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트운용, 미국 기업 '게임스탑' 베팅 배경은 [인사이드 헤지펀드]"게임스탑, 자사주 소각 가능성…현저한 저평가"
허인혜 기자공개 2020-03-30 08:09:45
이 기사는 2020년 03월 27일 17시3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주가 급락으로 투자자들이 앞다퉈 매도한 미국의 '게임스탑(GameStop)' 주식을 머스트자산운용이 5% 사들이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의 헤지펀드 전문가인 마이클 버리(Michael Burry) 등 일부 미국 전문 투자사도 게임스탑의 지분을 늘리는 한편 주주 행동주의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투자 전략을 세웠다.머스트운용 등 게임스탑에 투자한 전문 사모펀드 투자자들은 게임스탑에 대한 일반 투자자들의 비관론이 지나치다고 주장했다. 게임스탑이 대규모 자사주 매수 조짐을 보이면서 자사주 매입·소각에 따른 '숏 스퀴즈(short squeeze)' 가능성도 매수 배경으로 점쳐진다.

머스트운용에 앞서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으로 유명한 미국내 헤지펀드 전문가 마이클 버리(Michael Burry)가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Scion Asset Management)를 통해 게임스탑에 롱 포지션을 취했다. Scion Capital의 게임스탑 지분율은 3.6%다. 또 다른 전문 투자사 Permit & Hestia가 7.6%를, 미국의 억만장자 사업가이자 서브 프라임 자동차 금융회사 Credit Acceptance의 설립자 Donald Foss가 5.3%를 신규 매입하며 지분을 늘렸다.
미국 시장은 머스트운용과 일부 미국 전문 투자가의 게임스탑 매수 배경에 주목하고 있다. 게임스탑 주가가 2013년 50달러대에서 최근 4달러 인근까지 떨어지는 등 급락을 거듭한 데다 시장이 내놓은 전망도 우울하기 때문이다. 블룸버그와 비즈니스인사이더, 바론즈 등 미국 주요 경제 매체들은 전문 투자가들이 게임스탑을 사들일 때마다 별도의 분석 기사와 인터뷰를 마련하는 등 배경파악에 나섰다.
월가를 포함한 현지 시장에서는 게임 산업의 디지털화로 비디오게임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어들어 게임스탑이 부활하기 어렵다는 비관론이 우세하다. '소매업의 종말(retail apocalypse)'도 게임스탑에게는 난제다. 오프라인 소매점인 게임스탑이 아마존 등 온라인 커머스 시장에 밀려 고난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코로나19로 소매업종의 현장영업이 중단되는 와중 게임스탑이 스스로를 필수적인 업종이라고 분류하고 매장을 폐쇄하지 않다가 소비자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때문에 게임스탑의 주식은 유통량보다 매도량이 많은 오버솔드(oversold) 상태에 진입하기도 했다. 2월 말을 기준으로 게임스탑의 유통주가 6592만2283주였지만 매도 주식의 수는 6813만1107주로 유통주수를 상회했다. 당시 미국 내에서 가장 높은 오버솔드 수치였다.

머스트운용 등 투자사들은 게임스탑에 대한 투자자들의 공포가 지나치다고 판단한다. 게임스탑이 상당히 저평가됐으며 일반 투자자들의 매수세를 견딜 만큼 견조한 경쟁력을 마련했다는 분석이다.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발 차세대 게임 콘솔 도입도 주가를 부양하리라고 투자자들은 예견했다. 구세대 콘솔 대신 새로운 콘솔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구매 시기를 늦추고 있다는 진단이다.
일부 투자가는 주주 행동주의에 나서기도 했다. Permit & Hestia은 주주서한을 통해 게임스탑의 경영 개선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이사 후보를 추천한 바 있다.
Permit & Hestia은 주주서한에서 "게임스탑은 실적 개선에 대한 계획이 부족하고 자본할당도 충분하지 못하다"며 "부적절한 경영 감독과 게임스탑 주주·임직원에 대한 소통부재도 주가 하락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우리는 역시 일반 주주들과 똑같이 긴 시간 게임스탑의 주식을 소유한 투자자로서 목소리를 내고자 한다"며 "주주가 지명한 이사로 경영진을 변경할 필요가 충분하다"고 기술했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에 따른 주당 가치 상승도 기대했다. 게임스탑이 상당한 수량의 자사주 매수를 진행해 숏 스퀴즈(short squeeze)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이야기다.
투자사들의 기대는 일부 실현됐다. 26일(현지시간) 게임스탑이 내놓은 지난해 4분기 실적 공시에 따르면 게임스탑은 2019년 말 자사주 350만주를 주당 평균 5.74달러의 가격으로 2010만달러에 사들였다. 4분기에 매입한 자사주를 포함해 2019년 한 해 동안 자사주 3810만주를 주당 평균 5.21달러의 값으로 1억9900만달러를 들여 매수한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orean Paper]코레일, 관세 전쟁 속 한국물 복귀전 나선다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IG넥스원은 지금]'수긍되는' 고PER, 천궁-II에 기대 쏠렸다
- [thebell note]한화그룹의 '시나리오'
- [LIG넥스원은 지금]포트폴리오 더 탄탄해졌다...떠오르는 'C4I'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선]경영승계는 차남…오너일가 '못지않은' 박세철 존재감
- '승계 논란' 차단 나선 한화…유상증자 설계도 다시 짰다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오리엔탈정공, 실적·배당 확대 불구 여전한 저평가