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Watch]공모채 시장 연초부터 무기력…수요예측 규모 '반토막'정국 불안에 더해 국고채 수급 부담…연초효과 의견 분분
백승룡 기자공개 2025-01-09 11:07:33
이 기사는 2025년 01월 03일 13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새해 공모채 시장이 본격적인 개막을 앞두고 있지만 예년 수준의 활기를 띄지 못하고 있다. 탄핵 정국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회사채 금리가 높아지자 자금조달을 주저하는 기업들이 많아진 것이다. 회사채 금리와 함께 국고채 금리도 상향 압력이 유지되고 있어 채권시장의 투자수요가 국고채로 분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정치적 불확실성에 치솟는 크레딧 스프레드…기업들 자금조달 ‘주저’
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달 6일 포스코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 나서는 것을 시작으로 올해 공모채 발행시장이 막을 올린다. 이달에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SK하이닉스, LG유플러스, LG화학, 현대제철 등 30곳 안팎의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조달에 나선다. 새해 첫 달 회사채 수요예측 규모는 신고금액 기준 총 5조원 안팎으로 집계된다.
이는 지난해 1월 약 50여개 기업이 회사채 시장을 찾아 9조~10조원 규모 수요예측 장이 열렸던 것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규모다. 통상 연초는 기관의 자금 집행이 본격적으로 이뤄져,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이 가장 붐비는 시기다. 한국은행이 올해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예고한 상황에서도 연초 발행시장의 힘이 빠진 것은 지난해 말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등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진 여파다.
통상 연초에는 신용등급 AA급 이상 우량등급 회사채가 쏟아지는데, 이달에는 △한진(BBB+) △두산(BBB+/BBB0) △HL D&I(BBB+) 등 BBB급 비우량채들이 모습을 드러낸 것도 발행시장이 예년같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IB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까지만 해도 기업들의 새해 자금조달 문의가 많았다”면서도 “연말 정치적 혼란이 커지면서 기업들도 투심을 지켜본 이후 2월쯤에나 회사채를 발행하겠다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말했다.
새해 초 채권시장 금리는 국고채 3년물 2.5%, 회사채(신용등급 AA- 기준) 3년물 3.2% 등 수준으로 형성됐다. 크레딧 스프레드는 현재 69bp(1bp=0.01%포인트)로, 지난해 12월 초 59bp에서 한 달 사이 10bp 수준 확대됐다. 회사채와 국고채 간 금리차를 의미하는 크레딧 스프레드가 벌어진다는 것은 회사채 투심이 위축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크레딧 스프레드가 가장 낮았던 6월 초(약 42bp)와 비교하면 20bp 가까이 뛰었다.

◇연초효과 전망 엇갈려…”불확실성 해소” vs “국고채 물량 부담”
회사채 투심에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헌법재판관 임명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은 일단 완화 국면으로 돌아서게 됐다는 시각도 있다. 이는 최근 크레딧 스프레드의 확대세를 되돌리는 전환점으로 작용, 회사채 투자심리가 회복 기조를 나타낼 것이라는 분석으로 이어진다. 예년처럼 기관투자자들의 연초 자금집행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연초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말 헌법재판관 2명이 임명돼 헌법재판소 심리와 판결 등 후속 일정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높아졌고, 하반기에는 정상적인 국정 운영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될 수 있는 환경으로, 위축됐던 투자심리도 지속적으로 완화되면서 연초효과에 따른 크레딧 강세를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성장률 둔화 전망으로 국채, 크레딧채권의 추세적 방향성은 강세쪽"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정치적 불확실성 외에도 수급적으로 올해 국고채 금리 상향 압력이 커, 회사채 투심이 우호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확정한 올해 국고채 발행 한도는 197조6000억원으로 역대 최대다. 지난해 발행 규모(158조4000억원)보다도 39조2000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이에 더해 20조원 규모 외국환평형기금채권(원화 외평채) 발행 계획도 있는 데다가,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 가능성도 있다는 점도 국고채 금리 상승을 부추기는 요소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시장이 이미 기준금리 2.0~2.5%까지 상당 부분 선반영한 상황에서 경기에 대응한 재정의 역할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연초 추경 가능성으로 연초 효과는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 증권사 본부장은 “국고채 금리 상승 압력이 커지면 시장의 수요는 회사채 대비 유동성이 좋은 국고채로 몰릴 가능성이 크다”며 “지난해 대비 회사채 비중을 줄이는 기관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백승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롯데카드 카드채권 부실 여부에 시장 '예의주시'
- 키움증권, 카카오뱅크와 손잡고 투자자 저변 넓힌다
- [Deal Story]CJ대한통운 AA+급 금리로 회사채 완판…연기금도 '베팅'
- [판 바뀐 종투사 제도]대대적 손질…모험자본 확대·건전성 강화 '방점'
- [Deal Story]SK네트웍스, 렌터카 매각에도 공모채 투심 견조했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증권, CP 200억 셀다운…VVIP에 팔았다
- [Deal Story]키움증권, 전산장애 홍역에도 공모채 '흥행'
- 메리츠증권 기업금융본부 '삼각편대' 구축…상반기 내 30명 충원
- 상장 3년차에 자회사 IPO 청담글로벌, 주가는 '눈총'
- [윤석열 대통령 탄핵]채권시장 잠잠…홈플러스 여파 비우량채 '예의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