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에어로 약진…'주춤'한 케미칼사업[외형과 수익성/매출]①건설 흡수한 한화, 125% 증가…솔루션·토탈 역성장
고진영 기자공개 2023-12-06 15:57:35
[편집자주]
기업은 숫자로 말한다. 매출과 영업이익 기반의 영업활동과 유·무형자산 처분과 매입의 투자활동, 차입과 상환, 배당 등 재무활동의 결과물이 모두 숫자로 나타난다. THE CFO는 기업 집단이 시장과 투자자에 전달하는 각종 숫자와 지표(Financial Index)들을 분석했다. 숫자들을 통해 기업집단 내 주목해야 할 개별 기업들을 가려보고 기업집단의 재무 현황을 살펴본다. 이를 넘어 숫자를 기반으로 기업집단과 기업집단 간의 비교도 실시해봤다.
이 기사는 2023년 11월 30일 08시08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파이낸셜 인덱스(Financial Index)란?[외형과 수익성]
①매출
매출은 기업 영업활동의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외형 변화를 들여다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 잣대라고 볼 수 있다. 매출은 시장 환경에 크게 영향 받지만 회사 전략에 따른 증감도 만만치 않다. 올해 한화그룹의 매출 변화를 주요 계열사별로 살펴본다.
올해 9월 말 한화그룹은 비금융 주요계열사들의 매출이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특히 한화는 한화건설을 흡수하면서 매출이 2배 이상 뛰었다.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시 상당한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다만 그룹에서 가장 매출 규모가 큰 한화토탈에너지스와 한화솔루션은 매출이 뒷걸음질했는데 케미칼사업의 부진 탓이다.
주요 계열사의 경우 금융회사를 제외한 한화그룹의 상장사 6개, 사업보고서 제출의무가 있는 비상장사 3개 등 9개 회사의 주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했다. 다만 사업형 지주사격 회사인 한화는 별도 재무제표를 봤다.
THE CFO 집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의 9개 계열사 가운데 올해 9월 말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한화(별도)로 나타났다. 별도 매출이 5조2355억원을 기록, 지난해 9월 말보다 125.1%(2조9095억원) 늘면서 역대 최고 수치를 찍었다. 2022년 11월 한화건설을 흡수합병한 영향이다.
같은 기간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시 매출이 눈에 띄게 점프했다. 한화오션은 3조4110억원에서 5조1774억원으로 51.8%(1조7664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4조217억원에서 5조9273억원으로 47.4%(1조9055억원) 늘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16년 이후 매출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한화오션은 2015년을 시작으로 매출이 쭉 하락세를 보이다 지난해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또 한화에너지의 경우 올 9월 말 매출이 3조5492억원으로 전년 9월 말(2조8877억원)보다 22.9%(6615억원) 뛰었다. 2019년 연간 매출(7364억원)과 비교하면 이미 5배 가까이 더 많은 수치다.
이밖에도 한화시스템은 같은 기간 매출이 1조3995억원에서 1조6710억원으로 19.4%(2716억원),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5401억원에서 5945억원으로 10.1%(544억원) 증가했다.
2021년 4월 한화솔루션에 흡수합병됐다가 올해 다시 쪼개져 나온 한화갤러리아는 9월 말 289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매출이 지난해 9월 말보다 줄어든 계열사는 한화솔루션과 한화토탈에너지스 2곳이다. 한화토탈에너지스는 프랑스 토탈에너지스그룹과의 합작회사(Joint Venture)로 한화임팩트가 지분 50%, 토탈에너지스홀딩스가 나머지 지분을 가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공급 과잉과 중국 봉쇄에 따른 수급 악화로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한화토탈에너지스의 지난해 9월 말 매출은 10조7630억원이었으나 올 9월 말엔 8조7687억원으로 18.5%(1조9943억원) 줄었다. 2020년 6조원대였다가 2022년 14조원에 육박할 정도로 단기간 매출이 급증했었는데 다시 감소세로 전환한 셈이다.
한화솔루션은 그보다 감소폭은 적지만 9조7251억원에서 9조4190억원으로 매출이 3.1%(3061억원) 깎였다. 케미칼사업이 어려웠던 영향이다. 한화솔루션은 케미칼부문(기초소재)와 태양광부문(신재생에너지), 가공소재부문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케미칼부문은 지난해까지 최근 3년 외형이 확대 추세였다. 케미칼부문 매출은 2020년 약3조3300억원에서 2022년 5조9000억원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올해는 9월 말 케미칼부문 매출이 3조9747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4조6146억원)보다 약 14%줄었다. 이 기간 태양광사업 매출이 3조4865억원에서 4조2750억원으로 늘었으나 부진을 완전히 만회하긴 부족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이해진의 복귀, 네이버의 큰 그림]포시마크로 보여준 '빅딜' 성과…글로벌 기업 '한발짝'
- [유증&디테일]셀리드, 최대주주 재원 마련 방안 '지분 매도'
- [대진첨단소재 줌인]줄어든 공모자금, 미국 공장에 90% 투입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원익머트리얼즈·QnC의 흑자, 재고 감축 전략 통했다
- [Red & Blue]후공정 포트폴리오 확대한 ISC "하반기 추가 M&A"
- [Red & Blue]스피어, 특수합금 신사업 모멘텀 부각
- [thebell interview/고피자는 지금]임재원 대표 “인도 흑자전환 목표로 한식 브랜드 론칭”
- [Company Watch]한창, 애물단지 한주케미칼 매각 '눈앞'
- [AACR 2025]미국 클리아랩 인수하는 딥바이오 '매출 다변화' 예고
- [AACR 2025]대웅제약도 항암신약 경쟁 가세 "타깃·속도 자신있다"
고진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자비용 분석]한화솔루션, 흑자 전환에도 현금흐름 '빠듯'
- [저평가 시그널: PBR 0.3]한화솔루션, 자본확충 부작용…사업 호조로 반등 모색
- [저평가 시그널: PBR 0.3]상장사 225곳 기준 미달…3년새 5배 늘었다
- [Financial Index/현대차그룹]넘치는 캐시…상장사 '순현금'만 24조
- [Financial Index/현대그룹]그룹이익 29조 '주춤'…완성차 의존도 80% 넘었다
- [Financial Index/현대차그룹]그룹 매출 3년간 120조 늘었다…완성차 50% 점프
- [Financial Index/현대차그룹]배당도 못 살렸다…절반 이상은 TSR 마이너스
- [Financial Index/현대차그룹]PBR도 계열 파워…현대오토에버, 5년 평균 '3배'
- [Financial Index/현대차그룹]날개 단 현대로템, 그룹 ROE 압도…건설·철강은 '시들'
- [재무전략 분석]영업권 '줄손상' 카카오…여전히 3.7조 잔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