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해체→재출범→축소 'AI모빌리티 대수술' 구현모호 '디지코' 지우기, '롤랩' 부진·성공 사업 부재 영향
최현서 기자공개 2024-12-02 07:02:15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9일 14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T가 스마트 물류, 차세대 이동수단 사업에서 힘을 뺐다. 인공지능(AI) 모빌리티사업단의 창설과 운영을 맡았던 최강림 단장(상무)은 KT텔레캅으로 이동했다.AI 모빌리티사업단은 2021년 첫 출범 이후 해체됐다가 재출범한 부서다. 구현모 전 사장의 '디지코(디지털 플랫폼 기업)' 지우기 생각이 담긴 재편으로 보인다.
◇재창설 8개월만에 감춘 모빌리티사업단
KT는 29일 조직개편을 통해 전략·신사업 부문이 엔터프라이즈사업부문으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전략·신사업 부문 산하에 있던 AI 모빌리티사업단도 엔터프라이즈 부문으로 이동하게 됐다.
AI 모빌리티사업단은 구현모 전 대표 체제였던 2021년 말 처음 만들어졌다. KT 내 디지털 물류 사업과 커넥티드카 사업을 총괄하는 부서였다. 김영섭 대표가 부임했던 지난해 12월 해체됐다가 올해 4월 다시 출범했다. 이번 인사로 축소 수순을 다시 밟게 됐다.
단장이었던 최 상무는 KT텔레캅으로 전출됐다. 사업단이 창설될 때부터 조직을 이끌었고 올 4월 사업단이 다시 창설되면서 단장으로 재부임했던 인물이다. 후임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KT 관계자는 "사업이 축소되거나 조직이 없어지는 건 아니다"며 "세부 조직 계획은 아직 나오지 않아 사업단의 이름 등이 그대로 유지되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롤랩 정리 효율화 시동, 디지코 흔적 벗어나기
KT가 모빌리티사업에 힘을 빼는 건 사실 예견된 수순이었다. 김영섭 KT 대표가 올 들어 비핵심 사업이나 투자 대비 효율이 나쁜 분야를 정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기 때문이다.
이번 AI 모빌리티사업단 축소에 앞서 KT는 올 2분기 AI 플랫폼 물류사업 법인 '롤랩' 지분을 매각했다. 2021년 하반기 KT가 물류기업 '팀프레시'와 합작해 세운 곳이다. 지분율은 79.8%다. 롤랩은 최 상무가 대표를 겸임했던 곳이다.
롤랩은 KT의 종속회사였던 기간 흑자를 기록하지 못했다. 오히려 적자폭은 더 커졌다. 2022년 매출 742억원, 순손실 80억원에서 지난해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1725억원, 129억원으로 확대됐다. 아직 KT는 팀프레시 지분 4.2%를 갖고 있지만 이전보다 모빌리티 사업에 힘을 빼겠다는 의지를 보인 셈이다.
AI 모빌리티사업단이 내놓은 성과는 2021년 첫 출범 이후 경기도 안양시에 도입한 자율주행버스 '주야로' 가 있다. 모빌리티사업단은 2022년부터 올해 8월까지 네이버시스템, 대보정보통신과 컨소시엄을 맺고 자율주행버스 사업에 참여했다. 사업 규모는 95억원 수준이었다.
이번 재편은 구 전 대표의 흔적 지우기 측면에서 의미도 있다는 내부 평가가 나온다. AI 모빌리티사업단은 구 전 대표가 '디지코'를 표방하며 창설한 조직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갤럭시 언팩 2025]삼성의 AI폰 진화 전략, '소비자 중심' 원칙 확고
- [갤럭시 언팩 2025]'엔비디아' 출신이 확신한 '무한' XR 경쟁력
- 지주사 전환 취소 빙그레, 초조했던 '2개월'
- 고려아연, '영풍 빼고' MBK에 화해 제스처...반응은 '냉랭'
- [2025 신풍제약 재도약]유제만 대표 "체질개선 시기 지나 이제는 결실의 시간"
- [Red & Blue]갑자기 거래량 뛴 밸로프, 본업 성장 기대감 지속될까
- [i-point]채비, SaaS형 운영시스템·모바일 앱 '차징허브' 론칭
- [i-point]빛과전자, 해외 시장 공략 본격화
- [i-point]에스넷그룹, 제2기 '네트워크 엔지니어 양성 과정’ 성료
- [i-point]노을, 아세안 최대 시장 태국서 AI 의료기기 인허가 획득
최현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쏠리드, 트럼프 네트워크 투자 확대 소식에 '주가 훈풍'
- [안랩 30년의 명암]늘어난 배당금, 창업주 '곳간 채우기' 역할
- [안랩 30년의 명암]12년만에 가격 올린 V3, 영업비용 방어 '통할까'
- [안랩 30년의 명암]2018년부터 준비한 AI '성과는 안 보인다'
- [안랩 30년의 명암]실패만 맛본 해외 진출 20년, 중동에선 다를까
- 카카오 변호인단 "SM 시세조종 지시? 당시 일본 출장"
- [안랩 30년의 명암]로드맵 구상 10년, 실패한 투자 계획
- [안랩 30년의 명암]후배 도우려다 탄생한 V3, 백신 대명사 됐다
- 이노와이어리스, '자본잠식' 큐셀네트웍스 합병
- 우아한형제들, 상생안 곧 시행·오프라인 신사업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