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1월 13일 07:0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바이오팜이 2024년을 기점으로 영업이익 흑자를 이룰 전망이다. 글로벌 신약 '세노바메이트'로 4년 만에 매출 5000억원 달성과 함께 수익성 확보 성과도 얻었다. 2011년 설립 후 번듯한 기업으로 서기까지 13년이 걸렸다. 1993년 SK그룹 내 프로젝트팀으로 신약 연구를 시작한 기간을 고려하면 도합 21년이다.신약 허가 전까지 SK바이오팜은 단 한 번도 흑자를 낸 적 없다. 매년 수백억원씩 적자가 이어졌고 심할 때는 한해 적자가 2000억원을 넘기도 했다. SK라는 든든한 뒷배가 없었다면 지금의 SK바이오팜은 세상에 없을 가능성이 높다. 신약 허가를 받은 뒤 상장할 수 있었던 이유도 외부조달의 필요성이 낮았기 때문이다.
SK바이오팜은 1%의 '금수저'와 같다. 99%는 상장이 유일한 조달창구인 '흙수저' 바이오텍이다. 공모시장으로 진출해 기술력을 어필하고 어렵게 모은 자금을 R&D에 투입한다. 매년 수백억원의 R&D 비용을 뛰어넘는 매출을 내지 못하면 적자가 불가피하다.
태생적으로 바이오텍은 만년 적자다. 기술이전(L/O) '빅딜'을 매년 내지 않는 이상 이 굴레를 벗어날 수 없다. 기술특례상장으로 유예 특례를 적용받아도 3년이 지나면 '최근 3년 내 2회 이상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이 자본의 50% 초과' 요건을 맞춰야 한다. 상장 5년차 바이오텍이 가장 큰 압박을 느끼는 부분이다.
국내 L/O를 가장 많이 성사시킨 리가켐바이오마저도 법차손이 최대 고민이었다. 연초 더벨이 바이오텍 CEO 5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정부에 가장 바라는 지원으로 '법차손 요건 개선' 대답이 압도적 비중을 차지한 건 그저 앓는 소리가 아니다. 임직원과 주주들에 대한 책임까지 안고 있는 이들은 물러날 곳 없는 벼랑 끝에 서 있다.
다른 산업군과의 형평성을 무시하라거나 부실기업을 조장하자는 주장이 아니다. 설문에 답한 CEO들은 세부의견으로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유예기간을 연장'한다거나 'R&D비용을 법차손에서 제외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그저 '안된다'가 아닌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고민해달라는 얘기다.
바이오가 국가 첨단전략산업이냐는 질문에 정부는 늘 'YES'라 말한다. 실상은 장애물 천지 흙바닥에서 잘 살아남으라 한다. 최근 법차손 문제를 개선하려는 노력마저 혼란한 정국 속 물거품이 됐다. 업계가 바라는건 더 이상 '바이오를 키우겠다'는 선언이 아니다. '그래서 어떻게 바이오를 잘 키울 것이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약사 넥스트 오너십]동성제약, 불완전 나원균 체제…힘 보탤 '지분승계' 퍼즐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오스템임플 성장동력 '오스템파마' 성형시장 진출 원년
- 두번째 ADC 딜 주인공 '에임드바이오', FGFR3 차별화 핵심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대웅제약, '나보타' 힘든 치료시장 진출 '묘수'는 시밀러
- [thebell note]벼랑 끝 '흙수저 바이오텍'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3상 결과 '평택공장' 문제 해소 핵심
- [제약사 넥스트 오너십]동성제약, 오너 조카 경영승계…젊어진 조직 '혁신 승부수'
- 에임드바이오, 바이오헤이븐에 'ADC' 물질 첫 기술수출
- [JPM 컨퍼런스 2025]한미약품에 남다른 의미, 20년 참여 임주현 대신 '최인영'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PBP그룹, '투즈뉴' 결실 본격화…관전포인트 '재무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