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12월 06일 08:1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24년 12월 3일 오후 10시 30분, 21세기 대한민국에 때 아닌 계엄령이 선포됐다. 155분만에 사태는 일단락됐지만 여파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환율이 오르고 증권시장은 흔들렸다.비교적 외부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제약바이오 업계 역시 영향을 피하지 못했다. 주가는 떨어졌고 호재 발표 시기도 늦췄다. 연말 막판 조달을 위해 기업공개(IPO)에 나선 바이오 기업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일정을 진행해야만 했다.
이틀간 상황을 지켜보면서 문득 최근 업계 인사에 대해 다시금 생각했다. 일련의 사태가 리더의 오판에서 비롯되면서 우리 업계 리더들의 역량에 대해 돌아봤다.
모든 산업계가 그렇겠지만 제약바이오 업계는 특히 리더, 대표이사의 역량이 중요하다. 대표이사가 직접 연구개발(R&D)이나 영업을 챙겨야 하는 일이 부지기수기 때문이다.
최근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는 대표 교체가 화두였다. 업계 대장 기업들이라고 여겨지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지씨셀, 롯데바이오로직스가 그 주인공이다. 공교롭게도 모두 중요한 기로에 서 있는 기업들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3년만에 대표가 바뀌었다. 김경아 신임 대표이사 사장은 그룹 내 첫 여성 CEO라는 점에서도 크게 주목받았다. 김 대표는 전임 고한승 사장의 업적을 뛰어넘고 신약 개발이라는 새로운 사업의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지씨셀은 글로벌 영업 전문가를 대표로 선임한 지 2년 만에 R&D 출신 대표를 새롭게 선임했다. 원성용 신임 대표는 지금껏 지씨셀의 우선 과제였던 이뮨셀엘씨주의 글로벌 진출 성공은 물론 파이프라인 고도화 성과도 내야만 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새로운 수장으로 내정된 제임스박 신임 대표의 어깨는 더 무겁다. 내년 송도 메가플랜트 1공장 완공을 앞두면서 박 대표는 1공장에 대한 수주 계약을 반드시 이끌어내야 한다. 공장 건설을 위해 차입한 9000억원에 대한 연이자 500억원을 충당하기 위한 자금 마련도 과제다.
리더의 한 번의 오판이 조직의 앞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특히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들이라면 그 여파가 업계 전체에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판단 하나 하나의 무게가 더 무거워야 한다.
새롭게 대표직에 오른 업계 신임 리더들에게 따뜻한 응원과 함께 리더라는 자리의 무게와 중요성에 대해 마음 깊이 새기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남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025 카카오 리빌딩]문어발 잊어줘…새 동력 찾기 중심 '수익·이미지TF'
- [Company Watch]LGD, 작년 4분기 '흑자' 올해 기대·우려 '공존'
- SKT, AI 협업툴로 IT 대기업과 'B2B' 승부
- [퀀텀점프 2025]한글과컴퓨터 "오피스 SW 넘어 AI 기업으로 변모“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케이피에스, 디스플레이에서 제약바이오 전문사 변신
- [대진첨단소재 road to IPO]대형 고객사 따라 미국행, 공모자금 현지 공장 '올인'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아티스트유나이티드, 광고·커머스 테크 분야 'AI 접목'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루닛, '볼파라' 업고 글로벌 강화…루닛스코프 확장도 주목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매각 본격화' 맥스트, 코스닥 큰손 '의기투합'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쓰리빌리언, '글로벌매출' 확장 원년…성장동력은 AI 신약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대표 취임 후 R&D 조직 바꿨다
- CJ바이오사이언스, 이유있는 B2C 진출 '법차손·매출' 부담
- [오름테라퓨틱 IPO]"연구개발비는 못 건든다" 줄어든 공모액에 인건비 ‘싹둑’
- '물밑서 진행중' 삼성의 신약, 그룹 설득할 '투톱'에 쏠린 눈
- 삼성도 신약을? 삼성에피스, 'ADC·GT' 연내 본임상 목표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달라진 국제약품, 녹내장 개량신약 넘어 GLP-1 자체신약도
- [HLB ‘리보세라닙’ 미국 진출기]마지막 관문 ‘CMC’ 재실사 완료, FDA 지적에도 문제없다?
- [클리니컬 리포트]올릭스, 비만 다음 '탈모' 안전성 확인 '파트너십 딜' 속도
- '계열사 뭉쳐라' 동아쏘시오그룹, 'R&D 협의회' 활성화 예고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지아이이노베이션, '데이터 입증의 시기' 임상 3건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