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륵' 블록체인 계열사 손질 나서나 그라운드엑스 합병설 제기, '우후죽순' 만든 해외 자회사 정리 필요
노윤주 기자공개 2024-12-09 07:50:11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6일 08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엑스를 바라보는 카카오의 고심이 깊다. 수년간 성과가 나지 않아 타 계열사와의 합병설이 제기되고 있다.그간 그라운드엑스 매출을 책임졌던 용역 원청사 '클레이튼'도 라인넥스트 블록체인 '핀시아'와 통합헤 '카이아'로 재편됐다. 관계가 멀어지면서 이제는 무작정 그라운드엑스와 수백억원 단위 계약을 체결할 수 없다.
선택과 집중 기조하에 코인 발행을 위해 해외에 만들어둔 중간 지주사들 정리 필요성도 대두된다.
◇코인발행 위해 만든 해외 계열사만 세 곳
6일 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그라운드엑스를 비롯한 블록체인 계열사 축소를 고민하고 있다. 카카오는 그라운드엑스 설립 초기 가상자산을 발행하기 위해 해외 계열사로 지분을 우회 보유하는 복잡한 지배구조를 만들었다.
'카카오→카카오G(Kakao G Corp.)→판제아(Panzea Pte. Ltd.)→크러스트유니버스(Krust Universe Pte. Ltd.)→그라운드엑스'로 이어지는 구조다. 카카오G는 일본, 판제아와 크러스트는 싱가포르에 설립했다. 그라운드 엑스를 보유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사업을 하지 않는 지주사들이다.
2019년 클레이튼 발행 당시에는 그라운드엑스가 발행과 운영을 모두 맡았지만 2021년 크러스트에게 모든 사업, 일부 인력을 이관했다. 그라운드엑스는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에 집중한다는 계획이었다.
현재는 코인 운영권을 독립 재단인 '클레이튼 재단(현 카이아재단)'으로 넘기면서 사업을 완전 분리했다. 코인 리스크를 제거하면서 굳이 여러 계열사를 둘 필요가 없어졌다. 초창기 만들어둔 지배구조가 계열사 축소를 추진하고 있는 지금에 와서는 숫자만 늘리는 계륵이 된 셈이다.

◇수익성 문제도 대두…사업 축소설은 부인
성과가 나오지 않는 점도 고민일 수 있다. 그라운드엑스는 가상자산 지갑 클립을 운영하고 있다. 단순 지갑만으로는 매출이 나지 않는다. 이에 수익사업을 만들어보고자 한때 클립 안에서 대체불가토큰(NFT)를 거래할 수 있는 '클립 드롭스' 서비스도 출시했었다. 카카오가 보유한 주요 IP를 NFT로 만드는 게 핵심이었다.
클립드롭스는 서비스 초기 판매액 100억원을 돌파하는 등 성장했지만 NFT 불황이 예상보다 빨리 찾아오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결국 올해 10월 국내 기업 세번째공간에 클립드롭스 사업을 매각했다.
매출 대부분을 클레이튼 용역에 의지해온 것도 문제다. 작년 말 기준 그라운드엑스 매출은 342억원이다. 이 중 용역매출이 326억원에 달한다. 밀접한 관계가 있는 클레이튼 재단으로부터 받은 용역대금만 298억원이다. 현금이 아닌 가상자산으로 수령했다. 서비스 운영에서 나오는 수수료매출은 5885만원에 불과했다.
클레이튼은 라인넥스트 핀시아와 블록체인·코인을 통합해 카이아 재단으로 재탄생했다. 동시에 재단 보유 물량을 제거하는 '제로리저브' 계획도 밝혔다. 리저브는 재단 운영 재원이기도 하다. 앞으로는 재단도 노드 운영, 블록체인 거래 수수료 등 수익을 내 운영비를 충당해야 한다. 더는 수백억원 단위 용역계약을 체결하지 않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에 업계서도 계열사와 수익성 두 측면에서 그라운드엑스를 다른 기술 계열사와 합치는 게 합리적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이미 연중 한차례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내부 직원 사이에서도 향후 거취가 명확하지 않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그라운드엑스 측은 사업 축소설을 부인했다. 그라운드엑스 관계자는 "사업 축소 계획은 없다"며 "이달 중순부터 클립 별도 앱에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해 사업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카카오는 그라운드엑스에 올해 7월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운영자금으로 50억원을 투입했다. 업계서는 유상증자와 사업 구조 개편은 큰 연관성이 없다고 보고 있다. 카카오는 카카오브레인 사업 양수 2주 전에도 유상증자로 360억원을 투자한 바 있기 떄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스퀘어의 새판짜기]'2대주주 위치' 코빗·온마인드, 올해는 매각 성사될까
- [SK스퀘어의 새판짜기]SK플래닛, 수익성 위해 OK캐쉬백만 남긴다
- [SK스퀘어의 새판짜기]'흑자' 인크로스, 계열사와 다른 '사업 확장' 노선
- [Company Watch]'적자 축소' 코인원, 점유율 확대 속도 더하기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음악회사' 거듭난 드림어스, 손익개선·주가부양책 '고심'
- '진짜 대표'가 된 빗썸 이재원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원스토어, 저수익 사업 정리 '끝'…해외매출 공략
- [Company Watch]코빗, 코인 투자 덕 '순이익 흑자' 베팅전략 성공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스퀘어 임원' 이헌 대표, 티빙과 합병 완수 미션
- [SK스퀘어의 새판짜기]티맵 이사회, '밸류업' 전문가 구성…IPO 성공 밑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