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종합기술 매각 종결, '종업원지주사' 탄생 사주조합 잔금 200억 납부, 거래 대상 지분 62%→52% 변동
이명관 기자공개 2017-12-18 08:09:46
이 기사는 2017년 12월 15일 11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종합기술이 상장사 최초 종업원지주사회로 탈바꿈한다. 한국종합기술 인수자로 낙점된 '우리사주조합'이 잔금납입을 끝내면서 거래를 마무리했다.15일 투자증권(IB) 업계에 따르면 우리사주조합은 이날 오전 한진중공업홀딩스에 잔금 200억 원을 지급하고 한국종합기술 인수를 완료했다. 총 거래 금액은 510억 원이다. 앞서 지난 12일 중도금으로 250억 원, 지난 9월 계약금으로 60억 원을 납부했다.
우리사주조합은 잔금을 치르기 위해 개인대출을 포함, 종업원 900여 명이 출자했다. 주요 대출처는 한국증권금융과 국내 시중은행, 증권사 등이다. 서울보증보험이 신용대출에 대한 보증을 섰다. 부족 자금 150억 원은 인수금융을 통해 충당했다. 인수금융 주선은 케이프투자증권이 맡았다.
우리사주조합의 인수 지분은 52%로 하향 조정됐다. 지난 9월 말 주식매매계약(SPA) 체결 당시에는 62%였다. 우리사주조합이 인수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족한 자금만큼 지분율을 낮추기로 합의했다. 대신 매도자인 한진중공업홀딩스는 이달 말까지 잔금을 조기납부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거래 이후 한진중공업홀딩스는 한국종합기술 지분 15%를 보유할 전망이다. 종전 보유 지분율은 67%였다. 거래 지분이 낮아지면서 한진중공업홀딩스가 가져가는 매각가도 600억 원에서 510억 원으로 낮아졌다.
임직원들이 한국종합기술 인수에 성공하면서 상장 기업 중 처음으로 종업원 지주회사가 탄생하게 됐다. 종업원 지주회사는 종업원들이 자기 회사 주식을 취득해 대주주가 되는 것을 말한다.
대기업 울타리에서 벗어나 홀로서기에 나선 한국종합기술은 향후 이사회 구성 및 대표이사 선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종합기술 관계자는 "종업원지주회사 출범에 대한 사내 규정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며 "정관 변경 등을 거쳐 내년 초 경영진 구성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종합기술은 1963년 정부 주도로 설립됐다. 1994년 민영화 되면서 한진중공업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됐다. 한국종합기술은 설계·감리·시공 등 전 부문에 걸쳐 고른 실적을 내고 있다. 2016년 매출액은 1993억 원이다. 매출액 기준 시장 점유율은 13.9%로 국내 2위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