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해운, 청명해운 인수 노림수는 지분 30.63% 확보…벌크선 강화, SM상선 빈자리 대체
고설봉 기자공개 2018-01-02 08:54:56
이 기사는 2017년 12월 29일 15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한상선이 창명해운 경영권 확보의 9부 능선을 넘었다. 지분 총 30.63%를 확보하며 최대주주 지위를 얻었다. 향후 대한해운과 창명해운의 벌크선 사업을 결합해 선대를 확대하고 매출을 불릴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대한해운은 지난 27일 창명해운 주식을 추가 취득했다. 농협은행이 보유한 창명해운 보통주식 매각 입찰에 참여해 낙찰자로 선정된 뒤 잔금 납부 등 최종 인수절차까지 마쳤다. 기존 보유 지분 2.91%(1만 6779주)에서 이번에 27.72%(16만 주)를 추가 취득하며 보유 지분율이 총 30.63%(17만 6779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대한해운은 창명해운의 경영권 확보를 바라보게 됐다. 대한해운은 앞으로 채권단과 협의해 창명해운 경영권을 완전히 인수한다는 방침이다. 벌크선사인 창명해운의 사업 등을 인수해 해운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 위한 전략이다.
현재 창명해운 주주는 채권단으로 구성돼 있다. 농협은행(21.05%), 산은캐피탈(10.07%), 신한은행(7.50%), 두산캐피탈(5.36%), 하나은행(5.04)%를 비롯해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이 포함돼 있다. 이외 소액주주 등이 20.35%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해운이 창명해운 인수에 나선 이유는 벌크선 위주의 선대 확대를 통해 해운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창명해운은 벌크선 7척, 초대형유조선(VLCC) 1척 등 총 8척의 선대를 운용중인 중견 벌크선사이다. 대한해운의 주력인 벌크선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사업 결합에 따른 시너지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내년부터 대한해운 연결 자회사에서 제거되는 SM상선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SM상선과 우방건설산업의 합병으로 내년부터 대한해운의 연결 실적에서 SM상선의 실적이 포함되지 않는다.
창명해운은 SM상선의 빈자리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창명해운은 지난해 매출 633억 원, 영업손실 440억 원, 순손실 3606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올 상반기 말 기준 매출 210억 원을 기록 중이다.
올 상반기 대한해운은 매출 3427억 원, 영업이익 379억 원, 순이익 11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매출 5135억 원, 영업이익 409억 원, 순이익 27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대한해운이 창명해운을 완전히 인수할 경우 연결 매출은 6000억 원대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해운 관계자는 "향후 벌크선 및 관련 사업부문의 영업 경쟁력 강화는 물론 관계사들간 시너지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하나은행, 함영주 회장 2기엔 글로벌 사업 힘 싣는다
- [여전사경영분석]현대캐피탈, 친환경차 리스 중심 영업수익 확대…순익은 감소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NH농협캐피탈, 부실위험 사전 통제 중점…그룹과의 협업은
- [이사회 분석]신한카드, 일본계 주주 영향 속 사외이사 2인 교체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첫 관문' 넘었다…두번째 과제 '계열분리'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국발 리스크 해소한 기아, 남은 숙제 '멕시코공장'
- 폴라리스쉬핑, 메리츠 차입금 조기상환...이자 300억 절감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차, 울산공장 생산·수출 '재조정' 불가피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승계비율 ‘1대 0.5대 0.5’ 분쟁 막을 '안전장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무관세·친환경차’ 미국 시장 '톱3' 노린다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메타플랜트 준공 '관세전쟁' 승기 굳혔다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매년 8조 투자…현대차그룹 투자재원 넉넉한가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다시 '주목 받는' 보스턴다이내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