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추진' SM상선, 멀어진 재무구조 개선 [격랑 헤치는 해운업계]③대한상선 부채 편입 부담, 외형확장 속 '부실 전이' 우려
고설봉 기자공개 2017-09-01 08:25:25
[편집자주]
국내 최대의 국적선사인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지 1년. 격랑 속에서 표류해 온 해운업계가 혹독한 구조조정 등을 거치며 옛 영광을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다. 국적 선사들을 중심으로 한국해운연합이 출범했다. 치킨게임을 중단하고 사라진 항로를 다시 개척하는 일이 당면과제로 떠올랐다. 격랑을 헤치고 있는 해운사들의 현주소와 앞으로 항로를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17년 08월 25일 15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M상선은 그룹의 든든한 지원을 등에 업고 대양을 향해 닻을 올렸다. 그룹 계열사인 대한상선과 우방건설산업을 흡수 합병해 원양선사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매출을 불리고 재무구조 안정화를 통한 성장 기반 확보를 위한 포석이다.그러나 합병 발표 당시 예상한 통합 SM상선 기초체력은 그리 월등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200%대로 낮춰질 것으로 예상됐던 부채비율은 크게 안정화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 6월 기준 대한상선의 과도한 부채가 원인이다.
대한상선과 합병으로 SM상선은 전체적으로 매출이 불어나고 자산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한상선의 부실이 통합 SM상선에 전이될 우려가 있다. 재무건전성 지표 중 하나인 부채비율과 순차입금 비율 등이 대거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SM상선, 합병 후 부채비율 277%로 껑충
올 6월 기준 SM상선이 대한상선과 우방건설산업을 흡수 합병한다면 부채비율은 약 277%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SM상선과 대한상선, 우방건설산업의 자산총액과 부채총액, 자본총액을 단순 합산해 도출한 결과로 일부 변동될 가능성은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는 통합 SM상선의 부채비율은 210%로 집계됐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세 곳의 회사의 부채총액이 대거 늘어나면서 부채비율이 상승했다.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통합 SM상선의 부채비율이 획기적으로 낮춰지기보다 오히려 상승한다.
|
세 곳의 부채총액을 합산하면 올 6월 기준 9222억 원으로 집계된다. 지난해 12월 5334억 원 대비 3888억 원 늘었다. SM상선은 지난해 12월 부채총액이 0원이었지만 올 6월 기준 1202억 원으로 증가했다.
대한상선의 경우 부채총액 증가 폭이 훨씬 크다. 올 6월 기준 부채총액 498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대비 2171억 원 늘었다. 같은 기간 우방건설산업은 부채총액이 3040억 원을 기록해 515억 원 늘었다.
자본총액도 같이 증가했지만 부채비율 상승을 억제하지는 못했다. 올 6월 기준 세 곳의 회사의 자본총액을 합산한 결과 3328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대비 796억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SM상선은 자본총액이 지난해 12월 10억 원에서 올 6월 544억 원으로 증가했다. 대한상선은 올 6월 기준 자본총액이 1016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대비 179억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우방건설산업은 자본총액 1768억 원에 머물렀다.
◇대한상선, 외부차입 급증...유동성 감소
통합 SM상선 재무구조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주요 원인은 대한상선의 재무구조가 악화됐기 때문이다. 세 곳의 회사 중 자산 규모가 가장 큰 대한상선은 올 상반기 부채가 대거 늘어나며 부실이 누적된 모습이다.
올 6월 기준 대한상선의 자산총액은 5996억 원으로 지난해 12월 대비 64.50%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채총액은 4980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12월 대비 77.29% 증가했다.
반면 자본총액은 올 6월 기준 1016억 원으로 21.3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부채비율은 올 6월 기준 490%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대비 154% 포인트 증가했다.
|
외부 차입금 증가세가 뚜렷했다. 올 6월 기준 대한상선의 총차입금은 3895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대비 123.34% 포인트 증가했다. 장기차입금의 증가 폭이 컸다. 지난해 12월 868억 원에서 올 6월 2469억 원으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 단기차입금은 876억 원에서 1426억 원으로 늘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하 보유 현금)은 줄었다. 지난해 12월 231억 원에서 올해 6월 198억 원으로 감소했다. 다만 전체적으로 금액 자체가 미미해 증감률은 마이너스(-) 14.29%에 그쳤다.
총차입금 증가와 규모가 미미한 보유 현금으로 인해 순차입금도 동반 상승했다. 올 6월 기준 3697억 원을 기록, 지난해 12월 대비 144.35% 포인트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순차입금비율도 지난해 12월 180.77%에서 올 6월 363.88%로 증가하며 재무건전성이 크게 훼손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하나은행, 함영주 회장 2기엔 글로벌 사업 힘 싣는다
- [여전사경영분석]현대캐피탈, 친환경차 리스 중심 영업수익 확대…순익은 감소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NH농협캐피탈, 부실위험 사전 통제 중점…그룹과의 협업은
- [이사회 분석]신한카드, 일본계 주주 영향 속 사외이사 2인 교체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첫 관문' 넘었다…두번째 과제 '계열분리'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국발 리스크 해소한 기아, 남은 숙제 '멕시코공장'
- 폴라리스쉬핑, 메리츠 차입금 조기상환...이자 300억 절감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차, 울산공장 생산·수출 '재조정' 불가피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승계비율 ‘1대 0.5대 0.5’ 분쟁 막을 '안전장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무관세·친환경차’ 미국 시장 '톱3' 노린다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메타플랜트 준공 '관세전쟁' 승기 굳혔다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매년 8조 투자…현대차그룹 투자재원 넉넉한가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다시 '주목 받는' 보스턴다이내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