주식 총수의 35%(551만2500주)를 인수한다는 목표로 세웠다. 매수 가격은 주당 3만5000원으로, 필요 자금은 최대 1932억원 규모다.
2014년 설립 이후 보통주 1주만 발행했던 제리코파트너스는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이후 2차례에 걸친 유상증자를 통해 공개매수에 필요한 자기자금을 460억원 규모로 늘렸다. 유상증자 과정에서 최윤범 회장뿐 아니라 그의 숙부인 최창영·최창근 명예회장, 최창규 회장과 사촌인 최민석 스틸싸이클 대표 등이 자금을 보탰다.
나머지 공개매수 자금인 1469억원은 하나증권(1269억원), TKG태광(200억원) 등으로부터 차입했다. 만기(차입기간)는 각각 6개월, 12개월이며 최소 고정금리는 5.7%로 동일하다. 제리코파트너스의 주주인 최윤범 회장과 최창영 명예회장이 현금화한 영풍 지분을 영풍정밀 인수 자금 및 이자 대금으로 활용할 것으로 관측되는 배경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지배구조 분석]율호 지분 또 매각한 이엔플러스, 경영권 행사 '계속'
- [Korean Paper]하나증권, 관세·탄핵 불확실성 속 데뷔전 나선다
- [원일티엔아이 IPO]수소 투자 드라이브, 후계자 입지 강화 계기될까
- [대한조선 IPO]조선업 슈퍼사이클 진입…실적 호조까지 더했다
- [Company & IB]파트너 새판짜는 LX하우시스, 은행계 '포용'
- [SK엔무브 IPO]아시아·미국 'NDR' 마무리…밸류 눈높이 '사전 점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서부T&D, 오너가3세 주축 시설관리 법인 출범
- [코스닥 CB 만기도래]200억 상환 앞둔 흥국에프엔비, 추가 조달 추진
- [2025 서울모빌리티쇼]'UAM 낙점' 삼보모터스, 종합 모빌리티 그룹 목표
- SK바사, 20여개 파이프라인 '선택과 집중' 속도 조절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반전 준비하는 SK온]CAPEX 감소·수주 증가, 모회사 기업가치도 견인할까
- [반전 준비하는 SK온]'가뭄에 단비', 통합법인 첫 배당 인식
- [thebell note]삼성SDI가 만들어 갈 '정답'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한화, 에어로 유증에 9800억 투입…차입부담 불가피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굳건한' HMGMA 동맹, 낙수효과 기대하는 LG·SK
- [반전 준비하는 SK온]SKIET·넥실리스 소재 계열사와 '선순환' 이뤄지나
- 이영준 롯데케미칼 사장, 미래사업 '친환경 수소' 낙점
- SKC, C레벨 직제 정비...'PM부문' CSO 격상
- [반전 준비하는 SK온]SK배터리아메리카, '백조'로 거듭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