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공영, 도급 끌고 자체사업 밀고 '짱짱한 실적' [건설리포트]매출·이익 역대 최대, 하반기 세종·부산 자체사업 '정조준'
김경태 기자공개 2017-08-28 07:59:47
이 기사는 2017년 08월 25일 10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신공영의 성장세가 거침이 없다. 국내 도급 건축공사와 자체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매출과 이익을 불리고 있다.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지난해를 넘는 새로운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한신공영의 올 상반기 매출은 9433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5.7% 늘었다. 영업이익은 452억 원, 당기순이익은 344억 원으로 각각 59.2%, 200.3%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4.8%로 3.1%포인트 올라갔다.
한신공영의 올 상반기 공사수익은 7522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9.9% 신장했다. 공사수익에서 가장 큰 부분을 책임지는 것은 국내 도급 공사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한신공영은 올 상반기 국내 도급 건축에서 매출 5696억 원을 거뒀다. 전년 동기보다 25.8% 확대됐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4%로 4.8%포인트 높아졌다. 국내 도급 토목의 매출은 1474억 원으로 5.8% 증가했다.
최근 힘을 싣고 있는 자체사업도 꾸준히 실적에 보탬이 되고 있다. 올 상반기 분양수익은 186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 늘었다.
특히 자체사업은 수익성에 있어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한신공영의 올 상반기 매출원가율은 91.4%로 1.1%포인트 낮아졌다. 공사원가율은 96.9%로 0.9%포인트 높아졌는데 분양원가율이 71.1%로 11.6%포인트 하락해 전체 매출원가율이 하락할 수 있었다.
한신공영은 지난해 매출과 이익 측면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올 상반기의 성과가 하반기에도 이어진다면 지난해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관측된다. 최용선 한신공영 회장의 장남인 최문규 부사장이 대표이사로 올라선 첫해에 의미있는 성적을 세우게 될지 주목된다.
|
한신공영은 올 하반기에도 자체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실적 성장의 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정부의 8.2 부동산대책 후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섰지만 한신공영은 세종과 부산에서 자체사업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세종에서는 1-5 생활권과 2-4 생활권에 주상복합을 각각 691가구, 1181가구 선보인다. 부산에서는 일광지구 8블록과 9블록에 각각 518가구, 700가구를 공급한다.
한신공영 관계자는 "정부에서 대책이 나왔고 중도금 대출이 줄어드는 등 부정적인 요소들이 있지만 분양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특히 세종은 분양가상한제 때문에 주변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가가 결정돼 공급 물량이 소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신공영의 올 상반기 말 자산은 1조7724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4.1% 늘었다. 부채는 1조4626억 원, 자본은 3097억 원으로 각각 13.8%, 15.5% 확대됐다. 부채비율은 472.18%로 7.2%포인트 낮아졌다. 수주잔고는 2조9008억 원으로 9.5% 줄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