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인더스트리

[조선사 포트폴리오 점검]특수선·상선 '트럼프 2기' 수혜 선종 급부상②'붕괴된 미 캐파, 빠른 부활 노리는 정부...중국 견제' ,국내 조선사 수혜 예고

허인혜 기자공개 2025-02-03 09:23:04

[편집자주]

2025년에도 조선업 호황기는 이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호황의 수혜가 모든 조선사에게 공평하게 돌아간다는 의미는 아니다. 70년대·00년대 찾아온 1·2차 슈퍼사이클과는 다르다. 선박의 폭이 넓어진 만큼 글로벌 수요와 공급도 부문별로 분산됐기 때문이다. 국내 조선사들은 공통적으로 저가 수주 시대를 끝내고 고마진 선박으로 도크를 채웠지만, 그 과정을 거치며 각자의 세부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따라서 이번 호황기 선종별 수주량을 예측하고 각사별 주요 포트폴리오를 진단하면 기업의 미래도 엿볼 수 있다. 더벨이 국내외 기관과 업계가 조망한 조선업계 수주 전망을 살펴보고 각사별 포트폴리오 대응 전략을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2일 15시4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조선업계는 글로벌 조선업 호황기에 더해 미국 새 정부 정책에 따른 수혜도 입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쇠락한 자국 조선업의 부활을 추진하며 파트너로 우리나라 조선소를 점찍었다. 미·중 갈등도 중국과 신조 라이벌 관계인 우리나라에게는 호재다.

국내 조선사들은 미국에게 현재 필요한 선박을 파악하고 시장 진입 방법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조선업이 사실상 붕괴됐다는 분석을 참고하면 국내 조선사들에게는 선종에 관계없이 기회가 열려 있다. 특히 그동안 빗장이 잠겨있던 상선 분야까지 진출 가능성이 엿보인다.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프로젝트 등 물류 유관 정책도 예정돼 있다.

◇'조선사 하나, 한해 한척' 현실, 상선대 부활 꿈꾸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업에 관심을 표하고 미국 정치권에서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을 재발의하려는 이유는 뚜렷하다. 미국 해상 장악력의 회복이다.

미국 조선사업은 제조업 중 유독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분야다. 과거 자국보호주의를 위해 발동했던 존스법이 문제를 일으켰다. 미국에서 건조한 선박에 미국인을 75% 태워야만 미국 내 항구를 오갈 수 있도록 했는데 오히려 규제로 작용했다.

이 법이 100년간 이어지면서 기업들은 떠났고 한때 한해 수천대의 선박을 새로 건조하던 미국 조선사업은 붕괴했다. 선박업계 관계자는 "거듭된 쇠락으로 미국 내 조선소의 캐파 자체가 작아 신조 건조 척수도 현재로서는 매우 적은 수준"이라며 "한 조선소에서 한해 동안 건조하는 선박이 0~1척 수준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국내 조선사들도 존스법 탓에 미국 상선 사업 진출에는 제한이 컸다. 그동안 미래 전략이 특수선 수리 분야에 쏠린 이유다. 하지만 새로운 선박법이 거론되면서 동맹국인 우리나라 조선사들의 수혜 가능성이 커졌다. 선박법은 미국 선적 상선을 현재 80척에서 3배 수준인 250척으로 늘려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미국내 조선소들이 생산 능력을 잃은 상황이어서 동맹국과의 파트너십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법안에도 동맹국의 참여를 염두에 둔 규정이 명시돼 있다. 이전에는 미국내 건조 선박에만 열렸던 바닷길은 선주의 미국 시민권 여부도 고려하도록 넓어졌다.

◇'LNG 프로젝트·중국 블랙리스트' 정책도 돕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식에서는 조선업과 관련한 의제를 내놓지 않았다. 다만 조선업과 관련이 깊은 주제들을 언급했다. 또 지난해 당선 직후 우리나라 조선산업에 러브콜을 보내기도 했다. 대미 조선업 기회가 충분하다는 의미다.


조선업은 결국 물류의 흐름에 따라 흥망이 결정된다. 트럼프발 미국의 LNG 수출 프로젝트 재개를 우리 조선사업과 연계해볼만 하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LNG 수출 프로젝트가 국내 조선사에 호재라고 진단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지난해 말 보고서에서 "트럼프 신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LNG 수출프로젝트가 대규모로 승인되어 수출량이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른 가격 하락이 예상외의 수요를 유발할 경우 LNG 교역이 다시 활발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구체적인 발주 선박량 전망도 나왔다. 교보증권은 관련 리포트를 통해 "미국의 LNG 프로젝트와 카타르Phase III 등을 고려하면 LNG선 공급과잉 우려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체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선박의 수는약816척(가동예상시기27~35년) 수준으로 연평균 91척 발주(클락슨전망기준81척)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봤다.

미국의 중국 견제도 국내 조선사에게는 긍정적이다. 미국 국방부는 이달 중국의 공영 조선인 선박공업그룹(CSSC)을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글로벌 신조 수요가 국내 조선사로 몰릴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글로벌 신조 시장은 중국과 한국, 일본이 장악하고 있는데 중국의 점유율이 가장 높고 한국과 일본이 그 뒤를 따른다.

◇돌아온 '힘을 통한 평화', 전투함까지 넘볼까

국내 조선사들의 미국 군함 수주는 군수지원함 유지·보수·정비(MRO)가 전부다. 한화오션이 처음으로 진출했고 HD현대중공업도 올해 2~3건의 수주를 기대하고 있다. 그간 미국 외 국가 MRO만 수주해 왔기 때문에 미국 군함 MRO 진출도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그럼에도 국내 조선사들은 미국 전투함 신조 건조와 MRO까지 넘보고 있다. 전투함과 군수지원함 두 가지 중 전투함의 시스템이 훨씬 복잡하고 정교하다보니 신조 건조든 MRO든 전투함 사업의 수익이 더 높다. 과거에는 불가능한 계획이었지만 지금은 가능성이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컴백과 함께 유명 공약인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도 부활했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트럼프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의 외교 전문지 포린어페어스에 1기 행정부 시절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을 명시하는 한편 이 기조가 2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 2기를 거치며 미국의 목표 군함 수는 적어도 355척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의회예산국(CBO)의 보고서에는 현재 295척에서 2054년까지 390척으로 늘린다는 계획도 명시돼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고가의 전투체계 및 무기체계 장비들이 탑재 되는 관계로 동일한 배수량의 경우 전투함이 군수지원함 보다 훨씬 가격이 높다"며 "우선 미 군함 사업의 경우 MRO부터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