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interview]"버스데이, 미디어아트 IP 전방위 협업 나선다"LG전자 협업 고 김환기 화백 작품 화제…조대동 대표 "올해 프로젝트 투자 유치"
유정화 기자공개 2024-06-13 08:39:11
이 기사는 2024년 06월 07일 08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디어아트는 일상과 밀접한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버스데이(VERSEDAY)는 단순 컴퓨터 그래픽(CG) 회사가 아닌 지적재산권(IP) 라이브러리 기반 미디어아트 라이선싱 기업입니다. 저희는 아티스트 IP를 개발하고 작업물을 미래기술, 플랫폼 등 전방위로 협업해 IP 비즈니스 모델(BM)을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조대동 버스데이 대표(사진)는 지난 4일 서울 마포 서교동 버스데이 본사에서 진행한 더벨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버스데이는 종합 콘텐츠 제작업체 위지윅스튜디오에서 미디어아트 본부 전체가 분사해 2022년 12월 설립한 미디어아트 기업이다. 지난해 5월 벤처캐피탈(VC) 미시간벤처캐피탈로부터 시드 투자를 받았다.

버스데이가 독립 미디어아트 레이블로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한 건 지난해부터다. 세계적인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Frieze Seoul) 2023’에 LG전자와 협업해 헤드라인 파트너로 참여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버스데이는 LG전자 초대형 LG 올레드 TV를 캔버스로 활용해 디지털로 새롭게 구현한 고 김환기 화백의 작품을 선보였다.
◇댄서 리아킴 모션 데이터화…아티스트 IP 재해석

버스데이는 미디어아트로 산업 간 협업을 지향하고 있다. 조 대표는 "각자의 분야에서 활동을 해 온 대부분의 아티스트들에게 미디어아트는 진출하기 어려운 시장이다"며 "버스데이는 그들에게 그들의 IP를 새롭게 재해석한 미디어아트를 기획, 제작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기존 미디어아트 산업의 비용 구조에 주목했다. 아티스트가 미디어아트 작품을 제작하려면 큰 비용이 든다. 프로젝터, 스크린, 스피커 등의 장비 구매 비용뿐 아니라 고화질의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전문 인력과 소프트웨어 비용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버스데이는 이들 아티스트가 IP를 개발, 보유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대표적인 협업 사례로는 댄스 아티스트 리아킴과의 프로젝트를 꼽을 수 있다. 버스데이는 리아킴의 안무를 모션 데이터화해 리듬감 있는 궤적의 중첩된 연출, 움직이는 추상조각 예술품을 미디어아트로 전환해 새로운 IP를 개발했다. 미디어아트라는 창작물을 통해 아티스트도 IP를 보유할 수 있게 됐다.
조 대표는 "버스데이는 협업과 소통, 메시지 공유, 사회 공헌을 통해 미디어아트의 예술성과 대중성을 함께 확장하길 원한다"며 “여러 작가들과 제작한 미디어아트를 서울대학교병원에 기부하는 '기프트'(GIFT) 프로젝트를 3년째 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버스데이의 의지를 상징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협업의 분야를 천문, 물리 등 과학 분야로 확장해 서울대학교 천문 물리학부, 과천과학관, 뮤지션 오혁과 함께 3부작 미디어아트 전시 프로젝트 ‘디 오리진’을 런칭했다. 각각 ISAAC, ALBERT, STEPHEN라는 이름의 전시를 서울대학교, 과천과학관 돔극장, 성수 에스팩토리에서 진행하며 버스데이의 해석과 표현을 대중에게 알렸다.
◇전시사업·IP 개발 투트랙 매출 전략 구축
버스데이의 핵심 경쟁력은 '맨파워'다. CG 전문가인 조 대표를 비롯해 최광훈 이사, 안보근 이사 등 경영진은 미디어아트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들이다. 이외에도 음악, 퍼포먼스, 캐릭터, 회화, 영상, 조각 등 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이들이 버스데이에 소속돼 있다.
버스데이는 맨파워를 기반으로 설립 1년이 되기 전부터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했는데, 총 매출액은 12억원이다. 올해는 20억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형 프로젝트 위주의 기존 수주 사업을 진행했고, 회사의 미래 비젼으로 꾸준히 제작해 온 미디어아트 IP에도 시장이 반응했다. 현재 수주 사업과 IP 사업의 매출 비중은 약 5:5인데, 점차 IP 사업 위주로 늘려갈 계획이다.
IP 라이선싱 사업은 버스데이의 미래를 책임진다. 버스데이는 2년 간 18명의 아티스트와 30여점의 미디어아트를 자체 제작했다. 조 대표는 "앞으로는 다양한 협업에서 발생하는 자체 IP를 기반으로 상설 뮤지엄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인공지능(AI)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아트 제작, 전시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올해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전시도 있다. 조 대표는 "현재 명상과 관련한 공간 전시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는데, 이를 위한 프로젝트펀드 투자 유치를 계획하고 있다"며 "버스데이는 하나의 IP를 다양한 플랫폼과 BM으로 연결하면서 레이블로서 확장성과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금감원 "MBK, 신용등급 강등 전 회생신청 준비 정황 포착"
- [thebell interview]"왓타임, 중고시계 1등 플레이어 목표…일본 공략"
- [VC 투자기업]리코, 585억 시리즈C 투자 유치…업박스 고도화
- 오거스트벤처, 영화투자 강자 급부상 '비결은'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투자 혹한기 깨고 시리즈C 성료 임박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저축은행경영분석]위기에 빛난 애큐온저축의 남다른 '수신' 전략
- [이사회 분석]SBI저축, 금감원 출신 금융보안 전문가 사외이사 영입
- [IBK저축은행은 지금]전병성 신임 대표가 제시한 청사진, 핵심은 '건전성'
-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압도적 지지 속 연임 확정, '오화경 2기' 과제는
- 웰컴저축, 순이익 목표치 초과 달성…배당도 '두둑'
-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오화경 회장, 지방 저축은행 리테일 지원…연임 공약 보니
- [IBK저축은행은 지금]PF 정상화 '우선'…부동산 관리 체제로 본격 전환
- [IBK저축은행은 지금]떠나는 김재홍 대표가 남긴 저축은행의 '백 투 베이직'
- [IBK기업은행 인사 풍향계]전병성 IBK저축 신임 대표 "건전여신 기반 수익 개선"
- [IBK저축은행은 지금]단일 영업구역 한계, 지역 부동산 침체에 '직격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