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인더스트리

LS그룹, 에너지·이차전지 사업 속도 …'양손잡이 경영' 강조 구자은 회장, 2030년 자산 50조원 목표…'밸류체인 구축' 꾀한다

박완준 기자공개 2024-06-27 15:40:35

이 기사는 2024년 06월 27일 15:4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S그룹이 전기·전력·소재 등 기존 주력 산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CFE(탄소 배출 없는 전력)와 이차전지, 전기차와 관련된 사업도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해 '양손잡이 경영' 전략을 꾀하고 있다.

앞서 LS그룹은 구자은 회장이 2030년까지 자산 50조원 기업으로 우뚝 서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성장 비전으로는 제조 안정화와 경쟁력 확보, 미래 사업 육성 및 개척을 제시하며 'LS파트너십' 재무장을 강조했다.
LS MnM은 울산시와 지난해 11월 울산시청에서 이차전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왼쪽에서 다섯 번째부터 도석구 LS MnM 부회장,
LS그룹은 지난해 엘앤에프와 이차전지 소재인 전구체 생산을 위해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LLBS)을 설립했다. LLBS는 전북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전구체 공장을 세워 2026년 양산에 돌입한 후 2029년 12만t 생산을 계획했다. '황산니켈→전구체→양극재→폐배터리 재활용'으로 이어지는 이차전지 밸류체인 형성을 목표한다.

에너지 관련 신사업 발굴을 맡은 LS에코에너지는 지난 1월 베트남 광산업체와 '희토류 산화물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2월에는 유럽 1위 영구자석 업체인 독일 바쿰슈멜츠와 합작법인(JV) 설립에 합의했다. 두 회사는 연내 법인을 설립하고 2027년부터 연간 1000t 규모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완성차업체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LS에코에너지는 앞으로 희토류 영구자석 밸류체인 구축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원광→산화물→금속/합금→영구자석→전기차'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LS머트리얼즈는 차세대 이차전지로 불리는 울트라 커패시터(UC)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이다. 대형 UC 제품에서 세계 1위의 점유율과 기술 경쟁력을 보유했다. 오스트리아 하이(HAI)와 지난해 설립한 하이엠케이는 2025년부터 전기차용 알루미늄 배터리 케이스 부품을 본격 생산할 계획이다.

LS일렉트릭은 연초부터 미국과 영국에서 3건의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공급 및 운영 계약을 체결했으며 지난 1월에는 미국 법인인 LS에너지솔루션과 868억원 규모의 BESS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전력공급시스템 기자재를 공급키로 한 상태다.

지난 5월 말에는 592억원을 투자해 국내 중소 변압기 업체 'KOC전기'의 지분 51%를 매입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현재 부산사업장 생산공장 증설에 더해 KOC 전기 인수로 현재 2000억원 규모인 초고압 변압기 생산 능력은 내년 말 총 5000억원 규모까지 늘어날 예정이다.

LS는 전기차 충전 사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 2022년 EV 충전 인프라 구축과 운영 사업 개발을 위해 신규 법인 'LS이링크'를 E1과 공동 투자·설립했다. LS는 LS이링크를 앞세워 그룹 내 전기차 충전사업 역량을 모으고 시너지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케이블 업체 LS전선은 해상풍력발전의 핵심 수혜 기업으로 꼽힌다. LS전선은 최근 525㎸(킬로볼트) 초고압직류송전(HVDC) 케이블 양산에 돌입했다. 이 제품은 현존하는 DC 케이블 중 최고 전압 제품으로 전 세계에서 극소수 업체만 생산 역량을 갖췄다.

양산 제품은 네덜란드 국영 전력회사 테네트의 2GW(기가와트) 규모 송전망 사업 중 '발윈4'와 '란윈1' 프로젝트에 쓰인다. 북해 해상풍력단지와 독일·네덜란드 대륙을 HVDC 케이블로 잇는 사업이다.

지난 5월에는 멕시코 대용량 전력배전시스템인 버스덕트 신규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멕시코 중부 케레타로주 산업단지 내 약 12만6000㎡(약 3만8000평) 부지에 연면적 1만6800㎡(5082평) 규모로 마련될 예정이며 올해 하반기 착공해 2025년 상반기 준공이 목표다.

비철금속소재기업 LS MnM은 2029년 전기차 약 125만대 규모에 해당하는 황산니켈 6만2000톤(니켈 메탈 기준)을 생산할 예정이다.

LS엠트론은 올해 초 경북 김천시 약 4000평 규모 부지에 자율작업 트랙터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시설 '동부 메가센터'를 설립했다. E1은 에너지 시장 변화에 따라 수소,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충전 등 신사업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