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파이낸스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관리·감독 문제 고개…중앙회, 지원 체계 개편 '시동'②NPL비율 역대 최대, 금융당국도 '실효성' 지적…지역본부 확대해 밀착 지원 체계 '구축'

유정화 기자공개 2025-04-14 13:21:40

[편집자주]

‘풀뿌리 금융’으로 불리는 신용협동조합의 지난해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규모는 7조5653억원에 달했다. 경기가 좋을 때 기업대출을 공격적으로 확장하면서 고수익·고위험 전략을 추구한 결과다. 특히 부동산 호황기 확대했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신협중앙회는 KCU NPL 대부를 세워 올해 1조2000억원 상당의 부실채권을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신협 조합이 처한 경영 상황과 여신 관리 체계를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0일 07시4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협중앙회의 단위 조합 관리·감독 소홀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단위조합의 포트폴리오가 부동산 대출에 편중되면서 부실 자산이 급증한 데 따른 지적이다. 금융감독원도 나서 신협중앙회에 부동산·건설업 대출한도를 초과한 조합에 대한 실효성 있는 관리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적했다.

신협중앙회는 금감원의 지적 사항을 반영하는 동시에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지원 체계를 강화해 조합의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두드러진 변화는 올 초 조직개편에서 드러났다. 신협중앙회는 올해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 10개 지역본부 체제를 12개로 확대해 개별 조합에 대한 세밀한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경영유의사항 5건, 부동산·건설 대출 한도 관리 지적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 신협 단위조합 866곳의 지난해 말 평균 연체율은 6.02%다. 전년 동기(3.63%) 대비 2.39%p 악화한 수치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7.08%로 전년 4.45% 대비 2.62% 올랐다. 두 지표 모두 업권 평균을 상회하는 수치다. 상호금융조합 평균 연체율은 4.54%,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26%로 나타났다.

신협의 건전성 지표는 2022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악화하기 시작했다. 수년간 2%대에서 관리되던 연체율은 지난해 상반기 6.25%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NPL비율은 2022년 6월 이후 상승세다. 여신 사후관리에 나서며 연체율은 진정세를 보였으나, 보수적 영업으로 총여신도 감소하면서 NPL비율 악화를 막진 못했다.


신협 조합의 건전성이 악화하자 금감원은 지난해 6월 신협중앙회를 대상으로 수시검사에 착수했다. 조합의 경영지원을 담당하는 신협중앙회가 연체채권 관리를 독려해야 하지만 관리가 미흡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신협중앙회의 여신한도 관리 기준, 유동성 위기 관리방안 등을 살펴봤다.

수시검사 결과 금감원은 신용협동조합에 경영유의사항 5건, 개선사항 5건을 전달했다. 당시 금감원은 "신협중앙회는 부동산·건설업 대출한도를 초과한 조합의 한도 관리를 위해 지도 공문을 발송하고 대출한도 관리를 촉구했으나, 감축계획서 제출 이외에 조합의 대출한도 준수를 유도할 실효적 방안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재무상태개선조치 대상 조합의 건전성 개선 계획에 대한 조치도 미흡하다고 봤다. 금감원은 "신협중앙회는 재무상태개선계획 이행이 미흡한 조합에 대해 구체적인 사유와 달성 계획을 징구하는 등 구체적인 조치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라며 "재무상태개선조치 실효성을 제고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채권평가충당금 적립 방안 마련, 내부통제도 '강화'

신협중앙회는 금감원의 지적 사항을 수용하고 단위 조합에 대한 건전성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신협중앙회 한 관계자는 "금감원의 경영유의 모든 지적사항은 업무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다만 지난 11월 통보가 이뤄져 아직 개편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채권평가충당금 적립 방안도 새롭게 마련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변동에 따른 부실 대출 확대와 연체율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또 단위조합의 대손상각이 규정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합별로 상각(예정)일정, 상각 유예시 가능한 요건, 유예기간 마련 등 대손 사후관리를 위한 내부통제 체계도 구축하고 있다.

신협중앙회는 금감원 지적 2달 만에 직제개편을 단행했다. 올해 초 열린 첫 이사회에서 기존 10개 지역본부를 12개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2025년 직제개편안'을 의결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기존의 ‘부산경남 지역본부’를 부산과 울산·경남으로, '인천경기 지역본부’를 인천, 경기로 분리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각 지역본부가 담당하는 조합 수를 고려해 보다 세밀하고 효율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결정이다. 특히 기존 인천·경기권 조합 수는 총 138개로 지난해 말 자산 규모가 22조원에 달해 하나의 지원본부로 관리가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신설된 인천지역본부는 인천 내 45개 신협, 78개 점포, 총자산 6조원을 총괄한다. 부산 지역본부는 47개, 울산경남 지역본부는 60개, 경기 지역본부는 93개 조합을 각각 맡게 됐다. 각 본부에는 지원사업팀과 감독팀이 신설됐다. 이를 통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지원과 한층 강화된 관리·감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