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1월 20일 07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BK기업은행은 전통적으로 노사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곳이었다. 인사와 경영에 작용한 정부의 입김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특히 은행장에 낙하산인 관료 출신 인사가 선임되는 관치금융으로 노사 간 갈등의 골이 깊어져 왔다. 이런 노사관계는 2023년 1월에서야 봉합되기 시작했다.내부출신 김성태 기업은행장이 취임하면서다. 김 행장은 30년 넘게 기업은행에서만 일해 온 정통 '기업은행맨'이다. 김 행장의 취임으로 관치금융 논란은 사라졌다. 은행장 취임 때마다 출근을 저지하며 저항한 노동조합조차 "1만4000명 임직원의 꿈이 이뤄졌다"며 쌍수를 들었다.
내부 결속을 다지자 성장 가도를 달렸다. 실적은 연일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자체 재원을 마련해 정책금융을 수행하는 만큼 수익성이 좋아지니 정책금융도 확대됐다. 지난해 3분기까지 중소기업에 내준 대출 잔액은 243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 정도의 중기·포용금융 역량과 전문성은 국제적으로도 드물다.
하지만 금융권 안팎에선 최근 기업은행 위기설이 맴돈다. 내우외환에 휩싸여 김 행장이 리더십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도 나온다. 원인은 다시 한번 내홍이다. 기업은행 노조는 임금 차별과 수당 체불 등을 이유로 회사 설립 52년 만에 사상 첫 단독 총파업을 진행했다. 진전이 없으면 추가 총파업을 진행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그렇다고 김 행장 등 사측이 상황을 외면하는 건 아니다. 지난해 말 직원들에게 보낸 편지글에서 김 행장은 "주요 인사를 만나는 자리에서 임금, 복지와 관련해 우리 직원들이 처한 어려운 상황을 설명하며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공공기관이 안고 있는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심경을 덧붙였다. 기타공공기관인 기업은행 임금은 노사를 넘어 정부를 설득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최대주주 기획재정부가 틀을 정하고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가 따르는 구조다. 시중은행 대비 30% 적은 임금을 받는 이유다.
일각에선 상장회사인 기업은행의 특수성을 고려해 직원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기재부는 요지부동이다.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이유에서다. 당분간 기재부의 외면과 기업은행 내부 진통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중기·포용금융 등 정책금융 역량이 은행 내부 안정에서 비롯됐다는 걸 정부는 잊은 듯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anction Radar]모아저축, 책무구조도 제출 앞두고도 내부통제 '곳곳' 허점
- 기업은행의 가화만사성
- 우리금융, 동양·ABL생명 딜 변수는 '금융위 재량권'
- 야당 대표의 이례적 은행장 소집에 예견된 긴장감
- [Policy Radar]가상자산 2단계 입법 속도…본격 논의 시작
- 기업은행, 자본비율 목표치 일괄 상향한 까닭은
- [Policy Radar]테러 관련자 소유·지배 법인도 금융거래 제한한다
- [Policy Radar]대형 보험·금투사도 '책무구조도' 시범운영한다
- [2025 금융권 신경영지도]수협은행, IB에 힘 싣고 비이자 확보 '드라이브'
- 한화생명, 노부은행 인수 7부 능선…현지 생크션 리스크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